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288a1 20%, #7288a1)" {{{#fff '''윤여정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TBC 공채 탤런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288a1 20%, #7288a1)" {{{#fff '''윤여정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2> '''{{{+1 [[문화훈장|{{{#EDE4D3 대한민국 문화훈장 수훈자}}}]]}}}''' || ||<-2> [[파일:문화금관.jpg|width=170]] || || '''연도''' || '''2021년''' || || '''이름''' || '''윤여정''' || || '''분야''' || '''배우''' || ||<-2> '''[[틀:금관문화훈장|{{{#EDE4D3 금관문화훈장(1등급)}}}]]''' || ||<-2> [[파일:문화은관.jpg|width=170]] || || '''연도''' || '''2017년''' || || '''이름''' || '''윤여정''' || || '''분야''' || '''배우''' || ||<-2> '''[[틀:은관문화훈장|{{{#EDE4D3 은관문화훈장(2등급)}}}]]''' || ----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e5d85c '''여우조연상'''}}} || ||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2회]][br]([[2020년]])''' || {{{+1 → }}}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3회]][br]([[2021년]])''' || {{{+1 → }}} ||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제94회]][br]([[2022년]])''' || || [[로라 던]][br]([[결혼 이야기(2019)|결혼 이야기]]) || {{{+1 → }}} || '''윤여정[br]([[미나리(영화)|미나리]])''' || {{{+1 → }}} || [[아리아나 드보즈]][br]([[웨스트 사이드 스토리(2021)|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5> || ---- ||<-5>
{{{#e5d85c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e5d85c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 }}} || ||<-5> [[파일:BAFTA 로고.svg|width=170]] || ||<-5> {{{#e5d85c ''' 여우조연상 ''' }}} || || ''' [[제73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제73회]] [br] ([[2020년]]) ''' || {{{+1 → }}} || ''' [[제7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제74회]] [br] ([[2021년]]) ''' || {{{+1 → }}} || ''' [[제75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제75회]] [br] ([[2022년]]) ''' || || [[로라 던]][br]([[결혼 이야기(2019)|결혼 이야기]]) || {{{+1 → }}} || '''윤여정[br]([[미나리(영화)|미나리]])''' || {{{+1 → }}} || [[아리아나 드보즈]][br]([[웨스트 사이드 스토리(2021)|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5> || ---- ||<-5>
[[SAG-AFTRA#s-4|[[파일:SAG AWARDS LOGO.png|width=80]]]] || ||<-5> [[파일:SAG AWARDS TROPHY.png|width=60]] || ||<-5> [[미국배우조합상/여우조연상|{{{#000 '''영화부문 여우조연상'''}}}]] || || ''' [[제26회 미국 배우조합상 시상식|제26회]] [br] ([[2020년]]) ''' || {{{+1 →}}} || ''' [[제27회 미국 배우조합상 시상식|제27회]] [br] ([[2021년]]) ''' || {{{+1 →}}} || ''' [[제28회 미국 배우조합상 시상식|제28회]] [br] ([[2022년]]) ''' || || [[로라 던]][br]([[결혼 이야기(2019)|결혼 이야기]]) || → || {{{#fff '''윤여정[br]([[미나리(영화)|{{{#fff 미나리}}}]])'''}}} || → || [[아리아나 드보즈]][br]([[웨스트 사이드 스토리(2021)|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 ||<-5> || ---- ||<-5><#002266> {{{+1 '''{{{#white 역대}}}''' [[청룡영화상|[[파일:bluedragonfilmawards_logo.png|width=120]]]]}}} || ||<-5> [[파일:bluedragonawards3.png|width=30]] || ||<-5> [[청룡영화상/여우주연상|{{{#white '''여우주연상'''}}}]] || || ''' 제7회 [br] ([[1970년]]) ''' || {{{+1 →}}} || ''' 제8회 [br] ([[1971년]]) ''' || {{{+1 →}}} || ''' 제9회 [br] ([[1972년]]) ''' || || [[김지미]][br](너의 이름은 여자) || → || {{{#fff '''윤여정[br]([[화녀|{{{#fff 화녀}}}]])'''}}} || → || [[윤정희(1944)|윤정희]][br]([[석화촌]]) || ||<-5> || ---- ||<-5> {{{+1 [[한국방송대상|[[파일:한국방송대상 심볼.svg|width=40]]]] '''[[한국방송대상|{{{#FFFFFF 한국방송대상}}}]]'''}}} || ||<-5> '''{{{#FFFFFF {{{+1 탤런트상}}}}}}''' || || [[주현]][br][[고두심]][br](1991년) || {{{+1 →}}} || [[이낙훈]][br]'''윤여정'''[br]'''(1992년)''' || {{{+1 →}}} || [[최재성(배우)|최재성]][br][[원미경]][br](1993년) ||}}} || ---- }}} || ||<-2>
{{{#!wiki style="margin: -6px -11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288a1 20%, #9FABB9)" '''{{{+1 윤여정}}}[br]尹汝貞 |Youn Yuh-Jung '''}}}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윤여정_공식 프로필.jpg|width=100%]]}}} || ||<|2> '''출생''' ||[[1947년]] [[6월 19일]] ([age(1947-06-19)]세) || ||[[경기도]] [[개성부]][br](現 [[개성시]])||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본관''' ||[[파평 윤씨]] (坡平 尹氏)[* 소정공(昭靖公)-장방상호군공(長房上護軍公)파 36세손 여(汝)○ [[항렬]]]|| || '''거주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동]] || ||<|2> '''가족''' ||여동생 윤여순[* 기업인. LG그룹 첫 여성 임원으로 알려져 있다.]|| ||장남 조얼^^(1975년생)^^, 차남 조늘^^(1982년생)^^[* 두 아들 모두 전 남편 [[조영남]] 소생이며, [[미국]] [[플로리다]]에서 태어나고 자란 [[한국계 미국인]]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MiAFX25skXM|인터뷰 영상 참고]]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0051000099220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90-05-10&officeId=00009&pageNo=20&printNo=7442&publishType=00020|1990년 매일경제 참고]] 여담으로 장남은 [[컬럼비아 대학교]], 차남은 [[뉴욕 대학교]]를 졸업한 인재라고 한다.] || || '''MBTI''' ||[[ISTP]] || || '''학력''' ||창신국민학교 {{{-2 (전학)}}}[* 6학년 산수 시간에 선생님께서 편애하는 친구에게 답을 말하게 하였는데, 그 친구의 대답이 오답이어서 윤여정이 이의를 제기하였으나, 이 일을 계기로 선생님의 눈 밖에 들게 되었고, 이를 탐탁치 않게 여겼던 윤여정의 어머니가 본인이 양호선생님으로 일하던 동신국민학교로 전학시켜주었다고 한다. ] [br] 동신국민학교[* 現 동신초등학교 ] [br] [[이화여자고등학교]] {{{-2 (졸업)}}}[br][[한양대학교]] {{{-2 (국어국문학 / 중퇴)}}} || || '''종교''' ||[[무종교]] || || '''소속사''' ||무소속[* [[후크엔터테인먼트]]와 계약 종료. [[https://n.news.naver.com/entertain/now/article/609/0000661970|기사]]][br][[Creative Artists Agency|[[파일:Creative Artists Agency 로고.svg|width=30]]]] {{{-2 (미국)}}}|| || '''데뷔''' ||[[1966년]] [[동양방송|TBC]] 3기 [[공채]] [[탤런트]] || ||<|2> '''훈장''' ||[[파일:문화금관.jpg|width=25]][[금관문화훈장]][*A (흔히 연예인으로 불리는)대중문화 분야에서 최초의 사례이며, 생전에 받은 특이한 사례에 속한다.] {{{-2 (2021년 수여)}}} || ||[[파일:문화은관.jpg|width=25]][[은관문화훈장]] {{{-2 (2017년 수여)}}}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오스카공식프로필.jpg|width=100%]]}}}||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fff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s-2.6|{{{#fff 여우조연상}}}]] 수상자 공식 사진''' || [[대한민국]]의 [[영화배우]]이자 [[탤런트]]. [clearfix] == 연기 == >''나는 살기 위해서, 살아가기 위해서 목숨 걸고 한 거였어요. 요즘도 그런 생각엔 변함이 없어. 배우는 목숨 걸고 안 하면 안 돼. 훌륭한 남편 두고 천천히 놀면서, 그래 이 역할은 내가 해 주지, 그러면 안 된다고. 배우가 편하면 보는 사람은 기분 나쁜 연기가 된다고, 한 신 한 신 떨림이 없는 연기는 죽어 있는 거라고." >---- > [[http://m.cine21.com/news/view/?mag_id=70019|윤여정의 40년 어록]] [age(1947-06-19)]세의 원로배우로 데뷔 [age(1966-01-01)]년차다. 2023년 현재까지도 주연/조연, 상업영화/독립영화를 가리지 않고 현역으로 왕성하게 활동 중이다. 연기력이 뛰어나다고 인정받는 여배우들 중에서도 특출하게 필모의 다양성이 돋보이는 편으로, 파격적일 만큼 독특한 캐릭터를 여럿 맡아 완벽하게 소화하는 모습을 보여왔다. 대체로 까다롭고 엄격하고 보수적인 시어머니 포지션의 배역이나 잔소리 잘하고 무척이나 고집 센 아주머니, 할머니 정도의 이미지가 널리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영화에서는 [[돈의 맛]]에서 같은 카리스마 있는 역할부터 [[가루지기(2008)|가루지기]]에서 같은 미묘한 색기가 있는 역할까지 다양한 연기를 보여준다. 