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乙支路入口 / Euljiro 1(il)-ga(Industrial Bank of Korea)}}} ||<-3> {{{+2 '''을지로입구'''}}}'''(IBK기업은행)''' || ||<-3> [[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30]]]] || || [[서울 지하철 2호선|{{{-3 {{{#585858,#a7a7a7 외선순환}}}}}}]][br][[시청역(서울)|시 청]][br]← 0.7 ㎞ || [[서울 지하철 2호선|{{{-3 {{{#ffffff 2호선[br](202)}}}}}}]] || [[서울 지하철 2호선|{{{-3 {{{#585858,#a7a7a7 내선순환}}}}}}]][br][[을지로3가역|을지로3가]][br]0.8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을지로입구역, 너비=100%, 높이=100%)]}}} || ||<-3> '''다국어 표기''' || || [[영어]] ||<-2> Euljiro 1(il)-ga (Industrial Bank of Korea) || || [[한자]] ||<-2><|2> 乙支路入口 || || [[중국어]] || || [[일본어]] ||<-2> [ruby(乙支路入口, ruby=ウルチロイック)] || ||<-3> '''주소''' || ||<-3>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을지로]] 지하 42 ([[을지로1가]] 100-1번지) || ||<-3> '''운영 기관'''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2> [[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width=120]] || ||<-3> '''개업일''' || || [[서울 지하철 2호선|{{{#ffffff 2호선}}}]] ||<-2> 1983년 9월 16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2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불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 지하철 2호선]] 202번.[* 개정 전 2번]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을지로]] 지하 42 ([[을지로1가]] 100-1번지)에 위치해 있다. 영어 명칭은 을지로 1가역이기에 간혹 을지로1가역으로 부르기도 한다. == 역 정보 == || [[파일:을지로입구역 안내도.jpg|width=100%]] || || 역 안내도 || [[파일:ulchiro_ipku.png|width=500]] 개통 당시의 역명판으로, [[1983년]] 개통 당시에는 Ŭlchiro Ipku로 표기했던 모양.[* 조선일보사 <사진으로 보는 [[1980년|1980]]에서 [[1986년|1986]]>이 근거.] 또한 [[종각역]]이 [[종로1가]]에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이 역에서 [[청계천]]을 넘으면 [[종각역]]이 나온다. [[시청역(서울)|시청역]] 및 [[을지로3가역]]과는 지하통로 및 지하상가로 연결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ulchiro_ipku.png|width=100%]]}}} || ||개통 당시의 역명판으로, 1983년 개통 당시에는 Ŭlchiro Ipku로 표기했었다.[* 조선일보사 <사진으로 보는 1980에서 1986>이 근거.] 또한 [[종각역]]이 [[종로1가]]에 있기 때문에 실제로 이 역에서 [[청계천]]을 넘으면 종각역이 나온다. [[시청역(서울)|시청역]] 및 [[을지로3가역]]과는 지하통로 및 지하상가로 연결되어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190422_072018.jpg|width=100%]]}}} || || 을지로입구역 옛 폴사인 || [[서울/영등포|영등포]] 구간을 남겨두었을 때(을지로입구-[[서울대입구역]] 사이)는 이 역이 시종착역이었다. 그리고 그 흔적은 2호선 본선의 이름인 '''[[서울 지하철 2호선#s-4.1|을지로순환선]]'''이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을지로에서 순환한다는 뜻이다. 