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옛날 옛적에(애니메이션))] ||<-2>
{{{#373a3c,#dddddd '''{{{+1 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 (1991, 1992)}}}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 왓챠 썸네일.jpg|width=100%]]}}} || ||<-2>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
'''{{{#373a3c,#dddddd 장르}}}''' ||[[전래동화]] || || '''{{{#373a3c,#dddddd 기획}}}''' ||정승배 || || '''{{{#373a3c,#dddddd 연출}}}''' ||민영문 || || '''{{{#373a3c,#dddddd 그래픽 디자인}}}''' ||이영범 || || '''{{{#373a3c,#dddddd 원화감독}}}''' ||박치만 || || '''{{{#373a3c,#dddddd 음향효과}}}''' ||[[한국방송공사|KBS]] 효과부 {{{-2 (1기)}}} ---- 최경상[br]장기권[br]이경신[br]정정일[br]{{{-2 (2기)}}} || || '''{{{#373a3c,#dddddd 녹음}}}''' ||김설파 {{{-2 (1기)}}} ---- 박지원[br]전종일{{{-2 (2기)}}} || || '''{{{#373a3c,#dddddd 음악}}}''' ||왕준기[br]이남홍 || || '''{{{#373a3c,#dddddd 텔레시네}}}''' ||정현수[br]김원호 {{{-2 (2기)}}} || || '''{{{#373a3c,#dddddd 애니메이션 제작}}}''' ||[[세영동화]] || || '''{{{#373a3c,#dddddd 제작}}}''' ||[[한국방송공사|KBS]] || || '''{{{#373a3c,#dddddd 방영 기간}}}''' ||1기: [[애니메이션/1991년|1991. 04. 12.]] ~ 1991. 06. 21.[br]2기: [[애니메이션/1992년|1992. 04. 17.]] ~ 1992. 07. 10. || || '''{{{#373a3c,#dddddd 방송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50]]]] || || '''{{{#373a3c,#dddddd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옛날티비 : KBS Archive[br][[왓챠|[[파일:왓챠 로고.svg|height=16]]]] [[https://watcha.com/contents/tEKx1jR|▶]] || || '''{{{#373a3c,#dddddd 편당 러닝타임}}}''' ||20분 || || '''{{{#373a3c,#dddddd 화수}}}''' ||26화[* 1기당 13화 2기 구성] || || '''{{{#373a3c,#dddddd 국내 심의 등급}}}'''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등급 제도#관련 규정|[[파일:모든 연령 시청가 아이콘.svg|width=20]] {{{#ffffff 모든 연령 시청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옛날 옛적에 2기.png]] [[배추도사 무도사]]의 후속작으로 1991~1992년에 첫 방영되었다. == 특징 == 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로 제목이 바뀌고 제작사는 세영동화로 바뀌었고 이야기꾼 캐릭터도 별나라에서 왔다는 은비와 꼬마 도깨비 까비로 바뀌었다. 