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통번역]] [include(틀:한자)] [include(틀:관련 문서, top1=음차)] [목차] == 개요 == '''음역'''([[音]][[譯]])은 한자 문화권에서 [[한자]]를 가지고 [[외국어]]의 발음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한자가 아닌 [[한글]]로 나타내게 되면 [[음차]]가 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France'의 음차이고 불란서(佛蘭西)는 'France'의 음역 단어이다. == 상세 == [[한자]]의 음을 취하기 때문에 '''의미는 대부분 무시'''된다. Asia(아시아)를 亞細亞(아세아)로 음역한 것이 대표적인 예시다. 다만 최대한 의미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이 있다면 이를 활용해서 음역을 하곤 한다. 예를 들어 구한말, '[[프레지던트]](President)'의 음역 단어로 '백리새천덕(伯理璽天德)'이라는 단어를 사용했는데, 뜻을 풀어보면 맏이나 대표를 나타내는 백(伯), 다스린다는 의미의 리(理), 국새를 나타내는 새(璽), 그리고 하늘의 덕이라는 뜻의 천덕(天德)의 구조로 되어있어 음과 뜻 모두를 나름 신경쓴 번역임을 알 수 있다. 서양권 나라들의 국호의 경우 동아시아에 알려진 시기가 개화기 시절인 경우엔 음역명이 국명으로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영국]](英國)', '[[프랑스|법국]](法國)', '[[독일|덕국]](德國)', '[[미국]](美國)', '[[스페인|서반아]](西班牙)' '[[러시아|아라사]]'(俄羅斯)'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음역은 [[청나라]]에서 이들 서양 열강과 공식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붙여 준 이름이다. 정식 외교 관계를 맺은 나라들인 만큼 이왕이면 좋은 뜻을 가진 글자로 음역을 해서 이름을 붙여줬다. 외국인들의 이름을 음역한 것도 많이 찾아볼 수 있는데 한국인에게 익숙한 것은 역시 [[임진왜란]] 당시의 일본인들의 이름이다. [[시마즈 요시히로]]의 경우 일본인들이 부른 존칭인 '시마즈 도노'가 '심안돈(沈安頓)', '심안돈오(沈安頓吾)' 등으로 적혔고 중국인들은 '스만쯔(石曼子)'로 음역했는데, 실제 그의 이름을 [[한국 한자음]]으로 옮긴 '도진의홍'과 더불어 모두 다른 인물로 인식되기도 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도 그 관직명인 관백과 발음 '간파쿠 사마'를 음역한 '감박사마(甘朴司馬)'가 혼용됐고, 역시 다른 인물인 줄 알았다. [[도쿠가와 이에야스]] 역시 '덕천가강'이라는 말을 주로 썼지만 실록에는 '이야샤(二也思)'로 음역한 것이 존재한다. 근대에 들어서는 서양인들의 나라, 이름, 지명 등을 음역한 것이 많았고 지금도 미국, 영국 등이 쓰이고 있다. 다만 서양 문물을 받아들이는 게 늦어서 중국, 일본의 음역이 대부분이다. 같은 이름의 경우에도, 중국에서 유래했냐 일본에서 유래했냐에 따라 서로 다른 표현이 사용되는 경우도 많다. 예를 들어 [[프랑스]]는 중국에서는 법국(法國)으로, 일본에서는 불란서(佛蘭西)를 사용했다. 이 경우 중국어로 '파궈(Fǎguó)[* 대륙 중국어 한정. 다음 항목 참고.]', 일본어로 '후란스(フランス)'로 발음되어 France와 유사한 발음이 된다. [[독일]]의 경우는 중국에서는 덕국(德國, 더궈), 일본에서는 [[독일]](獨逸, 도이츠)을 사용했는데, 이 경우는 일본식 음역이 아예 굳어졌다. 현대에는 외국인들이 귀화할 때 이름을 따서 한국식 이름을 지을 때나 한국에 친숙한 인물들을 친근한 의미로 한국식으로 바꿀 때 쓰는 편이다. 반대로 국제화/세계화 추세에 발맞춰 이국적인 이름 내지 영어 이름의 영향을 받은 듯한 이름을 지을 때도 많이 쓰인다. 아래 참고. '[[오덕후]]' 역시 일본어 '[[오타쿠]]'를 한국 한자음처럼 바꾼 음역이다. == [[국호/한자|근대에 음역된 나라 이름과 단어]]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호/한자)] === 한국어로 완전히 굳어진 단어 === 아래 단어들은 발음의 편리성을 이유로 음역명이 아예 정착해 버린 케이스다. 