손자 손녀를 끔찍이 아끼는 [[계춘할망|다정한]] [[미나리(영화)|할머니]] 역할부터 돈을 받고 노인들에게 성을 파는 [[죽여주는 여자|박카스 할머니]]까지 대단히 넓은 스펙트럼을 가졌다. 전면에 나서지 않는 배역이어도 극의 흐름을 만들어 나가는, 기술적으로 상당히 뛰어난 완급조절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는 초기부터 자신만의 리얼리즘적인 방향성을 구상하고 연구한 결과물이다. 신인시절 과한 동작과 분장 등으로 극대화되고, 실제와 유리된 연기를 선보이는 기성 배우들의 연기에 강한 반감이 들었다고 한다. 이런 그녀의 연기력은 해외서도 인정받아, '''[[아시아]] 배우 최초로 [[미국배우조합상|미국 영화배우조합상]] 여우조연상과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영국 아카데미상]] 여우조연상을 수상했으며, 대한민국 배우 최초로 [[아카데미상|미국 아카데미상]](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이리하여 오늘날에는 연기자로서 독보적인 입지와 넓은 스펙트럼, 독창적 정체성을 확립하여 세계적인 명배우, 대배우의 반열에 올랐다. 뛰어난 정통 [[영어]] 실력까지 보유했다. 발음은 정확하다 보기 어려운 한국식이지만, 수상 소감을 발표하는 시상식이나 토크쇼에서도 발음이 상관 없어질 정도로 의미 전달에 문제가 없고, 재치까지 겸비한 회화 실력을 유감 없이 발휘한다. == 생애 == === 젊은 시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갓여정.jpg|width=100%]]}}}|| || '''신인시절의 윤여정''' || [[1947년]], 현재는 [[경기도]] [[개성부]]에서 태어났다.[* 이 당시의 개성은 [[삼팔선]] 이남에 있어서 [[미군정]]의 치하에 있었고, [[1948년]]에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며 고스란히 대한민국령이 되었다. 그러나 [[6.25 전쟁]] 이후, 현재의 [[군사분계선|휴전선]]이 그어지며, 개성은 [[북한]] 치하에 들어가고 말았다.] 4살이 되던 해에 [[6.25 전쟁]]이 발발하며 남쪽으로 피란을 왔다고 한다. 윤여정은 배우들 사이에서도 대본 암기력이 뛰어나며, 집중력이 좋은 것으로 소문난 배우인데, 어렸을 때에도 웅변이나 각종 글짓기 대회에서 상을 휩쓸었다고 한다.1959년 성신여대 주최로 개최된 백일장에서 윤여정이 상을 탄 수필이 조선일보에 게시되었다.제목은 우리집부엌으로, 문명특급에서의 인터뷰에서 언급되어 다시 빛을 보게 되었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910110023920400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9-10-11&officeId=00023&pageNo=4&printNo=11660&publishType=00020|#]] 당시 명문학교인 [[이화여자고등학교]][* 비평준화 당시 여학생에겐 전국에서 [[경기여자고등학교]] 버금가는 명문학교였다.]를 들어갔으나 고3때 위계양으로 고생하고, 2차로 원하지 않는 [[한양대학교]]를 가게 되었다. 같은 고등학교 출신 중에 한양대를 다니는 친구나 선후배를 찾기 힘들어 자존심이 많이 상하였다고 한다. 좋은 대학을 가지 못한 죄송함에 등록금이라도 마련하기 위한 알바로 당시 [[김동건(방송인)|김동건]]이 진행하던 프로그램에서 도와주는 도우미 역할을 했다. 그때 김동건이 윤여정에게 [[동양방송|TBC]] 탤런트 공채 시험을 보라고 권하였고, 1966년 [[동양방송|TBC]] 탤런트 공채에 응시하여 합격해 TBC 3기 탤런트가 되었다. 그리고 배우 생활을 위해 대학을 중퇴하였다. 배우가 된 것에 대해 윤여정은 "우리 엄마한테는 내가 스타였다. 그래서 남의 눈에 띄는 일을 하면 자랑스러워하지 않을까 싶었다"고 말한 바 있다. 또 당시 배우는 떠오르는 신종 직업이었는데, 명문 [[서울고]]-[[서울대]] 출신의 당시로는 초엘리트인 배우 [[이순재]]가 활동 하는 것을 보고, 결코 창피한 직업은 아니라는 생각에 용기를 냈다고 한다. 윤여정은 신인 때부터 종횡무진의 활약을 펼친 [[배우]]였다. TBC시절에는 단역 조연을 했지만, 공채전속이 풀린 직후인 1970년[* 1970년 3월 27일 기사[[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0032700239106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03-27&officeId=00023&pageNo=6&printNo=15061&publishType=00010|#]]에 며칠전 TBC에 MBC로 이적했다고 나옴] 갓 TV를 개국한 [[MBC]]로 스카우트 되어, 많은 드라마에서 주연급[* 그해 방영된 박마리아에서 타이틀롤을 맡는 등]으로 활약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화녀.jpg|width=100%]] [[파일:윤여정화녀2.jpg|width=100%]]}}} || || {{{#fff ''' ▲ 영화 '화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충녀.jpg|width=100%]]}}} || || {{{#fff ''' ▲ 영화 '충녀' '''}}} || TV에서 얻슨 유명세를 바탕으로, '''[[1971년]] 영화계에 진출, 거장 [[김기영(1919)|김기영]] 감독의 영화 '[[화녀]]'에 주연으로 출연하며 최고의 성취'''를 거두게 된다. 1971년 한국영화 흥행 1위의 영화로 윤여정은 주인집 남자를 유혹하는 가정부로 출연해서 스타덤에 올랐는데, 당시 신문에서도 천재 여배우 나왔다고 대서특필할 정도.[* 그때 호흡을 맞췄던 남자 주인공은 원로배우 [[남궁원]]. 바로 한나라당 국회의원이었던 [[홍정욱]] 전 의원의 아버지다] 윤여정은 이 작품을 통해 '''대종상 신인상과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동시에 수상'''하며 비평적으로도 큰 성공을 거뒀다. 같은 해 7월[* 당시에는 청룡영화상도 영화제처럼 개봉예정작도 출품 대상이었으며, 화녀는 연초에 청룡영화상 등 각종 영화상에서 상을 흽쓸며 관객들의 기대를 모았고, 5월에 이미 관객이 10만 명을 넘었다는 기사[[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105060009920600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1-05-06&officeId=00009&pageNo=6&printNo=1586&publishType=00020|#]]가 있다.]부터 방영된 MBC 드라마 '''[[장희빈]]'''에서 장희빈 역을 맡으며, 장희빈 역시 크게 히트해 곧바로 방송계에서도 '''톱탤런트'''[* 양정화, 김자옥 이전에 MBC를 대표하는 여자 탤런트로 손꼽혔다.[[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8107150032921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07-15&officeId=00032&pageNo=12&printNo=11012&publishType=00020|#]]]로 올라선다. 윤여정의 [[악녀]] 연기가 아주 뛰어났기 때문에, 사람들이 "저기 장희빈 나쁜 X 간다!!"고 욕을 해대는 통에 거리를 제대로 돌아다니지 못했을 정도였고, 하고 있던 [[오란씨]] 광고모델에서 잘렸다고 한다. 또 '''[[1972년]] 연이어 '[[충녀]]'에 출연하면서 젊은 전성기를 화려하게 불태웠고, 역시 절륜한 연기'''를 선보여 여배우 이화시와 함께 이른바 '김기영 감독의 페르소나'로 불리게 된다. 김기영 감독과는 재미난 일화들이 많은데, 김기영 감독 영화가 대개 그렇듯 윤여정은 <화녀>에서 쥐를 맨손으로 잡는 연기를 하는 등 고생을 많이 한다. 그래서 이 감독과는 다시는 작업하지 않으리라 다짐했으나, 공교롭게도 다음 시리즈인 '[[충녀]]'에도 또 나오게 되었다. 원래 김기영 감독은 전형적인 미인 여배우보단 좀 특이하고 퇴폐적인 느낌의 여배우를 선호했던지라, 윤여정을 굉장히 마음에 들어했다고 한다.[* 특유의 허스키한 목소리에도 크게 매력을 느꼈다고.] 그래서 그녀가 미국으로 떠나고 난 후에도 그녀에게 '내 작품에 출연해달라는 건 아니고, 미스 윤이 살던 집 값이 내렸으니 한국에 한 번 와봐요.'[* 실제로 30살 가까이 어린 윤여정에게 존댓말을 썼다고 한다. 복귀 후 진짜로 1990년작 [[죽어도 좋은 경험]]에 출연했으나, 제반 사정으로 (김기영 본인이 영화를 마음에 안들어했다고 한다.) 김기영 사후까지 공개되지 못했다.]라는 식으로 편지를 보낸 적도 있다고 한다. 또한 김기영 감독은 윤여정을 '내 말을 이해한 유일한 배우'라고 칭했을 정도이니, 그녀를 얼마나 아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심지어 당시 윤여정은 드라마 출연을 하면 영화보다 돈을 많이 받을 때였고, 드라마 '장희빈' 덕분에 인기도 있어서 영화를 할 생각이 별로 없었지만, 김기영 감독이 출연료도 당시 최고의 인기 배우이던 [[신성일]]이 받는 만큼 두둑히 챙겨 주고, 여러모로 많이 배려해주었던 덕분에 함께 3편이나 하게 됐다고 이야기하기도 했다. 자신과 끈질기게 대화하며, 영화 속 자신의 캐릭터 형성을 위해 연구하는 등 그의 열의가 당시에는 부담스러웠지만, 지금은 굉장히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자신에게 늘 존댓말을 사용했던 점이 매우 인상깊었던 점 중 하나라고 한다.[* 김기영이 윤여정보다 거의 30살 이상 나이가 더 많은 데다, 당시에는 배우들을 함부로 대하는 감독들이 많았던 시절이었기에, 이는 굉장히 특이한 점이었다.] 김기영 감독을 다룬 다큐인 '감독들, 김기영을 말하다'에 의하면, 윤여정은 김기영 감독과 일한 이후로는 다른 감독들의 작품에는 만족을 못 했다고 한다. 실제 출연료 많이 준다고 해서 다른 영화를 해보니, 자연히 김기영 감독과 비교를 하게 되었고, 그 후 영화를 좀 가려서 찍게 되더라고 고백하기도 했다. 또한 김기영 감독은 당시 윤여정이 TV 드라마를 통해 보여주던 기존의 생기발랄한 이미지와는 매우 다른 연기를 이끌어 낸 것으로도 유명하다. 하루는 윤여정이 김기영 감독과의 영화 촬영이 너무나도 고된 나머지 김 감독에게 '자신을 왜 캐스팅했느냐'고 따져 물었더니, 김 감독이 낄낄 웃으며 "청승맞아 보여서"라고 답했다고 한다. 윤여정은 그 당시엔 어이가 없었는데, 나중에 슬픈 역을 맡고 보니 "내가 정말 청승맞아 보이더라"고 고백하기도. 또한 김기영 감독은 윤여정에게 "[[알렉 기네스]] 같은 배우가 되라"고 덕담을 하기도 했는데, 윤여정은 당시엔 그 말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했다고 한다. 그러나 훗날 영화 '인도로 가는 길'에서 알렉 기네스가 파격적인 연기 변신을 하는 걸 보고, 김기영 감독의 조언을 지키는 배우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이후 윤여정은 2021년 미국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소감에서도 김기영을 천재적인 감독이자, 자신의 첫 감독이었다며, 그가 살아있었다면 이 수상을 무척 기뻐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인터뷰에 따르면, 20대 시절만 해도 연기 생활에는 큰 애착이 없었다고 한다. 될 수 있으면 빨리 이 판을 떠야겠다는 생각을 했었기에, 당시 여배우면 다들 한 번씩은 찍던 수영복 화보 같은 것도 찍지 않았다고 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ttachment/choandyoon.png|width=100%]]}}} || || '''1974년에 [[조영남|{{{#fff 조영남}}}]](당시 29세)과 결혼했던 윤여정(당시 27세)''' || 이미 데뷔할 때부터 배우로 대성할 싹수가 보였던 셈인데, 중간에 [[결혼]]으로 인해, 배우 생활을 잠시 쉬기 전까지 배우로서의 커리어에 큰 슬럼프 한 번 없었을 정도로 꾸준한 배우이기도 하다. 