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은하철도 999)] [include(틀:은하철도 999 극장판 시리즈)] ||<-5>
{{{#cornflowerblue '''{{{+2 은하철도 999}}}''' (1979)[br]''Galaxy Express 999''[br]'''銀河鉄道 999'''}}} || ||<-5>{{{#!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KR20220901049500005_01_i_P4.jpg|width=100%]]}}} || ||<-5> {{{#!wiki style="margin: -6px -10px" {{{#!folding 일본 포스터 ▼ [[파일:은하철도999극장판 1기.jpg|width=100%]]}}}}}} || ||<-5> || ||<-2> '''장르''' ||[[SF]], [[모험#s-3|모험]] || ||<|4> '''제[br]작[br]진''' || '''감독''' ||[[린 타로]] || || '''작화''' ||[[코마츠바라 카즈오]] || || '''각본''' ||이치카와 콘[* 추리소설 [[긴다이치 코스케]] 시리즈 [[이누가미 일족]]의 1976년 영화판으로도 잘 알려진 일본 영화계의 명감독이다.][br]이시모리 후미오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제작진 ▼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기획''' ||로저 코먼 || || '''음악''' ||아오키 노조무 || || '''디자인''' ||쿠보타 타다오 || || '''편집''' ||스킵 슐닉[br]RJ. 키저 || }}}}}}}}} || ||<-2> '''원작''' ||[[마츠모토 레이지]] || ||<-2> '''출연''' ||[[노자와 마사코]][br][[이케다 마사코]][br][[키모츠키 카네타]][br][[이노우에 마키오]][br]타자마 레이코[br]키노미아 료코 ,,외,, || ||<-2> '''제작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토에이 애니메이션|[[파일:토에이 애니메이션 로고.svg|height=30]]]] || ||<-2>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에스피오엔터테인먼트코리아|[[파일:SPO.jpg|height=20]]]] || ||<-2>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토에이|[[파일:토에이 로고.svg|height=30]]]][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디스테이션|[[파일:30dc2ffa28b1965ae9027b696a6b4e60.jpg|height=25]]]] || ||<-2>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1979년 8월 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96년[* 첫 방영 연도] [[투니버스|[[파일:투니버스 로고.svg|height=10]]]] [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1999년 12월 16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2022년 10월 5일|| ||<-2> '''스트리밍'''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nclude(틀:wavve 표시)] [[https://www.wavve.com/player/movie?movieid=MV_CX01_CX0000011649|▶]]|| ||<|3> '''품[br]질''' || '''화면비''' ||1.78:1^^2D, 4K DCP^^ | 1.33:1^^Blue-ray^^[* 블루레이 특전] || || '''타입''' ||[[2차원|[[파일:영화 2D 로고.png|height=20]]]] | [[Dolby Cinema|[[파일:Dolby Cinema 로고.svg|width=100]]]][* 2022년 리마스터]|| || '''상영 시간''' ||<-2>128분 (2시간 8분) || ||<|2> '''박[br]스[br]오[br]피[br]스''' ||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30]][br]{{{#black {{{-2 '''일본'''}}}}}}]] ||'''1,650,000,000엔'''[* 1979년 일본 박스오피스 1위, 일본 박스오피스 역사상 최초로 애니매이션 영화가 1위를 차지했다.][* 2022년 재개봉 성적 미포함]||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30]][br]{{{#black {{{-2 '''대한민국'''}}}}}}]] ||'''3,802명'''^^(2022년 11월 12일 [[https://www.kobis.or.kr/kobis/mobile/main/main.do|기준]])^^ || ||<-2> '''[[영상물 등급 제도|{{{#000000,#dddddd 상영 등급}}}]]''' ||<-2>[[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width=25]] '''[[12세 이용가|{{{#000000,#dddddd 12세 이상 관람가}}}]]''' || ||<-2> '''링크''' ||[[https://www.toei-anim.co.jp/movie/ge999dolby/|[[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height=25]]]][* 리마스터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1979년 8월 4일에 개봉한 [[은하철도 999]]의 첫 극장판으로, 만화판 안드로메다 편을 컴팩트한 형태로 재구성한 작품이다. == 예고편 == [youtube(Y3JeL8CoYng)] == 특징 == [[린 타로]]가 감독을 맡았고 [[코마츠바라 카즈오]]가 캐릭터 디자인을 맡았다. 이들은 [[우주해적 캡틴 하록]]의 제작에도 참여했는데, 해당 TV판을 제작한 주요 스탭들을 당시 토에이 동화 사장 이마다 치아키가 마음에 들어했기 때문에 지명했다는 후문이 있다. 이마다 치아키는 [[우주해적 캡틴 하록]]을 보고 눈물을 흘렸는데 작품 제목과 사람 이름을 잘 기억하지 못해서 "이름을 [[히라가나]]로만 쓰는 그 사람에게 맡겨줘." 라고 해서 린 타로가 감독이 되었다고 한다. 린 타로 감독은 자신이 필명을 한자로 지었다면 감독이 못 됐을 것이라고 한다. 당시 토에이 동화에서 극장판의 감독을 TV판 외부 애니메이터에게 감독을 맡긴 건 이 극장판이 처음으로, 최종적으론 이치카와 곤도 스탭진에 포함시킨다. 스토리는 당시 원작에서 절정으로 꼽히는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재구성했다.[* 초특급열차란 이름과 안 어울리게 수많은 역에 정차한 원작과 달리 극장판에선 [[지구]], [[타이탄]] 위성, [[명왕성]], 트레이더 분기점(헤비멜더), '''행성 메텔'''밖에 정차하지 않았다. 당시 원작과 TV 애니메이션 모두 연재 중 혹은 방영 중이었음을 감안하면 종착역 이름이 메텔이라는 건 [[출생의 비밀|상당히 충격적인 전개]]다.] TV판 기준으로 1화 "출발의 발라드", 3화 "타이탄의 잠자는 전사", 4화 "대도적 안타레스", 5화 "방황하는 별의 쉐도우", 79~81화 "시간성의 해적", 112~113화 "청춘의 환영, 안녕 999"의 6개 에피소드를 스토리의 베이스로 하고, 원작과 TV판에선 여행 전 사건인 기계백작과의 결전이 중반으로 이동하거나, 류즈와 데류즈 자매가 류즈라는 한 인물로 합쳐지는 등 작중 사건이나 등장인물이 전반적으로 재배치되었다. 또한 999호에서의 여행을 통한 [[호시노 테츠로|테츠로]]의 성장과 함께 [[아르카디아 호]]는 어떻게 [[토치로]]를 갖게 되었는지, 미완성인 만화 '퀸 에메랄다스'에서 토치로를 찾은 [[퀸 에메랄다스]]의 여행에 대한 결말도 표현되었다. TV판 은하철도 999를 보기보단 TV판 [[우주해적 캡틴 하록]]부터 보고 이어서 보는 게 오히려 이해하기 편해진다. 같은 린 타로 작품이다보니 그쪽하고 이어주려는 팬서비스가 곳곳에 있기 때문이다. [[은하철도 999(TVA)|TV판]] 방영이 '''1/3 정도 진행되던 중에''' 극장판을 공개했다. 심지어 원작 만화도 결말까지 많이 남은 시점이었다. 다시 말해 은하철도 999의 최대 미스테리인 메텔의 정체가 이 극장판에 처음 나왔다. TV판의 전체 스토리를 축약해 만든 극장판이지만 원작을 과감하게 재해석했다. 테츠로의 캐릭터 디자인을 TV판의 귀여운 감자를 닮은 얼굴에서 좀 더 미소년에 가까운 외모로 과감하게 바꾸었으며, 나이 역시 초등학생 나이인 10세에서 청소년 나이대인 15세로 바꾸어 메텔과의 연인적인 관계를 더 부각시켰다.[* 대신 TV판의 외모를 어린 시절의 외모라는 설정으로 등장시킨다.] 