시종착역이었던 시절에는 이 역에서 [[회차]]를 했지만, 지금은 이 역에서 시종착하는 첫차와 막차만 양방향 모두 1대씩 있다. 역명의 출처는 [[을지로]]에서 유래했으며 광복 후 [[일본]]식으로 된 도로명을 한국식으로 바꿀 때 [[을지문덕]] 장군의 이름을 따서 붙여진 명칭이다. 또한 [[을지로1가]]에 세워졌기 때문에 '입구' 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 역의 영문역명은 Euljiro 1(il)-ga다.[* 그래서 안내방송을 듣다 보면 '이번역은 을지로입구역입니다. This stop is 을지로1가' 라고 방송한다. [[다원시스]] 제작 전동차의 통로문 위 전광판에도 "Euljiro"로 표기되고 있다. 영문명과 국문명이 약간 상이한 케이스. 다른 '입구'가 들어가는 역들의 영문명 또한 굳이 'Entrance'로 번역하지 않고 아예 해당하는 표현이 없다.] 2016년 7월 초에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의 일환으로 인해 부역명으로 [[IBK기업은행]]이 추가됐다.[* [[방배역]]과 같이 추가되었다.] 서울 지하철 최초로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역이다. == 역 주변 정보 == 역 주변에는 금융업체가 굉장히 많다. 대부분 [[한국은행]] 근처라는 점을 활용해 본점 영업부가 있는 편이다. 역 주변에 있는 금융업체는 다음과 같다. 덕분에 [[화이트칼라]] 근로자가 많으며 이 사람들 연봉이 센 편이다 보니 주변 상인들한테도 씀씀이가 크다. * 금융공기업: [[예금보험공사]](본사) - [[종각역]]에 더 가깝지만 [[청계천]] 남쪽이라 을지로입구역 금융가로 본다. * [[금융지주회사]]: [[DGB금융지주]](서울본부) * [[은행]]: [[하나은행]](본점), 하나은행(영업부)[* 구 [[외환은행]] 본사], [[우리은행]](본점 영업부), [[수협은행]](본점 영업부), [[광주은행]](서울영업부), [[대구은행]](서울영업부), [[부산은행]](서울영업부), [[KB국민은행]](명동점), KB국민은행(명동영업부), [[신한은행]](광교영업부)[* 구 [[조흥은행]] 사옥 터. [[재건축]]했다.], [[신한은행]](서울롯데지점)[* 롯데백화점 본점 입주], 신한은행 서울광장출장소, [[IBK기업은행]](본점 영업부) * [[증권사]]: [[하나금융투자]](영업1부), 하나금융투자(명동금융센터), [[DB금융투자]](을지로금융센터), [[KB증권]](명동스타PB센터)[* 구 [[현대증권]] 영업부였다. 현대증권은 특이하게 본점과 영업부가 분리돼 있었는데, 구 현대증권 본점은 여의도에 있었다.], [[SK증권]](명동PIB센터), [[미래에셋대우]](본사 센터원빌딩), [[하이투자증권]](명동지점), [[신한금융투자]](TFC서울금융센터), [[유안타증권]](본사), [[교보증권]](명동지점), [[대신증권]](본사)[* [[을지로3가역]]에 더 가깝다.] * 외국계은행: [[미쓰이스미토모은행]](서울지점) * 상호금융: [[신협]](한국외환은행직장신용협동조합, 하나은행직장신용협동조합)[* 하나은행 본사 사옥 입주. 구 외환, 구 하나 직원들만 사용할 수 있다.], 신협(국민은행신용협동조합)[* KB국민은행 명동영업부 내부 위치. 국민은행 직원만 이용 가능하다.], [[유안타저축은행]](을지로지점), [[DB저축은행]](본점), [[신한저축은행]](본점 영업부), [[SBI저축은행]](을지로지점), [[웰컴저축은행]](을지로입구역지점) * [[보험사]]: [[DGB생명]]보험, [[SGI서울보증]] 을지로지점, [[메리츠화재]]보험 인터넷플라자, [[KB생명]] 프리미엄, [[삼성화재]](전략TM6지점), 삼성화재(중앙고객지원센터), [[한화손해보험]] * 보험판매법인(GA): [[GA코리아]], 윌리스타워스왓슨코리아손해보험중개 서울 최대 번화가 중 한 곳으로 유명한 [[명동]]이 근처에 있다. 명동 상권으로 들어가는 입구 중 하나이며, 앞에서 서술했듯이 청계천(광교)을 넘으면 [[종각역]]이 나오며 좀 더 [[조계사]] 방향으로 올라가면 [[안국역]]까지도 이동이 가능하다. 지도상으로도 종각역과 [[명동역]]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다. [[경의중앙선]]을 통해 종각이나 명동으로 이동할 경우, [[서울역]]에서 1, 4호선으로 환승해서 갈 수 있으나, 배차간격이 '''무려 1시간'''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기 때문에 [[홍대입구역]]에서 환승하여 을지로입구역으로 가는 것으로 대체가 가능하다. 6번 출구에는 [[한국전력공사]] 서울본부가 있다. 