다만 결혼 생활에 있어서는 한 번의 [[이혼]]을 겪기도 했는데, [[조영남]]과 결혼 후 [[미국]] [[플로리다]]의 트리니티 신학대학교로 유학길에 오른 조영남을 따라 [[플로리다]]에서 주부로서 13년을 살다가[* 이때의 경험 때문인지, [[윤식당]]과 같은 예능에서 외국인들과 [[영어]]로 자연스럽게 대화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윤여정은 귀국했지만, 두 아들은 독립 후 미국에 정착해 한국계 미국인으로 살고 있다.] [[대한민국]]에 돌아와 이혼해 싱글맘이 되었다.[* [[무릎팍도사]]에 출연했을 때 이혼은 한국에 귀국한 뒤 했다고 설명했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277&aid=0002284597|(윤여정이 무릎팍도사에서 밝힌 내용)]].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80334|이후 조영남도 출연해 입장을 밝혔다]]. 당시 38세였던 윤여정은 [[플로리다]]의 Publix 식료품점에서 계산원으로 일하면서 최저 임금 2.75달러를 받아, 두 아들을 부양할 생각을 했다면서 언어 장벽과 한국에서의 낙인의 무게 때문에 계산원으로 일하는 것이 유일한 선택이라고 생각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http://m.g-enews.com/view.php?ud=202104281414344195c4c55f9b3d_1|(미국 NBC와의 인터뷰에서)]] 결혼생활 동안 [[조영남]]은 바람끼가 다분했고, 돈을 한 푼도 안 벌었으며, 결국엔 윤여정이 모아둔 돈을 싸그리 다 탕진해버렸다. 그래서 윤여정은 배우 생활을 재개한 이후, 두 [[아들]]과 자신을 지키려고 온갖 작품에 뛰어든다.[* 아래의 오스카상 수상 소감에서도 "mommy works hard"라며 생계형 배우였음을 밝혔다.] 본인의 표현에 의하면, '''"쌀독에 [[쌀]]이 있던 때보다 떨어졌던 때가 더 많았다"'''고 한다. 그래도 결혼생활 동안 윤여정은 굉장히 헌신적이었다. 70, 80년대는 [[미국]]에서 [[두부]] 구하기가 어려웠던 시절이었는데, 두부를 좋아하는 조영남을 위해 직접 [[콩]]을 갈아 두부를 만들었을 정도다. (이 이야기는 조영남의 자서전에도 언급된다.) 이 시절의 일화를 알고 있는 중장년층이 나름 한 시대를 풍미한 [[가수]]인 [[조영남]]에 대해 좋지 않은 감정을 가진 이유가 바로 이것인데[* 젊은 층들이라고 해서도 조영남에 대한 불호도는 별반 다르지 않긴 하다. 아니 그냥 관심없는 연예인이다.], 심지어는 [[인간 쓰레기]]로 취급하는 사람들도 많다. 그럼에도 지금까지도 어느 자리에서건 조영남을 험담하지 않아서 어마어마한 [[대인배]]라고 불리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냥 조영남을 너무 싫어해서 언급도 하고 싶어하지 않을 뿐이다. 실제로 [[조영남]]도 [[무릎팍도사]]에서 "윤여정이 입을 열었다면 나는 사회적으로 매장됐을 것."이라고 인정한 바 있으며, 현재까지 공개되어 조영남 [[본인]]이 시인한 일화만 해도 이미 충분히 [[인간 쓰레기]]로 단단히 찍힐 마당이다. 당시 윤여정과 이혼하면서 "네가 너무 못생겨서 같이 살 수가 없다."는 식의 [[막말]]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조영남 자신의 얼굴 꼴을 보고 그런 말을 하는 것이 말이 되느냐면서 많은 사람들이 코웃음을 쳤다. 오히려 윤여정은 젊을 때부터 외모를 검증받은 배우였고, [[무릎팍도사]]에서 [[이장희(가수)|이장희]]도 발랄하고 당찬 성격과 미모 덕에 모든 [[세시봉]] 멤버가 윤여정을 좋아했다고 털어놨다. 그래서 윤여정이 일일이 다 까발렸었다면, 조영남의 이미지는 회생불능이 되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조영남과의 결혼생활은 윤여정 본인에게 기억하기도 싫은 트라우마이자 인생의 큰 상처라고 볼 수 있다. 실제 [[무릎팍도사]]에 출연했을 때 프로그램 컨셉상 예민한 주제의 질문도 직설적으로 물어보는 [[강호동]]과 [[유세윤]]도 이 얘기만큼은 겨우겨우 돌려서 물어봤을 정도로 조심스러워했고, 물어보면서도 조영남의 본명을 언급하지 않을 정도였다. 참고로 윤여정이 조영남과의 결혼생활에 대해 직접적으로 자세하게 언급한 인터뷰는 [[2005년]] 딴지일보 주최로 [[김어준]]과 한 인터뷰가 유일한데, 이 때도 조영남의 본명을 말하지 않고 "걔"나 "C모 가수"로 불렀다. [[https://www.ddanzi.com/ddanziNews/598675|#]][* 이 때 인터뷰에서 '조영남과 만나 이혼하고 인생 망쳤다 부활했다' 라는 신문의 타이틀이 가장 불쾌했다고 언급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어미.jpg|width=100%]]}}} || || {{{#fff '''▲ 영화 '어미' '''}}} || 귀국 이후, 김수현이 시나리오를 쓴 작품이자, 그녀의 주연작인 박철수 감독의 작품 <[[어미(영화)|어미]]>(1985년작)에서 [[인신매매]]로 끌려간 딸을 구출했지만, 정신적 충격으로 자살한 딸을 대신해 자신의 딸을 그렇게 만든 '''인신매매범들을 하나씩 처단하는 엄마로 나와 살기어린 연기'''로 관객들에게 큰 충격을 준 작품이다. 특히 인신매매범 한 명을 차에 태우고 가는 도중 '니 여동생도 그 동네에 창녀로 팔아먹었니?' 하며 얼굴에 염산을 끼얹고, 담배를 피우며 운전하는 장면은 정말 인상적이다. 오랜만의 복귀작으로 당시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키며, 유니크한 그녀만의 연기적 세계관을 설립시키는 데에 상당한 기반이 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후일 이렇게 강렬한 감성을 지향하는 숱한 영화계 거장들이 극찬을 보내기도 하였다.[* 대표적으로 [[봉준호]]의 경우, 고등학교 때 극장에서 이 영화를 본 기억을 회술하며 상당한 지지를 보낸 바 있다.] 이후 [[1987년]]에 [[김수현(작가)|김수현]] 작가의 MBC 드라마 [[사랑과 야망]]으로 안방극장에 복귀하여[* 이혼 후 [[전원일기]]에도 조단역으로 나왔지만, 비중있는 역은 아니었다.][* 조영남과 친한 사람들이 방송국에 다수 포진해 있는 상태인 데다가, 당시에 이혼한 여배우를 꺼리는 풍토에 맞물려, 윤여정을 쓰려는 작가나 PD가 없었다. 그런 윤여정을 브라운관으로 다시 불러낸 사람이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작가인 김수현 작가였고, 이와 관련하여 윤여정은 “김수현 작가는 내가 독립할 때까지 도와줬다.”는 말을 하기도 [[https://m.news1.kr/articles/?2157846|했다.]]] 기록적인 시청률을 기록, 큰 인기를 얻었다. [[1991년]] [[사랑이 뭐길래]]와 [[1995년]] [[목욕탕집 남자들]]로 또다시 김수현의 드라마에 출연하며, 대중 연예인의 입지를 다시 굳히게 되었다. === 21세기 충무로의 대모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바람난가족.jpg|width=100%]]}}} || || {{{#fff '''▲ 영화 '바람난 가족' '''}}} || 그녀가 본격적으로 복귀하여 스크린의 거물로 자리잡게 된 것은 2000년대 이후의 일이었는데, [[임상수]] 감독이 연출한 [[바람난 가족]]이 그 신호탄이었다. '''시한부 남편을 두고 자신의 성욕을 감추지 않는 문소리의 어머니 홍병한 역할'''로 출연. 당시 캐릭터성의 강렬함 탓에 시나리오를 보는 배우들마다 진절머리를 쳤다고 하는데, 윤여정의 경우, '집 인테리어를 바꿀 때가 되어 하겠다'고 했다고 한다.[* 이는 사실 윤여정의 독특한 특징인 '생계형 배우'의 면모를 보여주는데, 돈이 간절히 필요한 연기자가 최적의 연기를 펼칠 수 있다는 담론이 그것이다. [[조영남]]과의 생활과 파경으로, 정말 가족을 지키기 위해 연기판에 돌아와야 했던 경험으로 인해 생겨난 철학.][* 다만, 성공하여 생계형 배우를 벗어난 지금은 오히려 하고 싶은 사람들과 좋은 작품을 할 수 있는 것이 좋다고 한다.] 조연으로 극의 장력을 뒤흔드는 그녀의 포지션이 가장 잘 살아난 작품 중 하나로 비평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이 때의 인연으로, 윤여정은 이후 [[임상수]] 감독의 전 필모그래피에 참여하게 되어 [[그때 그 사람들]]에서는 영화의 문을 열고 닫는 키로서 '철없는 엄마' 역을 맡아 등장하고 [[오래된 정원(영화)|오래된 정원]]에서는 남주인공 현우의 어머니로 함께하게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꽃피는봄이오면.jpg|width=100%]]}}} || || {{{#fff '''▲ 영화 '꽃 피는 봄이 오면' '''}}} || [[최민식]] 주연의 [[꽃피는 봄이 오면]]에도 어머니 역할로 출연, 인자하고 안정된 연기력을 선보인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리들의행복한시간.jpg|width=100%]]}}} || || {{{#fff '''▲ 영화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영화)|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에서는 여주인공의 고모인 모니카 [[수녀]] 역으로 출연해, 안정적인 연기력으로 예상을 뛰어넘는 200만 관객을 모으며 좋은 흥행력을 달성하며, 노련한 중견배우로서의 미학을 잘 펼쳤다. [[2007년]]의 [[황진이]], [[2008년]]의 [[가루지기]][* 각본에 배드신이 있는 걸 보고, ‘이거 나한테 보낸거 맞나?’ 라고 생각하며 출연을 거부하려고 했으나, 감독이 “선배님 담배피는 모습이 너무 섹시했다.”는 멘트에 홀라당 넘어가 출연했다고 무릎팍도사에서 말한적 있다.]에서도 '할멈'이라는 공통된 이름의 역할을 연이어 맡으며 작품을 준수하게 뒷받침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여배우들.jpg|width=100%]] [[파일:윤여정여배우들2.jpg|width=100%]]}}} || || {{{#fff ''' ▲ 영화 '여배우들' '''}}} || 배역의 인물을 출연자들에서 그대로 따와 높은 작품성을 선보인 [[이재용]] 감독의 '''[[여배우들]]에서 60대 여배우로 출연해 그야말로 극의 단단한 구심점이자 축이 되어 유려한 멋과 맛'''을 선보인다. 2000년대 가장 인상적인 시네마 관련 국산 영화라는 좋은 평을 들었으며, 역대급 앙상블을 선봉에서 지휘하는 연륜을 우아하게 보여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ㅇㅇㅈㅎㅎㅎ.jpg|width=100%]]}}} || || {{{#fff '''▲ 영화 '하하하' '''}}} || [[2010년]]에는 [[홍상수]] 감독과 처음으로 협업하며 [[하하하]]에 김상경의 어머니로 출연했다. 등장인물 간의 균형을 맞추는 포인트 있는 역할로, 작가의 색채가 진솔하게 담긴 연기를 보여주었다. 이 작품으로 [[칸 영화제]]에 진출했으며, 홍상수 필모그래피의 전환기를 함께한 배우가 되었다. [[황금 물고기]]에서는 [[이태곤]]의 계략에 말려들어 정신병원에 감금당하기도 하는 등 고생하는 역할도 했는데, 이 때 연기가 대단히 사실적이어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그리고 곧이어 [[내 마음이 들리니]]에서 치매에 걸린 할머니 역을 맡아 브라운관을 장악하여 시청자들의 눈물샘을 훔쳤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하녀.jpg|width=100%]]}}} || || {{{#fff '''▲ 영화 '하녀' '''}}} || [[전도연]]이 주연한 [[임상수]] 감독의 2010년 '''리메이크판 [[하녀(2010)]]에도 출연'''했다. 