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생물]][[분류:호랑이]] ||<-2> '''{{{#white {{{+1 응간동호랑이}}}[br]Ngandong Tiger}}}''' ||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PegAFD.jpg|width=100%]]}}}|| || [[학명|{{{#000 '''학명'''}}}]] || ''' ''Panthera tigris soloensis'' '''[br]Von Königswald, 1933 || ||<-2>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포유강(Mammali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식육목(Carnivora)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아목'''}}}]] ||고양이아목(Feliformia)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고양이과(Felid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표범속(''Panther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호랑이(''P. tigri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아종'''}}}]] ||†'''응간동호랑이'''(''P. t. soloensi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rehistoric-fauna.com/Panthera-t-sol1-738x591.jpg|width=1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약 19만 5천 년 전 [[플라이스토세]]에 살았지만 현재는 멸종된 [[호랑이]]의 아종이다. == 연구사 == 알려진 화석은 '솔로인'으로 불리는 화석 인류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인 솔로엔시스의 화석이 발견되기도 한 [[자바 섬]]의 솔로(Solo) 강 유역 하안단구 지역 '''응간동'''(Ngandong)에서 발견된 [[두개골]]과 다리뼈 일부 정도이다. [[http://animalbattle.yuku.com/topic/21/body-size-weight-Ngandong-tiger-Panthera-tigris-soloens?page=2#.V17NDruLSUk|응간동호랑이의 화석 사진이 실린 서적의 일부가 개제된 해외 포럼.]] 국내에서는 고대종 호랑이가 별로 알려지지 않아 응간동호랑이가 [[완셴호랑이]]의 동물이명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하였다. || [[파일:external/prehistoric-fauna.com/Panthera-tigris-soloensis-size-738x591.jpg|width=600]] || || 응간동호랑이(좌), [[완셴호랑이]](중앙), 트리닐호랑이(우)와의 추정 크기 비교 || 완셴호랑이처럼 큰 호랑이 종이다. [[모스바흐사자]]와 함께 가장 큰 고양잇과 동물로 거론되기도 하나, 완셴호랑이와 마찬가지로 온전한 화석이 없는 탓에 관련 기관과 학자들은 응간동호랑이의 크기를 몸길이 175~230 cm, 어깨높이 120 cm, 몸무게는 150~400 kg 사이로 추정된다. == 기타 == 응간동호랑이의 크기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가장 큰 고양잇과 동물을 밝히려는 해외 매니아들이 다른 [[호랑이]] 아종의 골격과 응간동호랑이의 화석을 대조하여 크기를 추정하는 포럼을 여러 번 열기도 하였다. * [[http://wildfact.com/forum/topic-freak-felids-a-discussion-of-history-s-largest-felines|관련 포럼 1]] * [[http://animalbattle.yuku.com/topic/21/body-size-weight-Ngandong-tiger-Panthera-tigris-soloens?page=1#.V16FvLuLSUk|관련 포럼 2]] 화석 출토지인 [[자바]] 섬 응간동과 가까운 트리닐(Trinil)에서 트리닐호랑이 화석이 발견되었다. 트리닐호랑이는 응간동호랑이보다 더 작아 최대 110~150 kg 사이로 추정되며, 더 이전 시대에 생존했다고 추측되지만, 역시 화석이 많지 않아 연구가 적다. 가까운 위치에서 화석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응간동호랑이와 트리닐호랑이가 서로 관련이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