도보 1분 거리에는 [[Apple 명동|애플스토어 명동점]]이 있다. 7, 8번 출구 쪽에는 [[롯데그룹|롯데]]타운이 있으며,[* [[롯데백화점 본점]], 에비뉴엘, 영플라자, [[롯데호텔 서울]] 그리고 롯데빌딩이라고도 불리는 한국 [[롯데그룹]] 건물이 있다.] 7, 8번 출구 중간에 [[롯데백화점 본점]]으로 직통하는 지하 통로가 있다. 또 [[서울특별시청|시청]] 방향 출구를 통해 [[무교동]]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금융 덕후의 성지인 [[남대문로]]상에 있는 역이라 은행 및 증권사 순례의 출발점으로도 많이 쓰인다. 연결되어 있는 종각역에 밀리지만 청계천을 통해 [[종로구]] 관철동 및 [[광교(청계천)|광교]] 쪽으로 건너가면 이 역에서도 [[영풍문고]] 본점이 가깝다. 3, 4번 출구와 연계된 [[구몬|교원]]내외빌딩 지하 1층에는 [[북스리브로]] 을지점(구 을지서적)이 있었으나 2000년대 들어 이미 쇠퇴한 상태였으며, 2012년 9월 14일을 끝으로 폐점했다. 또한 교원내외빌딩 2층에는 [[대구은행]] 서울영업부가 입점해 있다. 1, 2번 출구 바로 앞에 [[하나은행/합병 이전|하나은행]] 본점(영업1부)이 있었으나 2013년 개축으로 인해 [[종로구]] [[공평동(서울)|공평동]]의 그랑서울 빌딩으로 임시 이전했고, 2015년에 [[외환은행/합병 이전|외환은행]]과의 [[역합병]]으로 구 외환은행 본점이 하나은행의 본점이 되면서 하나은행 본점을 가려면 5번 출구에서 내려서 걸어가야 했다. 2017년에 [[부역명 유상판매 정책]]으로[* 중소기업은행이 단독으로 입찰해 3억 8,000만 원에 수의계약했다.] [[중소기업은행|IBK기업은행]]이 병기역명으로 추가됐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하나은행 신사옥이 준공되면서 양행 간 마찰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하나은행 신사옥이 기업은행 본점보다 역에서 '''훨씬''' 가까운데다가 '''1, 2번 출구가 하나은행의 소유'''[* [[하나은행]]이 1, 2번 출구 부지를 소유한 건 맞지만, 지하철 건설로 인해 구분[[지상권]]이 달려서 소유권을 행사하지는 못하고 있다.]이기 때문이다.[* 하나은행은 [[스크린도어]]를 자행 광고로 도배해놓고 열차 내 광고 안내방송까지 송출하고 있어 병기역명까지는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해 입찰하지 않았다. 하나은행 측은 [[을지로3가역]]과 더 가까운 기업은행이 을지로입구역 병기역명에 입찰할 줄은 상상도 못했다고 한다.] 하나은행은 IBK기업은행 병기역명 폐기를 요구했으나 적법한 절차에 의해 병기된 병기역명을 지우는 것은 불가능했고, [[중소기업은행]]에서 어떠한 경우에도 병기역명을 지울 수 없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결국 지지부진한 협상 끝에 하나은행 소유인 '''1, 2번 출구에서만''' IBK기업은행을 지우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09538534|#]] 명동과 근접한 위치이기 때문에 [[중국인]] 관광객들을 비롯한 외국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때문에 1회용 [[교통카드]]를 사야 한다면 줄을 서느라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주거지가 없는 [[도심]]에 세워진 역 및 [[환승역]]이 아니라서 그런지 2호선 개별 역 문서 중 가장 마지막으로 완성되었다.[* 심지어 지선상의 역들보다도 늦었다.] 하지만 번화가에 있는지라 이용객은 어마어마하게 많다. 2호선 유저들에게는 [[시청역(서울)|시청역]]이나 이 역이나 [[서울도서관]]과의 거리가 비슷하다. 2호선 시청역이 서쪽으로 상당히 들어가 있기 때문에 시청역에서 환승 통로와 1호선 승강장을 전부 지나와야 서울도서관으로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도서관을 올때 외선순환에서 1-1 쪽에 탑승하였을 경우 이 역에서 내려서 걸어가는 것이 훨씬 낫다. 