보모 겸 하녀로 새로 들어오게 되는 전도연의 상사 역할로 나와 극을 사로잡았다. 이 영화로 윤여정은 청룡영화상을 끝으로 '''2010년도 대한민국의 모든 여우조연상을 싹쓸이했으며 이는 무려 10관왕'''에 달한다고 한다. 대한민국 영화제 기록상 전무후무한 수상기록이다. 이로서 임 감독 영화에 빠져서는 안 될 펀치라인으로 자리잡게 되었고, 이 시기가 21세기 배우 윤여정의 정체성이 온전히 옹립된 시기로 많이 평가받는다. 참고로 상술한 [[하하하]]와 함께 [[칸 영화제]]에 진출했다. 또 한번 유례없는 부흥기를 가진 2010년의 윤여정을 상징하는 대목이었다. 2011년 <[[푸른소금]]>에서는 청부살인 집단의 대모로 등장하여 실수한 부하에게 공포스러운 러시안 룰렛을 시키고 헤드샷을 날려버리는 후덜덜한 포스를 보여주며, 또 다른 부류의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해 표현했다. 2012년 [[넝쿨째 굴러온 당신]]에서는 30년 전 잃어버린 아들을 찾게 되는 어머니 '엄청애' 역을 맡았는데, 긴 세월 기른 정이 없다보니 반가움에도 서먹한 아들과 바른 말 잘하는 며느리와의 불편한 고부관계를 보여주며 전형적인 시어머니 연기를 펼친다. 귀남이를 잃어버린 범인이 동서란 걸 알았을 때, 숨이 꼴딱꼴딱 넘어가는 연기는 가히 [[압권]]이었다. 51회 참조. 같은 해 드라마 [[더킹 투하츠]]의 [[대비]] 마마로 출연하여, 외유내강의 한국적 어머니상을 흠 잡을 곳 없이 연기하였다. 또한 [[홍상수]] 감독과 다시 호흡을 맞춰, [[다른 나라에서]]에서 팬션에 머물며, 보증을 선 언니를 찾아온 정유미의 어머니 역할로 나와 극의 시작을 열었으며, [[이자벨 위페르]], 도올 [[김용옥]]과 동시에 연기합을 맞추는 전무후무한 역할을 진솔하게 소화하였다. 이 역시 평가가 좋아, 두 작품을 배출했던 2010년에 이어 2년만에 [[칸 영화제]]로 향했다. 또한 [[다른나라에서]] 촬영 도중 함께 찍은 [[홍상수]] 감독의 단편 [[리스트]]에도 출연했다. 장편 작품의 스핀오프 꼴인데, 완성도는 마찬가지로 매우 높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돈의맛.jpg|width=100%]]}}} || || {{{#fff '''▲ 영화 '돈의 맛' '''}}} || 같은 해, [[임상수]] 감독과도 다시 한 번 작업을 같이 하여 재벌가의 탐욕을 다루는 극 [[돈의 맛]]에 주연으로 출연한다. 작품성은 상당히 호불호가 있었지만, 연기만큼은 왜 윤여정인지 절절히 느낄 정도로 압도적이라는 호평의 일색이다. '''돈과 색에 미친 추악한 노파'''라는 악인을 힘을 뺀 강렬한 색으로 한붓 한붓 채워나가 상술한 직전의 드라마와 판이하게 상반된 역할을 완벽하게 채워낸 것. 이 작품 역시 [[칸 영화제]]에 진출하며 '''2년 간격으로 칸에 두 작품을 출품한'''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우며 영광의 순간을 맞이하였다. 2013년에는 tvN의 예능 프로그램 '''[[꽃보다 누나]]에 출연'''하여 난생 처음 예능에 도전. 스키니진을 소화하는 패션감각에 스마트한 모습을 보여주지만, 한편으로 끝없이 문제를 일으키며 트러블 메이커로의 모습도 보여주며, 평소의 완벽한 이미지와는 다른 다각도의 모습을 보여주어 화제가 되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고령화가족.jpg|width=100%]]}}} || || {{{#fff '''▲ 영화 '고령화 가족' '''}}} || 이후 같은 해 [[박해일]], [[공효진]] 등과 함께 고령화 가족에 출연하여 [[바람난 가족]] 이후 10년만에 실험적 가족영화에 출연해 색다른 위로를 안겼다. 명품 연기로 연기적 화음을 고고히 쌓아나가 작품을 환기시켜주었다는 좋은 평가가 나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자유의언덕.jpg|width=100%]]}}} || || {{{#fff '''▲ 영화 '자유의 언덕' '''}}} || [[2014년]]에는 [[홍상수]] 감독과 세 번째로 합을 맞춰 [[자유의 언덕]]에 조연으로 출연, 센티멘탈하면서도 리얼리즘한 연기를 펼쳐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장수상회.jpg|width=100%]]}}} || || {{{#fff '''▲ 영화 '장수상회' '''}}} || [[2015년]] [[박근형]]과 함께 '''[[장수상회]]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어느덧 수 십 번째 어머니 역할을 거쳐온 그녀가 또 한번 어머니상을 연구해 펼쳤는데, 온화하고 산뜻한 정서가 잘 드러났다는 평이다. 그리고 [[홍상수]] 감독과 네 번째로 작품을 함께해, [[지금은 맞고 그때는 틀리다]]에 출연, 한옥집에 살며 늘 딸을 걱정하는 [[김민희(1982)|김민희]]의 어머니 역할로 출연했다. 조연으로 역할에 꼭 맞는 완급조절이 잘 느껴진다. 또 [[워쇼스키 자매]]가 감독한 [[미드]] [[Sense8]]에 카메오로 출연했다. 그런데 시즌 1, 2 비중을 보면, 그냥 카메오 수준이 아니라 출연하는 한국인 배우 중에서는 대사량으로 따지면, 최소 2등은 될 정도로 출연 빈도나 대사가 많다. [[임상수]] 감독의 최근작인 [[나의 절친 악당들]]에도 잠시 출연하는데, 마땅한 역할이 없자 '지나가는 단역으로라도 얼굴을 비출 수 있게 해달라'는 요청으로 출연한 것이다. 임 감독과 상당한 케미스트리가 형성되어 애정깊은 관계를 꾸준히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계춘할망.jpg|width=100%]]}}} || || {{{#fff '''▲ 영화 '계춘할망' '''}}} || [[2016년]]에도 멈추지 않고 연기활동을 이어가, 블루칩 [[김고은]]과 함께 [[계춘할망]]을 주연했다. '''12년만에 손녀를 찾아 제주도의 집에서 함께 생활을 보내며 변화한 일상을 향유하는 노인 계춘'''을 뛰어나게 소화해내며 감동을 전했다. 또한 tvN 금토드라마 [[디어 마이 프렌즈]]에 동세대 배우들과 함께 출연하면서 좋은 평가와 화제성을 얻었다.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주는 서사와 배우들의 앙상블이 완벽한 조화를 이뤘다는 호평이 많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죽여주는여자.jpg|width=100%]]}}} || || {{{#fff '''▲ 영화 '죽여주는 여자' '''}}} || 연이어, 윤여정은 그녀의 연기 인생에서 <하녀>를 뛰어넘을 만한 작품으로 상당한 평가를 받는 '''[[죽여주는 여자]]에서 공원에서 [[박카스 아줌마|박카스에 성매매를 하는 할머니]] 소영 역'''으로 출연했다. 단 한 번도 연기를 하면서 그 역할을 끝내놓고 빠져나오지 못한 적이 없다고 줄곧 얘기해왔지만, 이 작품에서만큼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어, 촬영 중에도 촬영이 끝난 후에도 와인을 마시지 않으면 밥 한 숟갈도 넘기지 못할 정도로 정신적인 고통이 심했던 작품이라고 하며, 그도 그럴 것이 영화 제목만 보면 B급 에로 영화일 것 같으나, 실상은 노인을 포함한 약자의 현실을 지독하게 현실적으로, 그것도 담담하게 그린 작품이다. 윤여정은 이 영화로 자칫 천박할 수 있는 윤소영이란 캐릭터를 특유의 무심한 듯 따뜻한 연기로 그녀가 아니면 누구도 표현할 수 없는 대체불가의 캐릭터를 연기했고, 그 연기를 통해 몬트리올 판타지아 영화제,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드,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부일영화상]] 등 유수 영화제에서 여우주연상과 심사위원대상을 휩쓸었으며, 한국에서 또한 그 영화를 보고 '윤여정이 아니면 그 누구도 해내지 못했을 연기'라는 평을 받을 정도로 명연기를 펼쳤다. 작가 노희경은 이 영화를 '어떤 인문학 강의보다도 깊고 통찰력있는 영화'라 표현했고, 영화감독 강형철은 '윤 선생님의 아주 작은 표정과 몸짓 하나하나가 영원토록 기억될 영화'라고 표현했다. 2017년 [[나영석]] PD가 tvN에서 만든 '''[[윤식당]]에 캐스팅'''되어 식당의 사장을 맡아 요리를 담당했다. 윤식당은 최고 시청률 14%를 기록하며 대박을 쳤다. 2018년에는 [[스페인]] 테네리페에서 촬영한 윤식당 2에 출연하고 있다. 방영 2화만에 최고 시청률 14.8%를 기록, tvN 예능 최고 시청률 기록을 갈아치우며, 대박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앞으로 남은 방영 횟수를 생각하면, 훨씬 더 높은 시청률을 기록할 듯하다. [[미국 드라마]] [[하이랜드]]에 주연으로 캐스팅되었다. [[2018년]]에는 [[이병헌]], [[박정민(배우)|박정민]] 주연의 영화 [[그것만이 내 세상]]에서 어머니 역할로 출연해 극을 크게 이끌어갔다. 애환이 가득 담긴 슬픈 연기를 보여준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지푸들.jpg|width=100%]]}}} || || {{{#fff '''▲ 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 || [[2020년]] [[전도연]], [[정우성]] 주연의 오락영화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에서 오랜만에 '''유니크한 포인트 역할이자 치매걸린 노인인 '순자' 역'''을 맡으며 영화의 집중도를 살려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찬실이.jpg|width=100%]]}}} || || {{{#fff '''▲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 '''}}} || 그 직후 노페이로 화제의 독립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의 한글을 배우는 할머니'''로 출연하여 평단의 호평과 흥행적 성공을 거두는 데에 성공했다.[* [[코로나19]]와 맞물린 시기에 개봉했음에도 화제가 되고 장기상영되면서 독립영화 기준으로 상당한 스코어를 획득했다.] 고령임에도 도리어 시간이 지날수록 더 젊고 감각적인 영화인들과 호흡을 맞춰온 윤여정의 예술성이 만개한 수작으로 회자되며, 범접할 수 없는 연기로 유쾌한 안식을 선물했다. 2020년 상반기 최고 수작으로 손꼽히고, 윤여정의 역대 필모와 대비해봐도 새로운 시도로 읽히기에 큰 의미가 있는 작품으로 남게 되었고, 영화는 각종 시상식에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 충무로를 넘어 세계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미나리.jpg|width=100%]]}}} || || {{{#fff '''▲ 영화 '미나리' '''}}} || >'''"우리에게는 언제나 늘 좋은 (한국의) 영화와 드라마가 있었다. 세계가 우리를 갑자기 주목하는 것일 뿐이다."''' > - [[윤여정]],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한 뒤에 영국의 [[더 가디언]]지와의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1112710072943820|인터뷰]]에서, '''"한국의 대중예술이 갑자기 각광받는 이유가 무엇인가?"''' 질문에 대답한 내용이다. [[2020년]] 1980년대에 [[아메리칸 드림]]을 꿈꾸고 이주한 한인가족을 그린 미국 영화 [[미나리(영화)|미나리]]에 출연했다. 