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윤태현)] [목차] == 개요 == [[SSG 랜더스]] 소속의 [[언더핸드 스로|언더핸드 투수]], [[윤태현]]의 선수 경력을 정리한 문서다. == 아마추어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인천고 윤태현.jpg|width=10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7iwMxARoks)]}}}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태현 피칭.gif|width=100%]]}}} || || '''봉황대기 결승전, 윤태현의 피칭[* [[두산 베어스]] 소속의 내야수인 당시 서울고 3학년 [[안재석]]을 삼진 잡는 모습]''' || 2020년 2학년 때는 '''10경기 등판하여 5승 1패 42⅔이닝 46삼진 ERA 1.05''' 로 팀을 이끌며 학교 역사상 첫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대회|봉황대기]] 우승'''을 만들었다. 이런 활약을 바탕으로 '''우수투수상과 최우수선수상을 휩쓸고''' 아마추어 부분에서 당시 유력 후보였던 '''강릉고 [[김진욱(2002)|김진욱]]을 제치고 [[최동원 상]]'''까지 수상했다. 3학년 때는 4월 24일 선린인터넷고와의 주말리그 경기에서 타구를 얼굴에 맞는 부상을 입었고 부상 복귀 이후 부침을 겪었다. 그러나 야탑고와의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황금사자기]] 32강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5.2이닝 5피안타 10탈삼진 무사사구 1실점으로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WmvSFGxbL0)]}}} || 16강전에서는 휘문고를 만나 4회 등판하여 4이닝 2피안타 3탈삼진 2볼넷 무실점으로 기세를 이어나갔다. 8강 강릉고전에서 2회 1점차로 지고 있는 상황에 등판하여 6⅓이닝 6피안타 2탈삼진 1사구 1실점으로 호투했으나 팀 타선이 침묵하면서 탈락했다. 황금사자기 최종 성적은 '''16이닝 13피안타 17탈삼진 2볼넷 1사구 1실점 WHIP 0.94 ERA 1.13'''을 기록했다. [[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2021|대한민국 U-18 야구 국가대표팀]]에 선발되어 [[WBSC U-18 야구 월드컵|제30회 WBSC U-18 야구선수권대회]]에 가게 되었지만 대회가 2022년으로 연기되면서 대표팀 소집이 취소되었다.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장기 전국고교야구대회|협회장기]]에서는 부천고 상대로 4이닝 5피안타 5탈삼진 2볼넷 1사구 2실점으로 부진했고 팀도 3:6으로 패배하며 32강 진출에 실패했다. 이로서 윤태현의 1차 지명전 쇼케이스를 마무리 하였고 3학년 성적은 '''10경기 등판하여 4승 1패 46⅓이닝 45삼진 ERA 2.15''' 라는 성적을 기록하였다.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투구수 || 승 || 패 || 승률 || ERA || 피안타[br](피홈런) || 4구+사구 || 탈삼진 || 실점(자책점) || WHIP || 피안타율 || K/9 || || 2019 ||<|3> [[인천고등학교 야구부|인천고]] || 1 || 0 || 2 || 0 || 0 || 0.000 || - || 2(0) || 0+0 || 0 || 0(0) || - || 1.000 || - || || 2020 || 11 || 42⅔ || 555 || 5 || 1 || 0.833 || 1.03 || 27(1) || 5+2 || 46 || 7(5) || 0.74 || 0.174 || 9.71 || || 2021 || 10 || 46⅓ || 684 || 4 || 1 || 0.800 || 2.15 || 44(0) || 10+4 || 45 || 17(11) || 1.17 || 0.237 || 8.74 || ||<-2> 3년 통합 || 22 || 89 || 1241 || 9 || 2 || 0.818 || 1.62 || 73(1) || 15+6 || 91 || 24(16) || 0.99 || 0.213 || 9.20 || SSG가 2020시즌에 9위를 했기에 전국 단위 1차지명을 행사할 수 있지만 큰 부상이 없는 한 전국구급이자 지역 최대 유망주인 윤태현을 포기하기는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가능성은 거의 없지만, 한화가 지역 유망주 지명을 택해 [[김도영(2003)|김도영]] 혹은 [[문동주]]가 SSG의 지명 순번까지 남는다면 전국 지명권으로 지명할 가능성도 있었지만, 2021년 8월 23일 기사에서 '''1차 지명이 윤태현으로 확정'''났다고 한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77&aid=0000315422|출처]] SSG 랜더스는 최근 몇년간 [[박종훈]]-[[박민호]]-[[김주한]]-[[장지훈(1998)|장지훈]] 등 기량이 뛰어난 언더핸드-사이드암 투수들을 연이어서 배출했던 만큼, 윤태현은 SSG 1차 지명을 통해 선배들로부터 여러가지 배울 수 있는 기회를 부여받음과 동시에 저런 쟁쟁한 선배들과의 경쟁을 이겨내야만 하는 과제 또한 받게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FfSEW5NFgMs)]}}} || 이후 2차 드래프트가 열리는 9월 13일 [[불타는 그라운드]]를 통해 윤태현의 1차 지명 풀스토리가 쓱튜브에 업로드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태현 시구.jpg|width=100%]]}}} || 10월 30일 홈 마지막 경기이자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시구를 하러 랜더스필드에 방문했는데 전혀 안되는 제구로 팬들에게 웃음을 줬다.