서울의 중심부이고 근처에 은행 본점이나 주요지점이 많아서 역 구내에 [[신한은행]],[* 9호선의 ATM이 [[국민은행]]으로 바뀌면서 수도권 전철 중 신한은행 ATM이 설치된 곳은 을지로입구역이 유일하다. 역 근처에 구 조흥은행 본점인 광교영업부가 있다.] [[KEB하나은행]],[* 이 역 외에는 주로 [[신분당선]] 역에 설치되어 있다. 역 바로 앞에 본점이 있다.] [[우리은행]][* 전철역에 ATM이 설치된 경우가 별로 없는데,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과 [[시청역(서울)|1, 2호선 시청역]]에 설치되어 있다. 역 주변에 옛 상업은행 본점인 종로지점이 있다.]의 ATM이 동시에 설치돼 있다. 모두 공동망 제휴기기[* VAN사 제휴까지 포함하면 도보 5분 거리인 [[종각역]] 앞에 본점이 있는 [[SC제일은행]]도 NICE와의 제휴로 들어와 있다.]가 아닌 입금까지 가능한 은행 자체기기로 은행들이 이 역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는지 잘 보여준다. 대구은행 서울지점이 역 바로 앞에 있지만 대구은행은 지점 바깥에 ATM을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이 역에도 들어와 있지 않다. * 1번 출구: 무교동, 하나은행본점 * 1-1번 출구: 서울시청 을지로청사(서울일자리플러스센터), 서울광장 * 2번 출구: 하나은행본점, 무교동, 다동, 청계천 광교, 종각역 방면, 예금보험공사, 영진사이버대학교 * 3번 출구: 종각역 방면, 청계천 광교, 보신각 방면, 우리은행종로지점(광통관) * 4번 출구: 기업은행본점, 서울고용노동청, 국민은행(명동), 청계천 삼일교, 서울고용플러스센터, 을지한빛거리 * 5번 출구: 명동성당, 서울로얄호텔, 신한카드 * 6번 출구: 한국전력 서울본부, 서울중앙우체국, 명동예술극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중구지사 * 7번 출구: 롯데백화점, 롯데영플라자, 신세계백화점, 한국은행 * 8번 출구: 롯데백화점, 롯데호텔, 시청역 방면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서울 지하철 2호선|[[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1><-3>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99,769명 || || || 1995년 || 81,140명 || || || 1996년 || {{{#00a84d 111,258명}}} || || || 1997년 || 93,618명 || || || 1998년 || 85,444명 || || || 1999년 || 자료없음 || || || 2000년 || 91,780명 || {{{#fff,#1f2023 비고}}} || || 2001년 || 92,716명 || || || 2002년 || 96,258명 || || || 2003년 || 95,762명 || || || 2004년 || 97,228명 || || || 2005년 || 99,509명 || || || 2006년 || 97,856명 || || || 2007년 || 94,977명 || || || 2008년 || 95,103명 || || || 2009년 || 98,690명 || ||}}}}}}}}} || || 2010년 || 100,203명 || || || 2011년 || 103,388명 || || || 2012년 || 104,750명 || || || 2013년 || 108,352명 || || || 2014년 || 108,473명 || || || 2015년 || 102,628명 || || || 2016년 || 103,138명 || || || 2017년 || 97,151명 || || || 2018년 || 98,762명 || || || 2019년 || 101,199명 || || || 2020년 || 63,339명 || || || 2021년 || 60,024명 || ||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중구(서울)|중구]]에 위치한 6개의 2호선 역들([[시청역(서울)|시청]]~[[신당역|신당]]) 중 유일한 비환승역이지만 반대로 이용객은 가장 많다. 2005~2007년, 2015~2017년을 제외하고는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명동]]이 인접하여 이곳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자주 이용하는 역이기 때문에 경기 및 외교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게다가 업무/상권이 조화를 이루는 몇 안 되는 역으로서 출퇴근시간에 쏟아지는 직장인들과 명동을 방문하는 쇼퍼 및 외국인 관광객들로 북새통을 이루기에 항상 붐빌 수밖에 없는 역이다. 