환경의 변화로, 딸의 집에서 손주를 돌보며 함께 생활하게 된 할머니 '''순자''' 역을 자유롭고 뛰어나게 소화하여 인생 캐릭터를 획득했다는 압도적인 찬사를 받고 있다. [[정이삭]] 감독의 실제 할머니를 모티브로 하지만, 이를 구현하는 것에 있어 어떠한 제약도 받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의 할머니상을 비틀어 새로운 감각의 어머니를 구현해냈으며, 여태껏 겹겹이 쌓아온 윤여정의 독특한 정체성과 영화의 구성 요소가 절묘하게 맞물려 매우 사랑스러운 인물로 그려졌다. 전면 주연은 아니더라도 영화의 키를 맡던 기존의 포지션 역시 한층 더 높아져, 마지막 부근의 해묵은 갈등 사항의 해법을 제시하고, 끝내 홀로 살아남는 미나리를 심는 절절하고 원더풀한 모습과 연출에 각자의 할머니가 떠오르는 벅찬 경험을 했다는 관객이 많다. 독립 영화임에도 2주 이상 박스오피스 1위를 지키며 크게 성공했고, 이 작품으로 윤여정은 전 세계적인 유명세와 명성을 얻게 되었다. 미나리는 [[제36회 선댄스 영화제]]에서 대상 격인 심사위원대상과 최우수상 격인 관객상을 둘 다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으며, 이후 각종 매체들은 윤여정을 <보랏 속편>의 [[마리아 바칼로바]], <[[힐빌리의 노래(영화)|힐빌리의 노래]]>의 [[글렌 클로즈]], <[[더 파더]]>의 [[올리비아 콜먼]], <[[맹크]]>의 [[아만다 사이프리드]] 등과 함께 강력한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후보로 지목하였다. 그리고 그 기대감을 충족이라도 하듯, 수많은 미국의 비평가 시상식 및 독립 영화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거나 후보로 올랐다.[* [[제78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는 노미네이트에 실패하여 윤여정의 오스카 입성 전망이 어두워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지만, 전년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4관왕에 올랐던 [[기생충(영화)|기생충]]도 골든 글로브에서는 외국어영화상 수상에만 만족해야 했다는 점에서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도 많다.] 윤여정은 이후 [[미국배우조합상]](SAG)과 영국 [[아카데미상]](BAFTA)에서는 여우조연상 후보 노미네이트에 성공하였다. 한국 배우로는 최초의 결과이다. 미국 언론에서도 올해 최고의 연기나 주목해야 할 배우 리스트에 오르는 등 상당한 기대를 받고 있다. 결국 '''한국 배우 최초로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 여우조연상으로 노미네이트'''[* 아시아 배우로는 4번째이다.]됐다. 74세의 나이에 충무로 역사를 새로 써내려가 줄곧 찬사가 이어졌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Ny5knRm2EQ)]}}} || || {{{#fff '''▲ 미국배우조합상 여우조연상 수상소감'''}}} || 그리고 대망의 4월 4일 [[미국배우조합상]](SAG)에서 강력한 경쟁자들을 꺾고 여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 한국 배우로서는 최초이며, 특히나 이 시상식의 결과가 아카데미 시상식에 굉장히 영향을 많이 끼치기 때문에 사실상 오스카 수상이 유력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미나리가 해외를 휩쓰는 동안, 2021년 1월부터 한국에서는 [[나영석]]과의 또 다른 예능인 [[윤스테이]]가 방영을 시작했다. 첫 화부터 8.9%라는 준수한 시청률을 기록하며 대박을 냈고, 연일 화제를 낳으며, 예능에서도 존경받는 배우이자 어른으로서의 품격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계 미국인 작가 이민진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애플TV+에서 제작하는 '''미국 드라마 [[파친코(드라마)|파친코]]에 캐스팅되어 [[2021년]] 상반기 촬영을 마무리'''지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waKbUhBuNDM)]}}} || || {{{#fff '''▲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수상소감'''}}} || [[2021년]] [[4월 12일]],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며,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국적의 영화인 최초로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연기상을 수상한 배우[* 이 수상으로 사실상 오스카에 가장 가까워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상이 여러모로 중요한 상이었던 이유는 강력한 경쟁자인 [[마리아 바칼로바]]와 거의 대등한 경쟁에서 한 발 더 앞서나갈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가 되었다. 수상소감도 센스가 넘쳐서 화제가 되었다. 먼저 4월 9일에 사망한 [[엘리자베스 2세|엘리자베스 여왕]]의 남편 [[필립 마운트배튼]]에 대해 애도를 표했고, '모든 상이 특별하지만 이 상은 '콧대 높은 걸로 알려진[* 'known as snobbish people'라는 단어를 썼다. Snobbish는 고상한 척, 잘난 척하는 속물스러움을 뜻하는 표현이다. [[스노비즘]]의 어원이기도 하다. 물론 이 경우는 어디까지나 농담이지 비하하려는 뜻으로 쓴 건 아니다.] 영국인들이 주신 상이라 더욱 특별한 것 같다'라는 소감으로 사회자를 빵 터지게 만들었다. 이 상을 수상하며, [[베니스 영화제]]의 [[강수연]], [[칸 영화제]]의 [[전도연]], [[베를린 영화제]]의 [[김민희(1982)|김민희]]와 나란히 세계적인 영화제나 시상식에서 그 연기력을 인정받은 배우가 되었다.[* [[기생충(영화)|기생충]]의 수상 실적도 어마어마했지만, 해당 성적이 출연 배우들이 아닌 영화 자체에 조금 더 포커스가 맞춰져 있었다면, [[미나리(영화)|미나리]]의 경우 반대로 영화 자체보단 배우들의 앙상블과 그 중에서도 돋보이는 배우로서의 윤여정에 초점을 맞춘 수상이 많아 궤가 다르다고 볼 수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윤여정오스카공식트윗.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fGIAQz9rtk, 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CLlMDSUwy68, width=10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hyo_mmsck7k, width=100%)]}}}|| || ▲ '''여우조연상 수상소감''' || ▲ '''백스테이지 인터뷰''' || ▲ '''공식 기자회견''' || > [[브래드 피트]] 씨, 마침내, 만나서 반갑습니다. 저희가 [[털사]][* 미나리 촬영지]에서 영화 찍을 땐 어디 계셨어요?[* 관례에 따라 여우조연상 시상은 작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수상자인 [[브래드 피트]]가 맡았는데, 브래드 피트는 미나리의 제작사인 플랜비(PLAN.B)의 설립자다.] 여기서라도 만나게 되어 무척 영광이예요. > 아시다시피 전 한국에서 왔고, 사실 제 이름은 '윤여정'이지만 유럽에서는 많은 분들이 제 이름을 '여영'이라고 부르거나 '유정'이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오늘만은 모두 용서해 드릴게요. 저는 그간 지구 반대편에서 오스카 시상식을 TV로, TV프로그램으로만 봐왔는데 오늘 이 자리에 직접 서게 되니 믿을 수가 없네요. > 제가 조금 정신을 가다듬을게요.[* 연기 인생이 매우 긴 그녀지만 세계적인 시상식에서 수상하는 것은 처음이니 그녀의 떨림이 이해가 갈 것이다.] 아카데미 관계자 분들과 제게 표를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 그리고... 그 다음 소감은 다들 이렇게 말하죠. > 미나리 팀에게 깊이 감사합니다. [[스티븐 연|스티븐]], [[정이삭|이삭]] 감독, [[한예리|예리]], 노엘, 앨런 등과 영화를 찍으면서 우리 모두는 가족이 되었어요. 무엇보다 [[정이삭]] 감독님, 감독님이 없었다면 오늘 저는 이 자리에 없었겠죠. 그는 우리의 캡틴이자 나의 감독님이었어요.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 사실 저는 경쟁을 믿지 않습니다. 제가 어떻게 [[글렌 클로즈]]를 이기겠어요? 전 그 분의 여러 연기를 오랫동안 봐왔습니다. 그저 오늘 노미네이트된 다섯 명은 모두 각자 다른 영화의 다른 역할을 연기한 승리자들입니다.[* 이 장면에서 같이 후보에 올랐던 [[아만다 사이프리드]]가 감동해하는 장면이 잡혔다.] 그러니까 '''우리는 서로 경쟁할 수가 없습니다'''.[* 백그라운드 인터뷰에서도 윤여정이 지속적으로 언급하는 이야기. 그녀만의 영화, 더 나아가 인생 철학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오늘 밤 제게 조금 운이 따라주었기에 지금 이 자리에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요, 아마 제가 운이 좀 더 좋았나 봐요. 한국의 배우에게 베푼 미국식 호의라고 볼 수도 있을까요? 잘 모르겠지만 아무튼 깊이 감사드립니다. > 또한 제가 열심히 일하게 만들어 준 두 아들에게도 감사의 인사를 전합니다. (상을 높이 들며) '''사랑하는 아들들아, 이게 바로 엄마가 열심히 일한 결과란다'''. > 이 상을 제 첫 영화의 감독이자 천재적인 [[김기영(1919)|김기영]] 감독님에게도 바칩니다. 저는 그와 첫 영화를 만들었어요. 현재 살아계셨다면 제 수상을 무척 기뻐하고 자랑스러워 하셨을 거예요. > 모든 분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제가 맞게 이야기 했나요? > ----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소감(해석) 전문 > Mr. Brad Pitt. finally nice to meet you. Where were you while you were filming in Tulsa? [* 관례에 따라, 여우조연상 시상은 작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조연상 수상자인 [[브래드 피트]]가 맡았는데, 브래드 피트는 미나리의 제작사인 플랜비(PLAN.B)의 설립자다.] It's truly honor to meet you. > As you know, I'm from Korea. Actually my name is 여정 윤. Most of the European people call me '여영', some of them call me '유정'. But tonight, you are all forgiven. And well... usually... When I'm living in the other part of the world, I just watched television. This is Oscar, event on the television. Just watching, like a television program for us. But me being here by myself, I cannot believe it that I'm here. > Okay, let me put myself together.