음역명을 반드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중국어]]와는 달리 [[한국어]]와 [[일본어]]는 음역명이냐, 원어명이냐를 선택할 수 있는데 그 나라의 국호가 너무 긴 경우에는 음역명을 채택한 경우가 종종 있다. 다만, 음역명이 주요 명칭이 되어버린 나라들이 국호가 긴 편인 것이지, 반대의 경우는 성립하지 않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다. 예를 들어 [[네덜란드]]는 [[화란]]이라는 음역명이 더 짧지만 네덜란드라는 명칭이 더 많이 쓰이며, [[이탈리아]]도 [[이태리]]라는 음역명은 과거에는 곧잘 쓰였지만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 '''[[미국]](美國) ← 아메리카 합중국: '''중국의 음역은 美利堅合眾國(미리견합중국)인데, 이를 줄여서 현재는 美国/美國으로 사용한다. 한국에서도 美國이란 명칭을 사용한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한자표기만 다른 '米国'이란 표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亞米利加(아미리가)라는 음차에서 유래했다. * '''[[영국]](英國) ← 그레이트 브리튼: ''''잉글랜드'의 중국의 음역인 英吉利(영길리)가 英国/英國으로 바뀐 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 '''[[호주]](濠洲) ← 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중국의 음역인 濠斯太剌利亞洲(호사태랄리아주)가 줄어 들어 濠洲로 바뀌고 굳어졌다. 다만, 호주의 경우 [[오스트레일리아]]라는 이름도 널리 쓰인다. [[오스트리아]][* [[https://news.imaeil.com/page/view/2015112601014325376|오지리(墺地利)]]라고 음역했다.]랑 헷갈리는 사람이 많아서 호주라는 이름을 자주 사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 '''[[독일]](獨逸) ← 도이칠란트 연방공화국: '''일본의 음역인 獨逸(독일)로부터 유래하였다. 정작 오늘날 일본에서는 음역명의 한자 획순이 너무 복잡해서 그냥 ドイツ(도이츠)라고 쓴다. * '''[[태국]](泰國) ← 타이 왕국: '''중국의 음역 泰(태)에서 유래했다. * '''[[인도]](印度) ← 인디아 공화국: '''[[현장]]이 음차한 것으로, 개항 이후 음차한 단어들과는 역사의 궤를 달리한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공]](南阿共)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약자로서, 음차된 부분은 중간의 '아(阿)'뿐이다. 다만 남아공이 일반적으로 쓰이기는 하되, 어디까지나 약자이므로, 공식 표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다. * '''[[소련]](蘇聯) ←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 '''소비에트를 蘇維埃(소유애)로 음차한 것이다. 요즘은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의 줄임말로도 알려져 있다. ~~사실 줄임말이었던 걸로 아는 사람이 더 많다~~ * 월남, 대만을 越南, 臺灣으로 읽는 것은 음역을 해서 그렇게 읽는 것이 아니고 한자를 우리식으로 읽은 것 뿐이다. 日本을 우리식으로 읽으면 일본이고 일본어식으로 읽으면 니혼이다. 니혼을 음역을 해서 日本이라는 말을 지어낸 것이 아니다. === 중국의 음역 === * 미리견(美利堅), 아미리가(亞美利加): [[미국]](美國)[* 중국식으로 읽으면 미리견은 Měilìjiān(메↓이↑리↘지엔→), 아미리가는 Yàměilìjiā(야↘메↓이↑리↘지아→). 