그리고 TV판에서는 서로 관계없이 등장하는 인물을 서로 엮어 좀 더 짜임새 있게 구성하는 등 극장판만의 차별화를 추구했으며, 결말도 TV판하고는 달랐다.[* 애초에 극장판이 TV판이 나오는 시점에 등장하였기에 TV판이 극장판 엔딩을 따라갔다고 볼 수 있다.][* TV판에서는 메텔이 철이에게 편지를 남기고 777호로 갈아타면서 헤어지지만, 극장판에서는 메텔과 철이 모두 지구로 돌아온 다음 철이는 지구에 남고 메텔만 다시 [[999호]]에 타면서 헤어진다.] 당시 TV판 애니메이션을 기반으로 등장하는 극장판 애니메이션은 다시 그리지 않고 TV판을 평균 2시간 분량으로 [[총집편|재편집하는 식의]] 짜집기가 많았기 때문에 이러한 시도는 상당히 신선하게 받아들여졌으며 애니메이션 사상 최초로 1979년 여름 일본 [[박스오피스]] 1위에 오르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러한 시도가 훗날 원작에 미칠 영향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으나 마츠모토 레이지는 관련 인터뷰에서 테츠로가 역에서 펼치는 수많은 만남이 중요한 거니까 괜찮다고 답변했고 원작 만화는 네버 엔딩 노선으로 갔다. 아오키 노조무가 작곡한 [[사운드트랙]] '교향시 은하철도 999'는 [[오리콘]] [[LP]] 차트에서 1위를 기록했으며, '은하철도 999 드라마 편'도 함께 차트 5위를 기록했다. 그리고 락 밴드 고다이고가 연주한 주제가 '은하철도 999'도 오리콘 싱글 차트 최고 순위 2위 · 더 베스트 10 최고 1위를 기록하였다. 그때까지의 [[애니송|애니메이션 주제가]]로는 역대 최고 판매량을 기록하였다. == 평가와 영향 == [include(틀:일본 미디어 예술 100선(애니메이션))] [include(틀:평가/로튼 토마토, code=galaxy-express-999-ginga-tetsudo-three-nine, tomato=없음, popcorn=91)] [include(틀:평가/IMDb, code=tt0080772, user=7.4)] [include(틀:평가/레터박스, code=galaxy-express-999-the-movie, user=3.7)] [include(틀:평가/알로시네, code=44912, presse=없음, spectateurs=3.8)] [include(틀:평가/키노포이스크, code=92783, user=7.4)] [include(틀:평가/야후! 재팬 영화, code=146800, user=4.3)] [include(틀:평가/Filmarks, code=19130, user=3.8)] [include(틀:평가/엠타임, code=76666, user=8.1)] [include(틀:평가/도우반, code=1477924, user=8.6)] [include(틀:평가/왓챠, code=mOkvaJW, user=3.7)] [include(틀:평가/키노라이츠, code=36184, light=90.00)] [include(틀:평가/네이버 영화, code=14002, expert=9.00, audience=8.35, user=8.81)] [include(틀:평가/다음 영화, code=13996, user=8.2)] [include(틀:평가/메가박스, code=22062600, user=8.9)] [include(틀:평가/TMDB, code=15227, user=66)] [include(틀:평가/무비파일럿, code=galaxy-express-999, user=없음)] [include(틀:평가/MyAnimeList, code=1301, user=7.55)] [[프랑스 영화|유럽 영화]]에서 다수 차용한 수려한 연출로 펼쳐지는 아름다운 화면, 뛰어난 작화와 성우 연기, 음악 모든 측면에서 호평을 받은 걸작이다. [[히카와 류스케]]를 비롯한 많은 평론가들이 [[일본 애니메이션/역사|애니메이션 역사]]에 남을 작품이라고 극찬한다. 극장판이라 예산이 많이 투입된 것도 있겠지만, 동시기에 나온 애니메이션들과 비교해도 월등한 퀄리티를 자랑한다. 작화로는 [[코마츠바라 카즈오]], [[츠노다 코이치]], [[카네모리 요시노리]], [[이나노 요시노부]], [[토모나가 카즈히데]], [[카나다 요시노리]] 등 대단한 인력이 참여해 작품을 잘 살려냈다. 작화도 잘 관찰해보는 것이 좋다. 특히 후반에 캡틴 하록이 펼치는 전투 신이 작화로 유명하다. 당시 토에이 사장 오카다 시게루는 기자회견에서 청소년을 대상으로 10억 엔이라는 영화 수익 목표를 발언했는데, 이를 뛰어넘는 16억 5000만 엔의 대흥행을 거두었다. 이듬해(1980년) 제3회 [[일본 아카데미상]] 특별상(화제상)을 수상했고, [[키네마 준보]] 독자 선정 베스트 10에서 5위, 피아피아 텐에서 8위를 차지했다. 