[* 연기 인생이 매우 긴 그녀지만 세계적인 시상식에서 수상하는 것은 처음이니 그녀의 떨림이 이해가 갈 것이다.] Thank you. Tremendous thanks to the Academy members who voted for me. > and Next speech, they usually say.... > Thank you for the wonderful MINARI family. [[스티븐 연|Steven]], [[정이삭|Isaac]], [[한예리|Yeri]], Noel(노엘), and Alan(앨런). We became a family. And most of all, [[정이삭|Lee Isaac Chung]], without him, I couldn't be here tonight. He was our captain and my director. Thanks to you, too many thanks to you. >And I'd like to thank to... see... > Well, I don't believe in competition. How can I [[글렌 클로즈|Glenn Close]]? win over [[글렌 클로즈|Glenn Close]]? I have been watching her do many performances. So this us just... all the bominees, five nominees, we are the winner for the different movies.[* 이 장면에서 같이 후보에 올랐던 [[아만다 사이프리드]]가 감동해하는 장면이 잡혔다.] We played different roles, '''so we cannot compete with each other'''.[* 백그라운드 인터뷰에서도 윤여정이 지속적으로 언급하는 이야기. 그녀만의 영화, 더 나아가 인생 철학이 드러나는 대목이다.] Tonight I'm here is that just because of a little bit if luck. I think. Maybe luckier than you. But anyway thank you so much. And also maybe... Is that an American hospitality for the Korean actor? I'm not sure, anyway thank you so much. > And I'd like to thank to my two boys who made me go out and work. (상을 높이 들며) '''So, beloved sons, this is the result because mommy works so hard.''' > And I'd like to dedicate this award for my first director, [[김기영(1919)|Kim Ki-young]] who was a very genius director. I made a movie together with my first movie. I think he will be very happy if he is still alive. > Thank you very much! Tremendous thanks for everybody. Thank you. > ---- >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소감 영어 전문 [[2021년]] [[4월 25일]][* 현지 시간. 대한민국에서는 4월 26일 오전에 진행되었다.],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을 수상'''하며, 오스카 레이스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미나리에서 딸 역할을 맡은 배우 [[한예리]]와 LA 유니언 스테이션에 직접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코로나 팬데믹 때문에 후보자와 후보자가 지명한 1인만 시상식에 참여할 수 있었다. 윤여정은 한예리에게 "이번에 견학했으니 다음 번엔 너에게도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며 응원해주었다고 한다.] 수상소감 도중 그녀만의 센스 있는 표현들을 자주 사용해[* 이전부터 윤여정은 이번 오스카 레이스 내내 센스 있는 수상 소감으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현장에 참석한 관계자들에게도 많은 호응을 받았다. * '''한국 영화인 최초로 아카데미 배우상(여우조연상) 수상'''[* 한국 영화인 최초 아카데미상 수상자는 2020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의 봉준호(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영화상), 곽신애(작품상), 한진원(각본상)] * '''아시아계 배우로는 두 번째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 1958년 제3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사요나라'로 우메키 미요시(일본계 미국인)가 수상한 것에 이어 63년 만이다. ('일본계 미국인'이었으니 '아시아 국적'으로는 처음.)] * '''아시아계 배우 최초로 영어가 아닌 자국어 연기[* 윤여정은 영화 미나리에서 한국어 연기를 선보인 반면, 우메키 미요시는 대부분 영어로 연기했다.]로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수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ㅇㅇㅈ2.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ㅇㅇㅈ11.jpg|width=100%]]}}}|| || '''▲ 수상소감을 말하는 윤여정''' || '''▲ 포즈를 취하는 윤여정''' || 한편 미국배우조합상(SAG)을 비롯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BAFTA]])과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OSCAR)의 여우조연상 수상으로, 자연스럽게 내년 '''해당 시상식의 남우 혹은 여우조연상 시상자'''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코로나 펜데믹 상황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다른 시상식은 몰라도 미국 아카데미 시상식의 시상자로 나설 것은 거의 확실해 보인다. 이후 미국영화예술과학아카데미가 마련한 온라인 기자 간담회에서 최근 아시아 영화의 약진과 [[할리우드]]의 다양성 확대와 관련해, 다음과 같이 사람의 정체성에 의한 차별을 반대할 것을 주장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28&aid=0002541935|#]] > 심지어 [[무지개]]도 [[7]]가지 색깔이 있다. 여러 [[색깔]]이 있는 것이 중요하다. [[남성]]과 [[여성]]으로 구분하고 [[백인]]과 [[흑인]], [[황인종]]으로 나누거나 [[동성애자]]와 [[이성애자]]로 구분하고 싶지 않다. 우리는 따뜻하고 같은 마음을 가진 [[평등]]한 사람이다. 저는 서로를 이해하는 것이 매우 좋다고 생각한다. 서로를 끌어안아야 한다. 2021년 10월 28일, 문화예술 공로자에게 주는 최고 훈장인 '''[[금관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A (흔히 연예인으로 불리는)대중문화 분야에서 최초의 사례이며, 생전에 받은 특이한 사례에 속한다.] 해외 촬영 일정 때문에 수상은 여동생 윤여순이 대리수상했고, 미리 준비된 수상 소감 영상을 통해 감사를 전했다. 그리고 미국 시간 2022년 3월 27일에 열리는 [[제94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남우조연상 부문의 시상을 맡았다. 수상자인 [[트로이 코처]][* [[코다(영화)]]에서 [[코다]](CODA) 여주인공의 [[농인]] 아빠 역을 맡았다.]가 [[청각장애인]]이어서 소리내어 이름을 부르기 전 [[수어]]로 축하를 먼저 전하는 인상적인 장면을 남겼다. [[https://www.youtube.com/watch?v=9OnRjidx5xc|'수어 시상’에 ‘파란 리본’까지…윤여정의 품격 / KBS]].[* 수상자인 트로이 코처가 상을 받은 후 수상소감을 말해야되는데, 청각장애인이라 수어로 소감을 말해야한다는걸 깨닫고, 뒤늦게 뺏듯이 상을 대신 들어주는 모습을 보여 또다른 웃음을 주기도했다.][* 코처는 무대 뒤에서 윤여정과 다시 만나 좀더 대화를 나눴는데,[[https://youtu.be/cma05pc47Jg|뜻밖의 여정 5회]] 코처의 미국수어와 윤여정의 음성영어를 서로에게 옮겨주던 수어통역사가 통역을 하면서 '''울었다.''' 그 역시 앞서 있었던 일들에 매우 감동했던 듯.[[https://youtu.be/chGcKnlH73g|뜻밖의 여정 5회(2)]]] == 출연작 == === 드라마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 [[1967년]] ||<|2> [[동양방송|[[파일:동양방송 로고.svg|width=40]]]] || 미스터 공 || || || ||<|4> [[1970년]] || 아내의 모습 || || || ||<|11> [[MBC TV|[[파일:MBC 로고(1969-1974).svg|width=40]]]] || 강변 살자 || || || || 사랑과 슬픔의 강 || || || || 박마리아 || '''[[박마리아]]''' || || || [[1971년]]~[[1972년]] || '''장희빈''' || '''[[장희빈]]''' || || ||<|6> [[1972년]] || 일년열두달 - 집과의 대화 || 딸 || || || 딸갈대의 노래 || || || || 일년열두달 - 신촌아줌마 || 딸 || || || 무지개 || 한 사장의 딸 || || || '''대원군''' || 민비 || || || '''새엄마''' || 은혜 || || || [[1973년]] || 민비 || || || || [[1976년]] || [[MBC TV|[[파일:MBC 로고(1974-1981).svg|width=40]]]] || 여고 동창생 || 김신자 || [* 윤여정과는 많은 인연이 있는 [[김수현(작가)]]의 옴니버스형 연속극으로 미국생활 도중 귀국해서 잠깐 출연했었던 드라마이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40032921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4&officeId=00032&pageNo=12&printNo=11998&publishType=00020|#]]] || || [[1984년]] ||<|3> [[MBC TV|[[파일:MBC 로고(1981-1985).svg|width=40]]]] || MBC 베스트셀러극장 - 고깔 || 여기자 || [* 8년만에 출연한 TV 복귀작으로 여주인공 역을 맡았다.