그래서 노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을 끼고 있는 근처의 1호선 역들과 대조적으로 이곳의 [[무임승차]] 이용률은 전국 최하위를 달린다. 이 외에도 경기도 남부에서 경부고속도로, 남산1호터널을 지나서 온 광역버스들이 근처 IBK 기업은행 버스정류장과 명동국민은행 버스정류장에 정차[* 보통 광화문, 서울역 방면은 IBK기업은행, 경기남부 방면은 명동국민은행에 정차한다. 이외에도 조금만 더 걸으면 경기남부로 향하는 거의 모든 버스가 정차하는 서울백병원 버스정류장도 나온다.]하므로 경기도 남부에서 신촌, 홍대 방면으로의 환승객 이용도 많은 편이다. 전반적으로 옆의 시청역과 비슷한 숫자의 사람들이 이용한다. 두 역 모두 하루에 10만 명 내외의 사람들이 타고 내린다. 2000년에 9만 명이던 것이 2000년대 중반에는 10만 명을 눈앞에 두고 있었고, 2010년에는 하루 평균 10만 명을 돌파했으나 2017년에는 8년 만에 10만 명 선이 깨졌다. 하지만 2019년에 다시 10만 명 선을 회복했다. 과거에는 600m 떨어진 종각역보다 이용객이 적었으나 현재는 상황이 역전되어 을지로입구역의 이용객이 더 많다. 비슷한 위치의 두 역의 이용객 추이를 보면 1호선과 2호선의 위상 변화를 엿볼 수 있다. 2020년에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다른 역들과 마찬가지로 이용객이 대폭 감소했다. 여담으로 초기 2호선의 역들 중에 미디어 매체나 개통자료의 주된 촬영지 가운데 하나였다. 나머지는 [[시청역(서울)|시청]], [[이대역|이대]], [[당산역|당산]], [[신도림역]]이 거의 대부분으로, 당시 입지가 오늘날보다 훨씬 덜했던 강남구간의 사진자료 같은 것은 극히 드물게 남아있으며 역사 디자인도 투박한 타일 일색에 승강장도 좁은 편으로 30년 동안의 강남북 위상 변화를 보여줬다. == 승강장 == ||<-4> [[시청역(서울)|시청]] ↑ || || {{{#ffffff 내}}} || ㅣ || ㅣ || {{{#ffffff 외}}} || ||<-4> ↓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 || || {{{#ffffff 외}}} ||<|2>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서울)|시청]]·[[홍대입구역|홍대입구]]·[[영등포구청역|영등포구청]]·[[신도림역|신도림]] 방면|| || {{{#ffffff 내}}} ||[[을지로3가역|을지로3가]]·[[왕십리역|왕십리]]·[[성수역|성수]]·[[잠실역|잠실]] 방면|| == 연계 교통 == 을지로입구.시청입구(02157) [[서울 버스 172]](상암동) [[서울 버스 400]](염곡동) [[서울 버스 472]](신촌오거리) [[서울 버스 500]](기아대교) [[서울 버스 504]](광명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N62]](양천공영차고지) 서울시청(02100) [[경기광주 버스 32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화성 버스 4108]](서울역버스환승센터) [[수원 버스 8800]](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성남 버스 9007]](서울역버스환승센터) [[광역급행버스 M4108]](서울역버스환승센터) [[광역급행버스 M4130]](서울역버스환승센터) [[광역급행버스 M4137]](서울역버스환승센터) [[광역급행버스 M5107]](서울역버스환승센터) [[광역급행버스 M5115]](서울역버스환승센터) [[광역급행버스 M5121]](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기 프리미엄버스 P9110]](출근)(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11]](출근)(명동국민은행앞)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11]](퇴근)(마북동) 을지로입구(02923) [[서울 버스 TOUR11]](동대문디자인플라자) 을지로입구.