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nclude(틀:북한의 일반철도 노선)] 殷山線 / Ŭnsan Line == 개요 == [[은산역]]과 [[대건역]]을 잇는 짧은 지선. 길이는 5.8km. [[평라선]] [[은산역]]의 이전 역([[평양역]] 방면)은 [[신련포역]]인데, 이 신련포역이 [[대건역]]과 매우 가깝다(2.1km). 그리고 신련포역과 은산역의 거리는 8.0km. 어렵게 이야기했는데 쉽게 말해서 거꾸로 돌아가는 것. 때문에 노선 분기 방향도 [[평라선]]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구글 어스]]상으로 보았을 때 [[대건역]]까지 다다른 열차가 뒤로 돌지 않으면 [[무진대역]] 방면으로 갈 수 없기 때문에 은산선은 이 대건역에서 끝난다고 보아야 한다. 마찬가지 이유로 [[대건역]]에서 [[모학역]]으로 이동하면 [[학산역]]으로 갈 수 없기 때문에 [[모학역]]이 은산선 소속이 아닌 것이다. 이에 대한 간단한 도식은 [[대건역]] 문서를 참고하라. 짤막한 지선이라 별볼일없어 보이지만 [[은산]]읍과 학산로동자구, 성산로동자구(이쪽은 [[성산인입선]]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성산인입선이 이 노선에서 분기)를 이어 주는 노선이라 나름 주가가 있는 편이다. 항상 기억해야 할 것이, 북한의 행정구역상으로는 읍 > 로동자구 > 동, 리이기 때문에 로동자구를 지나간다는 것은 그만큼 수요와 중요도가 있다는 뜻이다. 참고로 은산군의 나머지 세 로동자구 중 구봉로동자구와 재동로동자구는 평덕선에서 분기하는 [[령대선]]과 [[재동선]](다른 말로 신창탄광인입선이라고도 함)으로 연결되어 있고, 천성로동자구는 [[천성탄광선]]이 [[평라선]] [[신창역(평라선)|신창역]]에서 분기한다. == 역 목록 ==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 규정에 따라 적었다. |||||||||||||||| 은산선 역 목록 || |||| 역 명 || 역간거리 || 기점거리 || 종점거리 || 분기노선 || 비고 || 소재지 || || [[은산역|은 산]] || 殷 山 || 기점 || 0.0 || 5.8 || [[평라선]] || ||<|2><:><#e0e0ff> 평남 은산군 || || [[학산역|학 산]] || 鶴 山 || 2.5 || 2.5 || 3.3 || [[성산인입선]] || || || [[대건역|대 건]] || 戴 建 || 3.3 || 5.8 || 0.0 || [[대건선]][br][[직동탄광선]][br][[모학선]] || || 평남 순천시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분류:북한의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