소년 소녀형 캐릭터로서 아이들과 동질감을 이루기가 더 쉬운 느낌이 나며, 구름 비행기를 타고 날아다니거나 마법을 쓰기도 하는 등 재미있는 요소들이 인상적이다. 이 역시 중복 캐스팅이 만연하여 [[오세홍]]과 [[장광]], [[김규식(성우)|김규식]], [[김준(성우)|김준]], [[김익태]], [[임성표]], [[신흥철]] 등이 주연부터 단역까지 고루 맡았다. 1화에서 보면 까비는 장난을 치다가 비를 내리는 역할을 맡는 도깨비였던 아버지의 일을 방해한 것도 모자라 비내리는 기구를 부셔버렸다. 그로 인해 지상에 큰 홍수를 일으켰기 때문에 아버지가 감옥에 가고 아버지를 풀어 주고 싶으면 천 가지 착한 일을 해서 죄값을 치르고 오라고 추방을 당했다. 은비와 까비는 가까이서 이야기의 주인공들을 관찰하는데, 가끔은 그들의 삶 속에 들어가서 간섭을 하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 전래동화의 전개를 바꾸지는 않는다. 참신한 시도인 것 같지만 사실 이 구성은 1971년에 나온 무시 프로덕션의 후지TV 애니메이션 '안데르센 동화(アンデルセン物語)'에서 이미 시도한 것이다. || [[파일:attachment/옛날 옛적에/2.jpg]] || || 안데르센 이야기(アンデルセン物語) || 안데르센 이야기(アンデルセン物語, 1971년): [[무시 프로덕션]] 제작. 후지 테레비에서 '칼피스 극장' 시간대에 52부작으로 방영된 바 있으며, 한국에선 비디오로는 만화 세계 옛날 이야기 등과 묶여져서 비디오로 84년 현대영상에서 더빙하여 낸 바 있다. 한국애니 은비까비가 이 애니에 나온 두 주인공 포지션과 설정을 베꼈다고 할 정도이다. 제작 당시 프로듀서는 이와사키 마사미[* 성우와 동명이인.], 요정 설정은 마키노 케이이치, 작화설정은 세키 슈이치&하타 마사미, 편집은 치쿠라 유타카, 음악은 우노 세이이치로 등이 각각 맡았다. 일본에선 2005년부터 [[일본 컬럼비아]]를 통해 DVD로 나왔다. 이 작품은 1975년 6월 19일부터 9월 26일까지 <안델센 동화집>이란 제목으로 KBS-TV를 통해 처음 방영되어 1981년 1월 5일부터 1982년 1월 18일까지 [[MBC]]에서 재더빙 방영됐다.[* 이후 <안데르센동화>란 제목으로 재더빙해서 [[만화 세계 옛날 이야기]],[[만화 이솝이야기]]와 같이 묶여져서 비디오로 1984년 현대영상에서 더빙하여 낸 바 있다. 그리고, MBC 방영분 중 6편은 비디오로도 나와서 판매된 적이 있다. 판매되었던 시기는 대략 2004~2005년까지였던 걸로 추정. 2007년 DVD로 재발매. 비디오로 나왔던 편들은 유튜브나 곰TV에서 볼 수 있다.] 캔티(성우는 [[송도영]], 한국 더빙판 이름은 술술이다.)[* 여담이지만, 술술이는 옆모습을 보이면 돼지저금통 같은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보람이는 하도 덜렁대고(특히 술술이가 없는 사이에 사과를 먹다가 술술이가 마술을 써서 소환하거나 술술이의 설명 도중에 옆에서 [[막대사탕]]만 쪽쪽 빠는 등)술술이를 약올리기 일쑤다 보니 술술이에게 많이 까이지만.], 즈코(한국어 더빙판 이름은 보람이이며 성우는 [[우문희]]). 여기서는 주인공이 선행을 해서 선행카드를 100개 모아야 마법학교에서 공주로 변신하는 방법을 배운대나... [[http://blog.naver.com/kbrkjs?Redirect=Log&logNo=50110604705|링크]] 그래서 틀이나 캐릭터 구성을 베꼈다는 비판도 받았다. 은비 까비 또한 에피소드 별로 작화감독이 여럿 바뀐 터라 그림체가 제각각이다. '''특히 은비와 까비의 얼굴 생김새가 에피소드 별로 달라진다.''' 1기에서는 시대적 배경이 [[삼국시대]]나 [[발해]], [[고려]] 시대가 배경일 것으로 추측되는 이야기도 많이 나온다. 하지만 2기에서는 원전은 어떤지 알 수 없으나 작중 묘사되는 복식 등으로 보아 [[조선]] 시대로 보이는 이야기가 절대 다수이다. 