[[파일:응골방1.png]] 응골방 표지 [[파일:응골방2.png|width=550]] [[파일:응골방3.png|width=300]] 좌측은 매의 외모에 관해 설명한 '응색편', 우측은 매사냥할 때의 주의사항인 '조방후잡리식'이다. [[http://nlcollection.nl.go.kr/front/detail/detail.do?rec_key=CO0000234609&category_id=CA0000000014|사진 출처]] [목차] == 개요 == 鷹鶻方. [[고려]] 후기, [[충혜왕|충혜왕(忠惠王)]] 재위 시기에 [[이조년]](李兆年, 1269~1343)이 저술한 [[매(조류)|해동청]] 사육서이자 매사냥 지침서.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고려 후기, 1200~1300년대에 이조년이 저술한 해동청 기술서로, 원 간섭기 시절 [[몽골 제국]]에서 으뜸으로 치던 고려 해동청을 사육하고 매사냥하는 방법을 수록한 것이다. 지금은 사라진 한국 전통의 매사냥법과 매의 가축 사육법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응색편(鷹色篇)은 해동청의 외모에 관한 내용으로, 몸통에 대해 쓴 논형체(論形體), 부리에 대해 쓴 논자탁(論觜啄), 다리에 대해 쓴 논족(論足), 깃털에 대해 쓴 논우색(論羽色), 성질에 대해 쓴 논천질(論天質)로 이루어져 있다. 사식(飼食)은 음식을 주는 방법, 양순(養馴)은 해동청을 길들이는 방법, 교습(敎習)은 사냥훈련하는 방법, 조방후잡리식(調放後雜理式)은 매사냥시의 주의법이며, 그 외에도 매의 치료법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바탕으로 훗날 [[조선]] 전기에 [[안평대군]]이 [[고본응골방]](古本鷹鶻方)을, 조선 중기에 이염(李爓, 1518~1553)이 [[신증응골방]](新增鷹鶻方)을 편찬한다. 현재 응골방까지 합쳐 이 세 책이 모두 현존하고 있으며, 이 3책의 비교를 통해 고려 후기부터 조선 중기까지 [[한국]] 전통의 매사육법을 비교 연구하고 있다. == 외부 링크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40783&cid=46639&categoryId=46639|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응골방]]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133771&cid=40942&categoryId=33689|두산백과 : 응골방]] * [[http://nlcollection.nl.go.kr/front/detail/detail.do?rec_key=CO0000234609&category_id=CA0000000014|국립중앙도서관 디지털컬렉션 : 매사냥 지침서 《응골방》]] [[분류:고려의 도서]][[분류:국립중앙도서관 소장품]][[분류:서울특별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