시청광장(02641) [[서울 버스 172]](하계동) [[서울 버스 405]](염곡동) [[서울 버스 472]](개포동) [[서울 버스 N62]](면목동) 을지로입구역.광교(02246) * 2번 출구 [[서울 버스 151]](중앙대) [[서울 버스 162]](여의도) [[서울 버스 173]](신촌기차역) [[서울 버스 2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울 버스 262]](여의도) [[서울 버스 506]](서림동차고지) [[서울 버스 702]](서오릉·용두동) [[서울 버스 702]](용두초등학교·용두동) [[서울 버스 705]](진관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N15]](남태령역) [[서울 버스 N62]](양천공영차고지) [[양주 버스 11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용인 버스 1150]](서울역버스환승센터) [[용인 버스 5007]](서울역버스환승센터) [[용인 버스 8100]](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성남 버스 9003]](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성남 버스 9300]](서울역버스환승센터) [[하남 버스 93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광역급행버스 M4101]](숭례문) [[광역급행버스 M4102]](숭례문) 우리은행종로지점(02139) * 3번 출구 [[서울 버스 103]](월계동) [[서울 버스 143]](정릉) [[서울 버스 151]](우이동) [[서울 버스 162]](정릉) [[서울 버스 172]](하계동) [[서울 버스 173]](월계동) [[서울 버스 201]](구리차고지) [[서울 버스 262]](중랑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401]](광화문) [[서울 버스 406]](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울 버스 701]](종로2가) [[서울 버스 704]](부곡리) [[서울 버스 7017]](은평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21]](은평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22]](구산동) [[서울 버스 94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울 버스 N15]](우이동) [[서울 버스 N62]](면목동) [[양주 버스 1101]](덕정역) [[하남 버스 9301]](하남공영차고지) [[성남 버스 9000]](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성남 버스 9200]](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성남 버스 G8110]](오리역) [[용인 버스 5500-2]](서울역버스환승센터) 을지로입구.로얄호텔(02156) * 5번 출구 [[서울 버스 100]](하계동) [[서울 버스 105]](상계주공7단지) [[서울 버스 152]](화계사) [[서울 버스 202]](불암동) [[서울 버스 261]](석관동) [[서울 버스 472]](개포동) [[서울 버스 N30]](강동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01]](동대문역사문화공원) [[경기 프리미엄버스 P9110]](퇴근)(선일초등학교) 명동국민은행앞(02253) * 6번 출구 [[서울 버스 9401]](오리역) [[양주 버스 1101]](덕정역) [[용인 버스 1150]](한국외대) [[경기광주 버스 3201]](광주터미널) [[화성 버스 4108]](나루마을) [[용인 버스 5000]](초당역) [[용인 버스 5000]](명지대) [[용인 버스 5005]](명지대) [[용인 버스 5007]](광교차고지) [[용인 버스 5500-2]](광교차고지) [[용인 버스 8100]](단국대) [[수원 버스 8800]](수원터미널) [[성남 버스 9000]](오리역) [[성남 버스 9003]](운중동) [[성남 버스 9200]](위례동) [[성남 버스 9300]](도촌동) [[하남 버스 