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bgyE3_XEwek)] [목차] == 소개 ==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 관련 이야기. [[스타크래프트 프로리그/올스타전#s-2.5|프로리그 2007 올스타전]] 당시, 2:2 팀전에서 있던 일. 팀 구성은 [[심소명]]([[저그]] 11시), [[김윤환(1988)|김윤환]]([[테란]] 7시) VS [[박정석]]([[프로토스]] 5시), [[조형근]](저그 1시)이었다.[* 각각 도전과 열정이라는 이름의 팀으로 참가했다. 결과는 도전 팀이 5:2로 승리.] 이 때 김윤환이 [[과학선|사이언스 베슬]]로 박정석의 [[용기병(스타크래프트 시리즈)|드라군]]에게 [[이레디에이트#s-2]]를 걸었는데, 드라군은 이레디에 안 죽는다. 이레디에이트는 기계(메카닉 및 로보틱스) 유닛에게는 피해를 입히지 않기 때문이다.[* 메카닉과 로보틱스를 통틀어 이레디에 걸리는 유일한 유닛은 [[건설로봇|SCV]]인데, 바이오닉 속성도 같이 붙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레디에이트에서 구분하지 않는 메카닉과 로보틱스의 차이는 메카닉은 파일럿이 조종하는 유닛이고, 로보틱스는 완전 무인기라는 의미. ([[거미 지뢰|스파이더 마인]], [[관측선|옵저버]]가 대표적인 로보틱스다.) [[공생충(스타크래프트 시리즈)|브루들링]]의 경우 이레디와 달리 메카닉까지 원킬내버리기에 이 문서 내용에서 보듯 이레디 면역인 드라군의 [[피닉스(스타크래프트)|영웅 유닛]]은 브루들링 밈의 희생자가 되었다.] 처음에는 해설자들이 '''"클릭 잘못이다"''', '''"([[광전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질럿]] 대상) [[지우개(동음이의어)|지우개]]일 수도 있다[* 이론상 질럿에게 걸면 걸린 질럿이 먼저 죽어 주위 유닛들에게는 160의 데미지만 들어가지만 드라군에게 건 때에는 드라군이 죽지 않기 때문에 260의 데미지가 온전히 들어간다. 더 많은 질럿을 죽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 물론 이론상으로나 그렇고, 실제로는 질럿이 그 드라군 옆에 붙어 있지 않으면 데미지 안 받는다. 그리고 애초에 프로토스에게는 이레디보다는 [[프로토스 보호막|실드]]와 마나를 '''즉시''' 다 날려버리는 [[EMP(스타크래프트 시리즈)|이엠피]]가 훨씬 더 효율적이다.]"''', '''"팬 서비스적인 차원이다"'''라 하다가, 나중에도 이곳저곳의 드라군에게 이레디에이트를 걸자 '''"장난친 거다"''', '''"드라군에 대한 악감정이다"'''~~피의 실드?~~라는 말을 했는데, 그 다음의 채팅 내용이 가관이다. >정석 : 근데 >정석 : 윤환아 >윤환 : 네? >정석 : 드라군은 >정석 : 이레데잇에 >정석 : 안죽어 >윤환 : ... >정석 : 왜 그러니 >윤환 : '''저 몰라여''' 문제는 이게 장난이 아니라는 것. 동영상과 해설진들의 말을 들어보면 알겠지만 이 때 [[김윤환(1988)|김윤환]]은 '''진지했다'''(...) 그런데 '''그 다음은 더 걸작'''. ~~폭소하는 [[김가을(e스포츠)|김가을]].~~ >정석 : 이런 >형근 : ㅠㅠ >정석 : '''그걸 모르는 녀석한테''' >정석 : '''지다니''' >윤환 : ㅜㅜ >정석 : 수치다 >윤환 : '''저도 형이''' >윤환 : '''부끄러워여''' == 그 밖에 == 이 사건의 결론은 게임 전문가인 [[프로게이머]]라도 게임 기본 지식을 모를 수 있다는 것. 프로토스를 상대로 이레디에이트를 거는 일은 그냥 없다.[* 프로토스의 유닛들 중 이레디에이트의 영향을 받는 건 [[광전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질럿]], [[고위 기사|하이 템플러]], [[암흑 기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다크 템플러]] 셋 뿐인데, 질럿은 소모성 유닛이고, 닥템은 디텍터에 걸리기만 해도 제 성능을 발휘할 수 없으니, 하템 저격용으로밖에 쓸 수가 없는데, 여차하면 그냥 [[집정관(스타크래프트 시리즈)|아칸]]으로 합쳐버리면 그만이며, 하필이면 이레디에이트 스킬 바로 옆칸에 [[EMP(스타크래프트 시리즈)|대 프로토스전 결전병기]]가 있어서 그냥 안 쓴다.] 2:2 팀전이라서 이레디에이트를 프로토스에게 시험해볼 수 있는 환경이라도 만들어진 것이다. 본인도 아예 몰랐다기보다는 혹시 될까 싶은 실험정신이었을 수도 있다. 아니면 조형근의 [[뮤탈리스크]]를 지우개 시킬 의도도 있었으면 타이밍이 잘못됐거나... 정말 된다고 생각했다면 진작에 베슬 먼저 뽑았을테니... 그런데 후에는 [[http://blog.naver.com/changhan1110/140203573542|드라군에게 걸지 말랬더니 저글링에게 걸고 앉았다]](...). 이건 정말로 뮤탈이 빠르게 날아다닌 바람에 [[삑사리|잘못 누른 듯 하다]]. 물론 저글링은 생물이니까 걸어도 되지만, 이레데잇은 뮤탈 같은 체력 많고 큰 유닛들을 상대로나 효과 만점이지 [[저글링(스타크래프트 시리즈)|저글링]]이나 [[히드라리스크]] 같은 체력 적고 작은 유닛들에게는 마나 낭비다.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도 드라군에게 이레디를 건 적이 있다. 먼 뒷날, 같은 [[kt 롤스터/스타크래프트|KT]] 출신 후배 [[이영호]] 역시 [[빨무]]에서 뭉쳐있는 프로브한테 이레디에트를 걸었지만, 당연히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https://www.youtube.com/watch?v=31CrLRCCTgk&feature=youtu.be&t=1m28s|윤환아 이제 드라군도 이레디 걸린다 ㅋㅋ]]~~[* 영상의 타이틀을 보면 알겠지만, 베슬의 이레디가 [[EUD|건물과 메카닉 유닛에게도 통하도록]] 조작해놓은 것이다.] 이를 패러디한 랜덤능력 크래프트 투혼 능력 중 하나의 이름이 '''드라군은 이레데잇에 죽어'''[* '''모든 건물 및 유닛이 생체 효과를 얻어서 이레디에이트에 피해를 입는다.''']다. [[스타 다큐멘터리]] 사이언스 베슬편에도 등장하였다. [각주] [[분류:스타크래프트 시리즈/유행어]][[분류: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필수요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