다만, 비슷한 구도는 이게 처음이 아니다. 은비까비의 제작 총지휘자가 세영동화 대표 [[김대중(동명이인)#애니메이션 감독|김대중]] 감독인데, 도깨비와 소녀 캐릭터가 주역으로 등장하는 동화 연작 애니메이션을 [[동화나라 ABC]]에서 이미 사용했다. 물론 이 애니메이션도 1987년작이므로 오리지널이라기 보다는 이 때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것이 더 정확할지도 모른다. 사실 김대중이라는 인물부터가 세영동화를 이끌면서, [[우주 흑기사]]와 맞먹을 정도로 [[캡틴 하록]]과 [[캡틴 퓨쳐]]를 짜깁기한 '[[우주대장 애꾸눈]]'이라는 막장 표절 애니메이션 극장판을 만들었던 초년부터 [[2020 우주의 원더키디]]라는 한국 TV애니메이션 중에서도 독보적 명작을 만들었던 양극단의 경력을 가진 인물이기 때문이다. 화인프로덕션이 비디오테이프로 낸 바 있으며 1994년쯤에 삼성전자가 '나이세스' 브랜드로 [[LD]]로도 발매한 바 있다. 2006년에 DVD엔터가 [[DVD]]로 출시한 적이 있으나, 1CD 당 4화 구성의 총 3CD로 1기 분량의 12화만 수록되었다. 그 후 2014년에 클래식라인에서 다시 출시되어 <할머니가 들려주신 옛날이야기>라는 부제가 붙어서 총 6CD 구성으로 2기도 포함하여 26화 모두 수록되었다. 종영 후 KBS1을 비롯해 [[투니버스]]와 [[JEI 재능TV]] 등지에서 수차례 재편성됐고, 2021년 8월 9일부터 사흘간 유튜브 'KBS 옛날티비' 채널에 <[[두치와 뿌꾸]]> 후속으로 오후 6시마다 업로드했고, 동월 16일부터 27일까지 2기를 1주당 파트별로 나눠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 등장인물 == [[파일:w0XThm3.png|width=500]] * 은비(왼쪽) 성우는 [[전기병(성우)|전기병]]. 일단은 [[선녀]] 같은데... 정체 불명의 '''[[외계인]]'''[* 참고로 진짜 [[시리우스]]까지 거리는 8.6광년이다. 주제가에선 ~~대충 올림을 적용했는지~~ 8.7광년(1990년대까지만 해도 시리우스까지의 거리는 천문학 서적에도 8.7광년이라고 나왔다.)이라고 나온다.] 까비를 도와준 이래 계속해서 까비를 도와주는데, 어째서 은비가 까비를 도와주는지 그 자세한 연유는 작중에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마법... 같은 것을 쓸 수 있는 듯 한데, 그다지 강하지 않다... 까비가 [[삽질]]할 때마다 잔소리 하거나 구박하는게 주된 역할. * 까비(오른쪽) 성우는 [[김성희(1954)|김성희]]. 종족은 [[도깨비]]. 장난을 치다가 비를 내리는 역할을 맡은 도깨비였던 아버지의 일을 방해한 것도 모자라 비내리는 기구를 부셔버린 탓에 지상에 큰 [[홍수]]를 일으켰다. 그래서 아버지가 감옥에 가고 아버지를 풀어주려면 '''1000가지 착한 일'''을 해서 죄값을 씻어야 한다.[* 도중 자신같은 장난꾸러기는 착한 아이가 제대로 될수 없다고 절규하는 와중에 은비가 두건과 모자를 씌웠다.] 구름비행기를 운전할 수 있으며 착한 일을 해서 '''그것이 현재에 내려오는 동화의 결말이 되어''' 해피 엔딩을 만든다. 뒤에 달고 다니는 방망이로 요술을 부릴 수는 있는데 꽤 어설퍼서 실수도 많이한다. 개구쟁이이면서 상당히 어리버리한 성격으로 사고도 많이 치는데 그럴때마다 은비한테 혼나거나 제 꾀에 골탕먹기도 하는 모습도 자주 보인다. 여담으로 [[발]] 모양이 작화에 따라 매번 바뀌는데 '''빨간색 돼지발굽 모양'''으로 보이는 발은 대체 어떻게 생겨먹은건지 미스테리(...) 또한 까비가 착용하고 있는 모자와 두건은 은비가 준 선물이다. 정확히는 은비가 까비한테 씌워준 것이다.[* 은비까비의 옛날 옛적에의 오프닝에 이 장면이 나온다. 