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092400329212001&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09-24&officeId=00032&pageNo=12&printNo=11998&publishType=00020|#]]] || ||<|2> [[1985년]] || [[엄마의 방]] || || || || [[전원일기]] || 여러 단역 || || || [[1986년]] ||<|4>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첫사랑(MBC)|첫사랑]] || || || || [[1987년]] || '''[[사랑과 야망]]''' || 송혜주 || || ||<|2> [[1988년]] || [[모래성(MBC)|모래성]] || 김진애 || || || [[원미동 사람들(드라마)|원미동 사람들]] || || || ||<|3> [[1989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사랑의 굴레]] || 신지원 || || ||<|2>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철새(드라마)|철새]] || || || || [[잠들지 않는 나무]] || 무용강습소 선생님 || || ||<|2> [[1990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검생이의 달]] || || || ||<|4>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배반의 장미(드라마)|배반의 장미]] || 옥선 || || ||<|2> [[1991년]] || 미끼와 고삐 || || || || [[또 하나의 행복]] || || || || [[1991년]]~[[1992년]] || '''[[사랑이 뭐길래]]''' || '''한심애''' || [* 한국방송대상 여자탤런트상 수상작으로, 귀국 후 단역을 맡으며 힘들게 방송계를 전전했던 윤여정을 대중에게 각인시켜주고 재기의 발판이 되어준 드라마이다.] || ||<|3> [[1992년]] ||<|2> [[SBS TV|[[파일:SBS 로고(1991-1994).svg|width=40]]]] || SBS 개국드라마 - '''[[분례기]]''' || '''똥례 모'''[* 한국방송대상 여자 탤런트상, SBS 스타상 열연상 수상작] || || || [[관촌 수필]] || 대복 모 || || ||<|2>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여자의 방]] || || || ||<|5> [[1993년]] || 설특집극 - [[옛날 나 어릴적에]] || 큰딸 || || || [[SBS TV|[[파일:SBS 로고(1991-1994).svg|width=40]]]] ||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 송은녀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MBC 베스트극장 - 동행 || || || || [[SBS TV|[[파일:SBS 로고(1991-1994).svg|width=40]]]] || [[산다는 것은]] || 풍개 모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김가 이가]] || || || || [[1994년]] || [[SBS TV|[[파일:SBS 로고(1991-1994).svg|width=40]]]] || '''[[작별(드라마)|작별]]''' || '''이시내''' || || ||<|2> [[1995년]] ||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그대 목소리]] || 언년이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MBC 베스트극장 - 호스피스 아줌마 || 정숙 || || || [[1995년]]~[[1996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목욕탕집 남자들]]''' || '''노혜영''' || || || [[1996년]] ||<|4>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가슴을 열어라(드라마)|가슴을 열어라]] || || || ||<|2> [[1996년]]~[[1997년]] || [[유혹(1996년 드라마)|유혹]] || || || || [[간이역(드라마)|간이역]] || || || ||<|3> [[1997년]] || [[내가 사는 이유]] || 손미나 || || ||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이웃집 여자]] || 김순희 || || ||<|3>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MBC 베스트극장 - 복순씨의 부메랑 || 보험설계사 복순 || || ||<|5> [[1998년]] || [[맏이(MBC)|맏이]] || 최숙자 || || || [[사랑밖에 난 몰라]] || || || ||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홍길동(SBS)|홍길동]] || 인옥 모 ||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거짓말(드라마)|거짓말]] || 성우 모, 영희 || || || [[짝사랑(KBS)|짝사랑]] || || || ||<|3> [[1999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 최혜자 || || ||<|3>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아버지 || || || || [[당신은 누구시길래]] || 정신애 || || ||<|2> [[1999년]]~[[2000년]] || [[카이스트(드라마)|카이스트]] || 기계공학전공 교수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허준(드라마)|허준]] || 성인철의 처 || || || [[2000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꼭지(드라마)|꼭지]]''' || '''김복녀''' || || || [[2000년]]~[[2001년]] || [[SBS TV|[[파일:SBS 로고(1994-2000).svg|width=40]]]] || [[자꾸만 보고싶네]] || 이옥분 || || ||<|5> [[2001년]]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비단향꽃무]] || 안정희 || || || [[푸른 안개]] || 미순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호텔리어(드라마)|호텔리어]] || 윤동숙 ||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순자(드라마)|순자]] || 고창 댁 || ||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MBC 베스트극장 - 동행II || 금녀 || || ||<|2> [[2001년]]~[[2002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사랑은 이런거야]] || 이정자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동서는 좋겠네]] || 최종숙 || || ||<|3> [[2002년]] ||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네 멋대로 해라(드라마)|네 멋대로 해라]] || 정유순 ||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정(동음이의어)#s-4.4|정]] || 엄씨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내 사랑 누굴까]] || 인애 || || ||<|3> [[2003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설날특집극 - [[달중씨의 신데렐라]] || 필순 || ||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저 푸른 초원위에]] || 김점희 || || || [[장미울타리]] || 허여사 || || ||<|2> [[2003년]]~[[2004년]] || [[진주 목걸이]] || 준혁 모, 윤해명 || ||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백만송이 장미]] || 최금자 || || ||<|3> [[2004년]] ||<|2> [[MBC TV|[[파일:MBC 로고(1986-2005).svg|width=40]]]] || [[아일랜드(MBC)|아일랜드]] || 엄마 || || || [[장미의 전쟁(MBC)|장미의 전쟁]] || 허영심 || || ||<|2>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드라마시티 - 우리 햄 || 할머니 || || ||<|3> [[2005년]] || 창사특집극 - [[유행가가 되리]] || 오숙영 || [* 상하이 국제TV페스티벌 TV드라마부문 매그놀리아 대상, 극본상 수상작.]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사랑공감 || 희수 모 || ||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굳세어라 금순아(드라마)|굳세어라 금순아]] || 할머니 || || || [[2005년]]~[[2006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슬픔이여 안녕]] || 이연심 || || ||<|3> [[2006년]]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진짜 진짜 좋아해 || 구향수 || ||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열아홉 순정(드라마)|열아홉 순정]] || 윤명혜 || ||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여우야 뭐하니]] || 조순남 || || || [[2007년]] || [[SBS|[[파일:SBS 로고.svg|width=40]]]] || [[사랑하는 사람아(드라마)|사랑하는 사람아]] || 윤민자 || || || [[2007년]]~[[2008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며느리 전성시대]] || 서미순 || || ||<|2> [[2008년]]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춘자네 경사났네 || 양분희 ||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그들이 사는 세상]] || 오민숙 || || ||<|2> [[2009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집으로 가는 길 || 남순정 || || ||<|4>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맨 땅에 헤딩 || 애자씨 || || ||<|2> [[2010년]] || 황금물고기 || 조윤희 || || || 즐거운 나의 집 || 성은숙 || || || [[2011년]] || [[내 마음이 들리니]] || 황순금 || || ||<|2> [[2012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넝쿨째 굴러온 당신]]''' || '''[[엄청애]]''' || || ||<|2>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더킹 투하츠]] || [[더킹 투하츠/등장인물#방영순|방영순]] || || || [[2013년]] || [[여왕의 교실]] || 용현자 || || || [[2014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참 좋은 시절]] || 장소심 || || ||<|2> [[2015년]] || [[넷플릭스|[[파일:넷플릭스 로고.svg|width=40]]]] || [[Sense8]] || || 카메오, 미국 드라마 ||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프로듀사]] || 본인 || 특별출연 || || [[2016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디어 마이 프렌즈]]''' || '''오충남''' || || || [[2018년]] || [[TNT(미국 방송)|[[파일:TNT(미국) 로고.svg|width=40]]]] || 하이랜드 || || 미국 드라마 || || [[2019년]]~[[2020년]] || [[MBC TV|[[파일:MBC 로고.svg|width=40]]]] || [[두 번은 없다]] || 복막례 || || || [[2022년]] || [[Apple