[* 구단 유튜브에서 밝히기론 여러 행사 때문에 어깨를 풀 시간이 없어 그랬다고 한다. 스트라이크만 넣을테니 제발 잊어 달라고 호소하기도..] == 프로 시절 == === [[SSG 랜더스]]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0윤태현.jpg|width=100%]]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2i2g9_2BaEM)]}}} || 김태우 기자의 기사를 통해 2022년 SSG 랜더스의 1차 지명 선수임을 확정지었다.[[https://twitter.com/SPOTV_skullboy/status/1429656464700829704?s=19|#]] 8월 26일 계약금 2억 5,000만원, 연봉 3000만원에 1차지명자중 가장 먼저 입단계약을 체결하였다.[* 이 계약금 2억 5천만원은 SSG의 리빙 레전드인 [[김광현]]의 5억 이후 '''최고로 높은 계약금'''이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144&aid=0000758235|#]] 10월 3일 문학 kt전과 [[채병용]]의 은퇴식이 끝나고 진행되었던 신인 드래프트 라이브 스트리밍에서, [[류선규]] 단장이 내년 5-6선발 선수로 1군에서 쓰겠다고 언급하였다. 내년의 즉전감 선수로 기대하는 팬들이 많지만, 이미 [[오원석]]의 전례를 보았듯이 신인이 첫해부터 무방비 상태로 많은 경기에 나가게 되는 것에 대한 우려의 시선도 존재한다. ==== [[윤태현/선수 경력/2022년|2022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변경 후 인천 유니폼 윤태현 1.jpg|width=100%]] }}}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윤태현/선수 경력/2022년)] || [[KBO 리그/2022년/신인드래프트|2022년 SSG의 1차 지명]]으로 입단한 '''신형 잠수함''' 윤태현이 맞이하는 첫번째 시즌 ==== [[윤태현/선수 경력/2023년|2023 시즌]]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쓱태현30.jpg|width=100%]] }}} ||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윤태현/선수 경력/2023년)] || == 국가대표 경력 == === [[WBSC U-23 야구 월드컵|2021 WBSC U-23 야구 월드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태현u23.jpg|width=100%]]}}} || ||<-1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5%, #1E2776 10%, #A01E20 25%, #09539D 25%)" }}}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로고.svg|width=7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9539D 75%, #A01E20 75%, #1E2776 90%, #ffffff 95%)" }}} || || 경기 || 선발 || 이닝 || ERA || WHIP || 승 || 패 || 홀드 || 세이브 || 피안타 || 피홈런 || 실점 || 자책점 || 볼넷 || 삼진 || || 2 || 1 || 4 || 0.00 || 1.25 || 0 || 0 || 0 || 0 || 2 || 0 || 2 || 0 || 3 || 3 || [[삼성 라이온즈]]의 [[허윤동]]이 개인 사정으로 인하여 [[대한민국 U-23 야구 국가대표팀| U-23 야구월드컵 대표팀]]에서 하차하게 되면서 대체 선수로 선출되었다. 9월 25일 네덜란드 전에서 4회초 주자 1, 2루 위기상황에 5번째 투수로 등판하여 '''1⅔이닝 무실점 2K'''를 기록하며 대표팀의 '''역전승의 발판'''을 만들었다. [[http://osen.mt.co.kr/article/G1111660542|관련 기사]] 9월 27일 베네수엘라 전에서 선발투수로 등판하여 '''2⅓이닝 2피안타 1볼넷 1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하며 좋은 활약을 하였고 SSG팬들이 내년 SSG에서의 활약을 더욱 더 기대하게 만들었다! [[http://www.spotvnews.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444332|관련 기사]] [[문동주]], [[조원태(야구선수)|조원태]], [[주승우]] 등의 각 팀의 1차 지명자가 참여한 이번 대회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태현 u-23.gif|width=100%]]}}} || || '''{{{#fff 윤태현 U-23 베네수엘라전 삼진 잡는 모습}}}''' || == 연도별 성적 == ||<-17> {{{#ffffff 역대 기록}}} || || 연도 || 소속팀 || 경기수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22 ||<|3> [[SSG 랜더스|SSG]] || 3 || 2 || 0 || 0 || 0 || 0 || - || 9.00 || 2 || 0 || 2 || 2 || 2 || 2 || 2.00 || || 2023 ||<-17> 1군 기록 없음 || || 2024 ||<-17> 군 복무 || ||<-2> '''[[KBO 리그|KBO]] 통산[br](1시즌)''' || 3 || 2 || 0 || 0 || 0 || 0 || - || 9.00 || 2 || 0 || 2 || 2 || 2 || 2 || 2.00 ||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윤태현, version=234, paragraph=2)] [[분류:야구선수/커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