9301]](하남공영차고지) [[광역급행버스 M4101]](상현역) [[광역급행버스 M4102]](오리역) [[광역급행버스 M4108]](나루마을) [[광역급행버스 M4130]](동탄2신도시) [[광역급행버스 M4137]](동탄2신도시) [[광역급행버스 M5107]](경희대) [[광역급행버스 M5115]](상현역) [[광역급행버스 M5121]](삼성전자중앙문)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11]](출근)(종점) [[경기 프리미엄버스 P9211]](퇴근)(마북동) 이비스엠버서더호텔(02681) [[공항버스 6001]] [[공항버스 6015]] [[공항버스 6021]] 롯데백화점(02140) [[서울 버스 100]](용산구청) [[서울 버스 143]](개포동) [[서울 버스 151]](중앙대) [[서울 버스 152]](경인교대) [[서울 버스 202]](후암동) [[서울 버스 261]](여의도) [[서울 버스 262]](여의도) [[서울 버스 405]](염곡동) [[서울 버스 501]](대학동차고지) [[서울 버스 701]](진관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2]](서오릉·용두동) [[서울 버스 702]](용두초등학교·용두동) [[서울 버스 705]](진관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17]](은평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21]](은평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N15]](남태령역) [[서울 버스 N30]](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울 버스 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양주 버스 1101]](서울역버스환승센터) 해운센터.롯데영프라자(02141) [[서울 버스 162]](여의도) [[서울 버스 173]](신촌기차역) [[서울 버스 506]](서림동차고지) 롯데영프라자(02142) [[서울 버스 100]](하계동) [[서울 버스 103]](월계동) [[서울 버스 105]](상계주공7단지) [[서울 버스 143]](정릉) [[서울 버스 151]](우이동) [[서울 버스 152]](화계사) [[서울 버스 162]](정릉) [[서울 버스 173]](월계동) [[서울 버스 201]](구리차고지) [[서울 버스 202]](불암동) [[서울 버스 261]](석관동) [[서울 버스 262]](중랑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401]](광화문) [[서울 버스 406]](서울역버스환승센터) [[서울 버스 500]](기아대교) [[서울 버스 504]](광명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1]](종로2가) [[서울 버스 704]](부곡리) [[서울 버스 7017]](은평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21]](은평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7022]](구산동) [[서울 버스 N15]](우이동) [[서울 버스 N30]](강동공영차고지) [[서울 버스 01]](동대문역사문화공원) [[성남 버스 9007]](서울역버스환승센터) 롯데호텔(02639) * 8번 출구 [[공항버스 6701]] == 기타 == * 2005년 8월 13일에 방영된 [[위기탈출 넘버원]] '지하철 선로 추락 시 대처법' 편을 이 역에서 촬영했다. 이때는 을지로입구역에 스크린도어가 없었기 때문에 촬영이 가능했다.[* 사실 이 당시만 해도 2호선 전 구간에 스크린도어가 없었다. 2호선 최초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것은 같은해 10월 [[사당역]]이 최초다.] * 1-1 출구에 피아노 계단이 있다. 서울시 종로구에 있는 [[두산아트센터]] 및 [[일렉트로닉 퍼플]]의 멀티미디어 지역을 떠올리기 쉽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 지하철 2호선의 역 목록)] [[분류:1983년 개업한 철도역]][[분류:중구(서울특별시)의 도시철도역]][[분류:서울 지하철 2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