전자는 A'''me'''rica의 me 부분에 강세가 들어간 것을 바탕으로 한 음역이다.] *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22122360781|화성돈(華盛頓, Huáshèngdùn 화성둔)]]: [[워싱턴 D.C.]] * 유약(紐約, Nǐuyuē 뉴웨): [[뉴욕시|뉴욕]] * 나성지리(羅省枝利, 뤄성즈리) → 나성/라성(羅城, 뤄성): [[로스엔젤레스]][* 현대에는 저 표기를 쓰지 않고 洛衫磯(낙삼기, 뤄산지로 읽힘)라는 표기를 쓴다.] * 영길리(英吉利, Yīngjílì 잉→지↗리↓): [[영국]](英國)[* [[잉글랜드]]의 음역인데 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UK]]) 그 자체를 나타내게 되었다.] * 윤돈(倫敦, Lúndūn 룬둔): [[런던]] * 아라사(俄羅斯, Éluósī 어뤄쓰): [[러시아]][* Éluósī(어↗뤄↗쓰→). 이것은 [[몽골어]] Орос를 음역한 것이다. 몽골어에는 한국어처럼 두음 법칙이 존재하여 로씨야인 원발음을 오르스로 옮긴 것으로 최종적으로 중국어 음역에서 아라사가 된 것이다.][* [[아관파천]]에서 '아관'은 러시아 [[공사관]]을 이르는 말이다.] * 서백리아(西伯利亞, Xībólìyǎ 시보리야): [[시베리아]] * 막사과(莫斯科, Mòsīkē 모쓰커): [[모스크바]] * 소유애사회주의공화국연맹(蘇維埃社會主義共和國聯盟, Sūwéi'āi shèhuì zhǔyì gònghéguó liánméng 쑤웨이아이 서후이주이 궁허궈 롄멍) → [[소련]](蘇聯)[* [[소비에트]]의 음차.] * 법란서(法蘭西, Fǎlánxī 파란시) → 법국(法國, Fǎguó 파궈[* 중화민국 국어에서는 /ㄈㄚˇ ㄍㄨㄛˊ]: [[프랑스]] * 덕이지(德意志, déyìzhì 더이즈) → 덕국(德國, Déguó 더궈): [[독일]][* '[[도이칠란트]]'의 음역이다.] * 백림(柏林, Bólín 보린): [[베를린]][* [[동백림 사건]]에서 '동백림'은 [[동독]]의 [[동베를린]]을 이르는 말이다.] * 토이기(土耳其, Tǔ'ěrqí 투얼치): [[튀르키예]][* '[[튀르크]]'의 음역.] * 서반아(西班牙, Xībānyá 시반야): [[에스파냐]] * 포도아(葡萄牙, Pútáoyá 푸타오야): [[포르투갈]] * 묵서가(墨西哥, Mòxīgē 모시거): [[멕시코]] * 일이만(日耳曼, Rì'ěrmàn 르얼만): [[게르만]] === 일본의 음역 === 한자 의존도가 한국보다 훨씬 높으면서도[* 생각나는 아무 문장이나 몇개 적은 후에 일본어로 번역해보라. 한자가 안나오는 걸 세는게 빠를 것이다.], 실제 용례에서는 한국보다도 음역한 국호를 적게 쓰는 편. 21세기 시점에서는 거의 모든 국호를 음역어([ruby(音訳語, ruby=おんやくご)])가 아닌 [[가타카나]]로 표기한다. * '''[[독일]](獨逸|独逸): '''Deutschland(도이칠란트)에서 따옴 발음은 ドイツ (도이츠)라 발음한다. 오늘날에는 어려운 한자 획수 때문에 '獨逸' 대신 'ドイツ'라 주로 표기한다. * '''화란(和蘭|和蘭): '''[[네덜란드]]. 발음은 オランダ (오란다)라 발음함[* 역시 네덜란드의 주 '홀란트'의 음역인데 네덜란드 그 자체를 나타내게 되었다.] * '''불란서(佛蘭西|仏蘭西): '''[[프랑스]]. 발음은 フランス (후란스)라 함 * '''노서아(露西亞): '''[[러시아]]. 발음은 ロシア (로시아)라 함 * '''구라파(歐羅巴|欧羅巴): '''[[유럽]]. 발음은 ヨーロッパ (요ー롭파)라 함[* 이 경우는 歐의 발음을 한국에서 [[속음|잘못 받아들이면서 원음과 멀어진 사례]]다. 일본 음은 오(おう)고, 중국 음도 'ōu'다. 1990년대까지 주로 사용하던 용어로 "구주"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의 "구"가 바로 이것이다. "서구, 동구"나 "구미" 등의 단어에 쓰이는 "구"도 동일 한자.] * '''아세아(亞細亞|亜細亜): '''[[아시아]]. 발음은 アジア (아지아) * '''[[지나]](支那): '''[[중국]]([[청나라]]). 발음은 シナ (시나)라 함 국가 또는 대륙이 아닌 음역 * '''구락부(俱樂部|倶楽部): '''[[클럽]]. 발음은 クラブ (쿠라부)라 함 * '''[[낭만]](浪漫): '''[[낭만주의]], [[로맨스]]. 