밑의 '주제가' 단락에 있는 동영상에서는 18초 부분에서 나온다. 도깨비인걸 감추기 위해 두건을 쓰게 했는데 뿔과 머리카락이 뚫고 나와서(...) 그부분에 모자를 씌워놓았다.] 방영 당시 까비는 일본의 [[오니]], 그리고 은비는 서양의 [[요정]]의 모습에 가깝다고 하며, 한국 전래동화를 얘기하는데 국적 불명의 캐릭터들이 등장함을 비판하는 신문기사가 나기도 했다. 다만 까비의 경우 [[일제강점기]]의 영향으로 한국에서 도깨비의 스테레오타입으로 오니의 모습이 자리잡았음을 감안해야 하며, 은비는 [[선녀머리]]이다 보니 동양적인 느낌도 있다. == 주제가 ('''[[조갑경]]'''-장재남[* 포크가수로, 같은 가수인 장미리의 남동생이자 장은아의 친오빠다. 대표곡으로는 '빈 의자', '그 모습' 등이 있다.] 노래) == [youtube(zp8DvPnCWAU)] 작사는 최진박, 작곡은 임정호가 각각 맡았으며, 위 영상은 투니버스 재편성판이다. ||무지개 타고 내려왔나 바람 타고 날아왔나 호호호호 초초초초 호호호호 초초초초 심술쟁이 혼내주고 어려운 이 도와주는 귀여운 내 친구 8.7광년 먼 하늘 큰개자리 빛난다 시리우스별 으으은비 커다란 방망이 요술 방망이 으쌰쌰쌰쌰쌰쌰쌰 초초초초초 장난꾸러기 까까까까비 무지개 타고 내려왔나 바람 타고 날아왔나 호호호호 초초초초 호호호호 초초초초 구름 비행기 타고서 옛날 이야기 날라주는 귀여운 내 친구 은비 까비|| == [[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에피소드 가이드|회차 목록 및 에피소드]]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은비 까비의 옛날 옛적에/에피소드 가이드)] == 둘러보기 == ||<-5> [[KBS 2TV]] 금요일 애니메이션 || ||<:> 1989.10.6~12.29 || → ||<:> 1990.1.5~3.30 || → ||<:> 1990.4.6~6.29 || ||<:> [[2020 우주의 원더키디]] || → ||<:> '''옛날 옛적에''' || → ||<:> [[천방지축 하니]] || ||<:> 1990.10.5~12.28 || → ||<:> 1991.1.4~3.30 || → ||<:> 1991.4.4~6.28 || ||<:> [[영심이(애니메이션)|영심이]] || → ||<:> '''옛날 옛적에''' || → ||<:> '''은비까비의 옛날 옛적에 1''' || ||<:> 1991.7.5~9.27 || → ||<:> 1991.10.4~1992.1.10 || → ||<:> 1992.1.17~4.10 || ||<:> [[영심이(애니메이션)|영심이]] || → ||<:> [[날아라 슈퍼보드]] 1, 2 || → ||<:> '''은비까비의 옛날 옛적에 1''' || ||<:> 1992.4.17~7.10 || → ||<:> 1992.7.17~8.14 || → ||<:> 1992.8.21~1993.3.19 || ||<:> '''은비까비의 옛날 옛적에 2''' || → ||<:> [[지구는 초록별]][* 92 여름방학 특선으로 방영되었다.] || → ||<:> [[날아라 슈퍼보드]] 2, 3 || ||<:> 1993.3.26~6.18 || → ||<:> 1993.6.25~9.17 || → ||<:> 1993.9.24~10.15 || ||<:> '''은비까비의 옛날 옛적에 1, 2''' || → ||<:> [[마법사의 아들 코리]] || → ||<:> [[날아라 슈퍼보드]] 3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배추도사 무도사의 옛날 옛적에,version=285)] [[분류:한국 애니메이션/목록]][[분류:1991년 애니메이션]][[분류:1992년 애니메이션]][[분류:KBS 방영 애니메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