영화 팸플릿도 105만 부가 팔리는 등 [[에이스를 노려라]]와 [[기동전사 건담]]과 함께 1970년대 후반에 일어난 일본 2차 애니메이션 붐을 대표하는 작품 중 하나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오히려 TV판보다 이 극장판의 인기가 훨씬 높다. 극장판을 기준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라 봐도 무방하다. 심지어 TV판이 방영하는 중간에 극장판이 개봉해 TV판이 극장판의 스토리와 유사하게 따라가게 된다. 이 때문에 이후 나온 은하철도 999의 설정은 모두 극장판을 따라간다. 애당초 [[프로메슘]]의 캐릭터 디자인부터가 극장판의 디자인을 따르며, 그밖의 결말을 비롯한 세세한 부분의 설정 역시 극장판과 궤를 같이 하기 때문이다. 그밖에도 [[하록|캡틴 하록]]의 [[우주전함]] 아르카디아 호도 이쪽 디자인이 더 큰 인기를 끌어 이쪽 디자인으로 교체되었고 시리즈도 '[[내 청춘의 아르카디아]]'라는 제목으로 리부트되었다. 그렇다고 극장판이 완전한 정사라거나 그런 건 아니다. 마츠모토 레이지는 [[설정 변경|워낙 설정을 자주 바꾸는 사람]]이라 정사니 [[흑역사]]니 하는 개념이 없다. 다만 [[한국]]에는 TV판보다 방영이 한참 늦어졌고, 1997년에 [[스타맥스]]에서 비디오로 낸 게 처음[* 1996년 재더빙판 메텔과 철이 성우인 [[송도영]]과 [[이미자(성우)|이미자]], 차장은 역시 그대로 [[김기현(성우)|김기현]]을 그대로 캐스팅했다.]이며 이후,1990년대 후반에야 [[투니버스|케이블 채널]]에서 방영해 이 작품의 존재를 모르는 사람들이 많아 TV판이 훨씬 인기를 끌었다. 해외에는 [[프랑스]]에서 특히 인기가 있는데 [[미국]]에선 [[일본/문화|동양 감성]]이 담긴데다 옛날 작품이라고 저평가하는 경우도 있다. == 삽입곡 == [include(틀:2020년 일본 애니송 총선거)] ||<-2> '''주제가''' || || '''제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은하철도 999[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銀河鉄道999 || || '''가수''' ||[[고다이고]](ゴダイゴ) || || '''작사''' ||나라하시 요코(奈良橋陽子),[br]야마카와 케이스케(山川啓介) || || '''작곡''' ||타케카와유키히데(タケカワユキヒデ)[* 고다이고 보컬] || || '''편곡''' ||미키 요시노(ミッキー吉野)[* 고다이고의 키보디스트] || [youtube(TgrQ5faJyLE)] || 가사 || ||さあ行くんだ その顔を上げて 자 가는거야, 그 얼굴을 들고, 新しい風に心を洗おう 새로운 바람에 마음을 씻어보자 旧い夢はおいてゆくがいい 오래된 꿈은 놓아두고 가는게 좋아, ふたたび始まるドラマのために 또 다시 시작되는 드라마를 위해 あの人はもう思い出だけど 그 사람은 이제 추억으로 남지만, 君を遠くで見つめている 너를 멀리서 지켜보고 있어 The Galaxy Express 999 은하철도 999가 will take you on a journey 널 여행에 데려다 줄거야 a never ending journey 끝이 없는 여행 a journey to the star 별을 향한 여행 そうさ君は気付いてしまった 그래 넌 깨달아 버렸어, 安らぎよりも素晴らしいものに 편안함 보다 멋진 것에 地平線に見える瞳には  지평선에 보이는 눈동자에는 いつしか眩しい男の光 언젠가는 빛나는 남자의 빛 あの人の眼が頷いていたよ  그 사람의 눈은 알고 있었어, 別れも愛の一つだと 이별도 사랑도 하나라는걸 The Galaxy Express 999 은하철도 999가 will take you on a journey 널 여행에 데려다 줄거야 a never ending journey 끝이 없는 여행 a journey to the star 별을 향한 여행|| ||[youtube(14QoOIM4Z00)]|| || 영문판 || || 가사 || ||I thought I reached the end  The end of a long long journey Only to find It's not over  There's so much more to discover Somewhere in unknown space  In the bright sea of stars Another star is calling  To dream on to keep on searching As long as there are dreams  Burning in the hearts of the young As long as there's desire  You'll never tire The Galaxy Express 999  will take you on a journey a never ending journey  a journey to the star (2절은 1절의 반복)|| [[기타프릭스]] 6th & [[드럼매니아]] 5th에도 판권 커버곡으로 수록되었다. 