발음은 ロウマン (로오만) 이라 함 == 전근대에 음역한 것 == === 국가/민족/세력 === ==== 북방민족 ==== ※추정의 경우는 ★를 붙이고 가능하면 관련 학자를 각주로 언급할것. * [[거란]](契丹): Kithan * [[타타르|달단]](韃靼), 달달(達達): Tatarlar * [[돌궐]](突厥): Turkut★[* [[Paul Pelliot]]] * 돌기시(突騎施): Türügesh * [[말갈]](靺鞨): Mat-Kat★[* [[노태돈]]] * 모용(慕容): Bayan★ * [[여진족|여진]](女眞): Jušen * [[에프탈|엽달]](嚈噠): Ephthalites * 올량합(兀良哈, [[오랑캐]]): [[우량카이족|우량카이]] * 우문: 오믄★ * 탁발(拓跋): Tabgachi * [[위구르 제국|회흘]](回紇): Uyghur ==== 기타 ==== * [[토번 제국|토번]](吐蕃): 투뵈 === 기타 === * [[가배|가배(珈琲, 咖啡)]], [[가비|가비(珈非)]]: [[커피]](coffee) * [[랜턴|남포등]]: [[램프|램프(lamp)]] * 다리풍, 덕률풍(德律風), 득률풍: [[전화|텔레폰(telephone)]] * 달노합적: [[다루가치]](ᠳᠠᠷᠦᠭᠠᠼᠢ(Daruγači/даругачи)) * [[대걸레|마포]]: [[몹#s-2|몹(mop)]] * [[미도파(동음이의어)|미도파]]: [[메트로폴리스]](metropolis)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88386|성길사한(成吉思汗)]]: [[칭기즈 칸]](ᠴᠢᠩᠭᠢᠰ ᠬᠠᠭᠠᠨ, Чингис хаан, 칭기스 카간) * [[야소]](耶蘇, Yēsū): [[예수]](Jesus) * 저고령당(貯古鹷糖): [[초콜릿]](Chocolate) === [[불교]] 인명, 지명, 용어 === * 가비라성: Kapilavastu * [[가사(의복)|가사]]: Kasaya * 가섭: [[마하가섭]]: Mahākāśyapa * [[가부좌]](跏趺坐): pallaṅkāsana([[산스크리트어]]), pallaṅka([[팔리어]]) * 나란다: Nālandā * 나한(羅漢) - [[아라한]](阿羅漢): arhat([[산스크리트어]]). arahant([[팔리어]]) * 능가경: Laṅkāvatāra Sūtra * 라후라: Rāhula * [[마하]](摩訶): mahat * [[만다라]]: maṇḍala * [[목련]]: Maudgalyāyana * [[미륵]]: Maitreya * 바라밀다: pāramitā * [[반야]]: prajñā * [[보살]] - 보리살타: bodhisattva * 불타: buddha * 비구: bhikkhu * [[비구니]]: bhikkhuni * [[사리(불교)|사리]]: Śarīra * [[석가모니]]: Shakyamuni * 구담 실달: Gautama Siddhārtha * 수다라: sūtra * [[십대제자#수보리|수보리]]: Subhoti * 승가: saṃgha * 아난: Ānanda * [[아미타불]]: amṛta *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 사바하: gate gate pāragate pārasaṃgate bodhi svāhā * 우발리: Upali * 제바: deva * 제바달다: Devadatta == 서양식 사람 이름의 음역 == === 한국 === * [[케네스 에드워드 킬로렌|길로련(길로연)(吉路連)]](Killoren) * 나파륜(拿破崙): [[나폴레옹(동음이의어)|나폴레옹]](Napoléon)([[나폴레옹 보나파르트]]) * 노월(魯越): [[로웰]](Lowell)([[퍼시벌 로웰]]) * [[도마(동음이의어)|도마]]: [[토마스]](Thomas)([[안중근]]의 [[세례명]]) * [[김란사|란사(蘭史)]](Nancy) * 맥계(麥溪): 맥케이(Mckay)(윌리엄 맥케이) * [[http://news.imaeil.com/NewestAll/2015112601014325376|모제도(慕帝道)]]: [[모차르트(동음이의어)|모차르트]](Mozart)([[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http://news.imaeil.com/NewestAll/2015112601014325376|배도변(裵道邊)]],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432787|변도변(邊道邊)]]: [[베토벤(동음이의어)|베토벤]](Beethoven)([[루트비히 판 베토벤]]) * [[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9865771690643.pdf|백타격랍사(白他格拉斯)]], [[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9865771690643.pdf|피사가랄사(披沙哥刺斯)]],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22122360781|피택고(皮宅高)]], [[http://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199865771690643.pdf|필타고랍(畢他固拉)]]: [[피타고라스]](Πυθαγόρας, Pythagoras) * [[https://sgsg.hankyung.com/article/2016031176731|색사비아(索士比亞)]], [[http://art.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26/2016012601028.html|酒若是披霞(주약시피하)]]: [[셰익스피어(동음이의어)|셰익스피어]](Shakespeare)([[윌리엄 셰익스피어]]) *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석호필(石虎弼)]](Schofield) * 섭이사(攝爾思, Shè'ěrsī, 서얼쓰): [[섭씨온도|셀시우스(Celsius)]] * [[세라]](Sarah) * [[안수산|수산(繡山)]](Susan) * 수산나(Susanna) * [[수지]](Susie) * [[수완]](Swan) * [[안나]](Anna) * [[신애리|애리]](Ellie) * [[요섭]](Joseph) * [[유진]](Eugene)[* 근데 주의할 건 [[유진]]은 한국에서는 여성스러운 이름이지만 서구권에서는 남자 이름으로 쓰인다. 영어에서 여성형은 유지니아(Eugenia) 또는 유지니(Eugenie)] * 의대손(宜代孫), 의대순(宜代淳): [[에디슨]](Edison)([[토머스 에디슨]]) * 차갑석(車岬晳): [[표트르 차이콥스키]] * 채리([[체리|Cherry]])[* 물론 '[[체리]]'도 한문으로 쓸 수 있긴 하지만 체리라는 이름이 한국인 이름으로 어색하게 느껴질 때 '채리'로 음역하는 경우가 많다.] * 파하례(巴夏禮):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ED%8C%8C%ED%95%98%EB%A1%80(%E5%B7%B4%E5%A4%8F%E7%A6%AE)|해리 파크스]](Sir [[해리|Harry]] Smith Parkes)([[https://sillok.history.go.kr/id/wza_12010027_007|조선왕조실록]]에 나온 당시 대영제국 외교관) * [[필립]](Philip) * [[http://news.imaeil.com/NewestAll/2015112601014325376|하희돈(夏熙敦)]]: [[요제프 하이든]] * [[한나]](Hannah) * [[허가이]](許哥而)(Хегай) * 화륜해(華倫海, Huálúnhǎi, 화룬하이): [[화씨온도|파렌하이트(Fahrenheit)]] === 일본 === * [[레이나]](レイナ = Reina) * [[마리]](マリ = Marie) * [[메구미|메구]](メグ = [[메그|Meg]])[* '메구미'의 애칭 또는 변형으로 해석할 수도 있지만 Margaret의 애칭인 'Meg'의 음역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 * [[메아리]](メアリ = [[메리|Mary]]) * [[아리스]](アリス = [[앨리스|Alice]])[* [[모게코]](해저죄수)의 캐릭터인 키사라기 앨리스도 히라가나 표기를 따른다.] * [[카렌]](カレン = Karen[kǽrən,kɑ́:r-]) * [[에미리]](エミリ= [[에밀리|Emily]]) * [[에레나]](エレナ = [[엘레나|Elena]]) * [[에리카]](エリカ = Erika) * [[조지]](ジョージ = George) * [[나오미]](ナオミ = Nao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