커버 보컬은 [[이리오 노부미츠]]. 국내판 퍼커션 프릭스 5th에는 'THE GALAXY EXPRESS 999'라는 제목으로 나오며, 보컬이 삭제되고 MIDI음으로 대체되었다. 기타프릭스 8th & 드럼매니아 7th에는 삭제되었는데, 이후 가정용 작품 MASTERPIECE GOLD에 수록되었다. 드럼매니아에서의 채보는 정박으로 나가다 중간에 [[RIGHT ON TIME]]의 약식판(?)으로 16비트 채보가 나오는 형태. 일본의 국민 댄스그룹 [[EXILE]]가 이 노래를 리메이크했다. ~~형에 이어 [[三代目 J Soul Brothers|동생]]도 불렀다~~ [youtube(x4TDulEu_jI)] 2016년에는 Cupitron이라는 여성 아이돌 그룹이 테크노 팝 장르로 커버했는데, 이들이 이 곡으로 활동할 당시 컨셉 의상을 만들어준 사람이 다름아닌 '''이 만화의 원작자 [[마츠모토 레이지]]다.''' 본인이 직접 '''디지털 세계의 요정''' 컨셉을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고. 이 극장판이 나온지 40년 정도 지난 2020년에도 이 노래에 대한 일본인들의 사랑은 여전해서, [[테레비 아사히]]에서 실시한 일본 애니송 총선거에서 16위를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2022년에 개봉한 애니메이션 영화 [[스즈메의 문단속]]에 고다이고가 부른 은하철도 999 극장판 엔딩곡이 삽입되기도 했다. 다만 원곡이 삽입된 것은 아니고, [[산요 신칸센]]의 발차 멜로디 버전이 삽입되었다. == 기타 == * 당시 극장용 애니메이션은 어린이용은 20분에서 40분 짜리 여러 개를 세트로 묶어 상영했다. 아이들은 집중력이 떨어져 1시간 30분이 넘는 영화를 보지 못할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작품은 애들이 보라고 만든 게 아니라 1시간 30분 정도의 장편으로 제작했으나 원작보다 먼저 결말이 나온다는 소리에 초중학생이 몰려와서 성인은 물론이고 어린이를 상대로도 흥행에 성공했다. 이를 보고 제작한 본격 어린이용 극장 애니메이션이 [[도라에몽]]의 극장판 [[진구의 공룡대탐험]]이다. * 테츠로와 [[메텔]]이 헤어지는 장면을 수록할 당시 성우진 및 관계자들 모두 감격해 울어버리는 바람에 레코딩 작업이 제때에 진행되지 않았다고 한다. * 린 타로의 야심작이라 콘티를 굉장히 자세하게 그렸다. 마츠모토 레이지가 직접 그렸나 의심할 정도로 잘 그려냈다. * 일본에서 Dolby Vision+를 적용하여 [[4K]] [[HDR]]로 리마스터하고 음성 부분에 Dolby Atmos를 적용해 Dolby Cinema판을 제작하여 2022년 1월 14일부터 '은하철도 999'를, 21일부터 '안녕 은하철도 999-안드로메다 종착역-'을 상영했다. 4월 22일부터 일반 영화관에서 4K 리마스터판을 재개봉했다. * 2022년 10월 5일, 은하철도 999 극장판이 4K 리마스터 버전으로 한국 메가박스 돌비 시네마에서 개봉한다. 일본에서 첫 개봉 후 '''무려 43년만에''' 국내 극장에서 선보이게 된다. 공식 매체를 통틀면 투니버스 방영 이후 26년만이다.[[https://www.yna.co.kr/view/AKR20220901049500005?section=news&site=popup_newsflash|#]] 물론 현재는 표가 매진되어 더이상 극장에서 상영해주지 않는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은하철도 999, version=827, paragraph=5.2.1.)] [[분류:은하철도 999/애니메이션]][[분류:일본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79년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애니메이션 영화]][[분류:일본의 SF 영화]][[분류:토에이 애니메이션]][[분류:일본 만화 원작 애니메이션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