TV+|[[파일:Apple TV+ 로고.svg|width=40]]]] || '''[[파친코(드라마)|파친코]]''' || '''선자(노년)''' || 미국 드라마 || === 연극 === || '''출연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2> [[1971년]] || 헨리 8세와 그의 여인들 || || || || 꽃피는 체리 || || || ||<|2> [[1990년]] || 나이트 마더 || || || || 위기의 여자 || || || || [[1991년]] || 결혼하기 싫은 남자 || || || || [[1997년]] || 유리동물원 || || || === 영화 === || '''개봉 연도''' || '''제목''' || '''역할''' || '''비고''' || || [[1971년]] || '''[[화녀]]''' || || 213,567[* [[1971년]] 흥행 1위.] || || [[1972년]] || [[충녀]] || 명자 || 162,024[* [[1972년]] 흥행 1위.] || ||<|2> [[1973년]] || 다정다한 || || || || 여대생 또순이 || || || || [[1978년]] || 코메리칸의 낮과 밤 || || || || [[1985년]] || [[어미(영화)|어미]] || || || || [[1995년]] || [[죽어도 좋은 경험]][* 김기영 감독의 유작. 1990년 완성 후 '후지다'는 감독의 판단으로 공개되지 않다가 감독 사후에서야 공개되었다.] || 최여정 || || || [[2003년]] || '''[[바람난 가족]]''' || '''홍병한''' || || ||<|2> [[2004년]] || [[꽃피는 봄이 오면]] || 엄마 || || || [[그때 그사람들]] || 윤희 모/에필로그 나레이션 || || || [[2006년]]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영화)|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 모니카 || 2,472,160 || ||<|2> [[2007년]] || [[오래된 정원(영화)|오래된 정원]] || 현우 모 || || || [[황진이(영화)|황진이]] || 할멈 || || || [[2008년]] || '''[[가루지기]]''' || '''할멈''' || || ||<|2> [[2009년]] || [[여배우들]] || 자신 || 513,405 || || [[하하하]] || 문경 모 || 57,035 || || [[2010년]] || '''[[하녀(2010)|하녀]]''' || '''병식''' || 2,267,579 || ||<|2> [[2011년]] || [[푸른소금]] || 강여사 || 771,699 || || [[다른나라에서]] || 박숙 || 31,101 || || [[2012년]] || '''[[돈의 맛]]''' || '''백금옥''' || 1,166,025 || ||<|2> [[2013년]] || 뒷담화: 감독이 미쳤어요 || 자신 || || || 고령화 가족 || 엄마 || 1,141,222 || || [[2014년]] || [[자유의 언덕]] || 구옥 || 39,317 || ||<|3> [[2015년]] || [[장수상회]] || 임금님 || 1,166,887 || || [[나의 절친 악당들]] || 여정 || 특별출연 || ||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 강덕수 || 80,734 || ||<|3> [[2016년]] || [[계춘할망]] || 계춘 || 482,784 || || '''[[죽여주는 여자]]''' || '''윤소영''' || 121,452 || || 산나물 처녀[* 영화 [[찬실이는 복도 많지]]를 연출한 김초희 감독의 단편영화 데뷔작.] || 순심 || 단편영화 || || [[2018년]] || '''[[그것만이 내 세상(영화)|그것만이 내 세상]]''' || '''인숙''' || 3,420,199 || ||<|2> [[2020년]] ||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 순자 || 627,247 || || '''[[찬실이는 복도 많지]]''' || '''할머니''' || 27,108[* 독립영화 기준으로 좋은 성적을 냈다. 평론가들의 평가는 굉장히 좋은 편이다.] || || [[2021년]] || '''[[미나리(영화)|미나리]]''' || '''순자'''[* 성씨가 나오지 않았다.] || 1,133,971[* 대한민국 총 관객수. 제작비가 약 20억인데 한국 성적만으로도 초대박 수준이다.] || ||<|2> 미정 || [[행복의 나라로(영화)|행복의 나라로]] || 윤여사 || || || [[도그데이즈]] || 여정 || || === 방송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시청률''' || || [[1992년]] ||<|3>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밤으로 가는 쇼 || || || [[1995년]] || 밤과 음악사이 || || || [[1996년]] || [[가족오락관]] || || || [[2003년]] || [[KBS 1TV|[[파일:KBS 1TV 로고(1984-2018).svg|width=40]]]] || 한국한국인 || || || [[2005년]] || [[KBS 2TV|[[파일:KBS 2TV 로고(1984-2018).svg|width=40]]]] || 낭독의 발견 || || || [[2009년]] || [[MBC TV|[[파일:MBC 로고(2005-2011).svg|width=40]]]] || [[무릎팍도사]] || || || [[2012년]] ||<|2>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고현정의 고쇼 GoShow || || || [[2013년]] || [[힐링캠프]] || || || [[2013년]] ~ [[2014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꽃보다 누나]] || 9.8% || ||<|2> [[2016년]] ||<|2> [[JTBC|[[파일:JTBC 로고.svg|width=40]]]] || [[비정상회담]] || 3.4% || || [[뉴스룸]] - 대중문화초대석 || || ||<|2> [[2017년]] ||<|3>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윤식당]]''' || 14.1% || || [[현장토크쇼 TAXI]] || || ||<|2> [[2018년]] || '''[[윤식당2]]''' || 16%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집사부일체]] || 9.5% || ||<|4> [[2021년]] || [[tvN|[[파일:tvN 로고(2012-2021).svg|width=40]]]] || [[윤스테이]] || 11.6% || || [[SBS TV|[[파일:SBS 로고.svg|width=40]]]] || 미나리 골든글로브 수상 기념 [[문명특급]] - 윤여정편 TV 확장판[* 영화 [[미나리(영화)]]의 [[골든글로브]] 최우수 외국어영화상 수상 소식이 들려오자 [[SBS]] 측에서는 이미 [[유튜브]]에서 인기 동영상에 장기간 머무르며 화제를 모았던 윤여정이 출연한 웹예능 [[문명특급]]을 TV 확장판을 [[그것이 알고싶다]] 시간대에 특별 편성했고, [[https://m.youtube.com/watch?v=csuCT6OtAZw|유튜브 판]]에서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분도 특별히 추가됐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3/0010376933|#]]] || || || [[OCN|[[파일:OCN 로고.svg|width=40]]]] || 윤스토리[* 한국 배우 최초로 [[아카데미 시상식]] 여우조연상 후보에 오른 윤여정의 55년 연기 경력을 조명한 다큐멘터리로 이틀뒤 [[tvN]]에서도 추가 편성되었다.] || || || [[KBS1|[[파일:KBS 1TV 로고.svg|width=40]]]] || 다큐인사이트 - 다큐멘터리 윤여정[* 윤여정의 연기 인생과 알려지지 않은 일화를 볼 수 있었던 다큐멘터리로 먼저 방송된 윤스토리보다도 알찬 아카이브양, 인터뷰어, 감각적이고 센스있는 편집과 구성이라는 반응들이였다. 시청률에서도 지상파 동시간대 시청률 1위도 기록했다.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01/0012364319|#]]] || 6.5% || ||<|3> [[2022년]] ||<|2> [[tvN|[[파일:tvN 로고.svg|width=40]]]] || [[유 퀴즈 온 더 블럭]] || 게스트 || || [[뜻밖의 여정]] || || || [[NBC(미국 방송)|[[파일:NBC 로고.svg|width=40]]]] || [[켈리 클락슨 쇼]] || || === 라디오 === || '''방영 연도''' || '''방송사''' || '''제목''' || '''비고''' || ||<|2> [[2015년]] || [[EBS FM|[[파일:EBS FM 로고.svg|width=50]]]] || EBS 책 읽는 라디오 낭독 시리즈 || 낭독자 || ||<|3> [[SBS 파워FM|[[파일:SBS 파워FM 로고.svg|width=50]]]] || [[두시탈출 컬투쇼]] || || || [[2016년]] ||<|2> [[최화정의 파워타임]] || with 이재용 감독 || || [[2020년]] || with [[전도연]] || === 애니메이션 === * [[더 보이즈: 디아볼리컬]][* [[프라임 비디오]]에서 스트리밍하는 [[더 보이즈(드라마)|더 보이즈]]의 스핀오프 앤솔로지 애니메이션.]([[2022년]]) 1기 7화 '''존과 선희''' - 선희(Sun-hee)[* 한국계 미국인 할머니 캐릭터. 만화 및 드라마 내에서 슈퍼휴먼을 만드는 데 쓰이는 약물인 컴파운드 V를 투여받았다가, 앓고 있던 암이 폭주해 종국에는 독립적으로 괴물이 되어 사람들을 해하게 된다. 이를 애써 외면하고 도망치려던 남편 존(역시 동양계이다)을 설득해 암 괴물을 막기 위해 능력을 사용해 자신을 희생한다. 이 때 한국어로 덤덤하게 '''"괜찮아요. 걱정하지 말고 가요. 어여 가라니깐... 식사 챙겨 드는 거 잊지 말아요. 나 없다고 끼니 거르면 안 돼요..."'''하고 유언을 남기며 장렬히 희생하는 모습이 아름다운 풍경 작화와 어우러져 눈시울을 붉히게 한다. 정신나간 세계관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앤솔로지 애니메이션인지라 이런 애틋한 에피소드도 신선하다며 감탄하고 동시에 감동받았다는 반응이 많다.][* 본 애니메이션은 매 화마다 작화와 연출 스타일이 다른데, 윤여정이 참여한 본 에피소드는 한국풍 애니메이션 느낌이 짙게 풍긴다. [[릭 앤 모티]]의 저스틴 로일랜드가 한 화에 참여해 화제가 되기도 했고, 애니매니악스의 제작진이 참여한 루니 툰의 노골적 패러디인 에피소드도 있다.] === 광고 === || '''출연 연도''' || '''기업/브랜드명''' || || [[1972년]] || [[동아오츠카]] [[오란씨]] || || [[1976년]] || [[LG생활건강]] 유니나 샴푸 || ||<|2> [[1987년]] || [[종근당]] 펜잘 (with [[정혜선(배우)|정혜선]], [[김영옥(배우)|김영옥]]) || || [[롯데푸드]] 로스팜 || ||<|2> [[1990년]] || 안국약품 토비콤에스 || || [[동국제약]] [[마데카솔]]케어 || || [[1992년]] || [[JW중외제약]] 화콜 (with [[MBC]] [[사랑이 뭐길래]] 배우들) || || [[1993년]] || [[삼성전자]] 가스오븐렌지듀오 || ||<|2> [[1996년]] || [[유한양행]] 실버칼 (with [[KBS]] [[목욕탕집 남자들]] 배우들) || || [[해태음료]] 쿨사이다 || || [[2009년]] || [[비씨카드]] 비씨카드 × 영화 [[여배우들]] 신용카드 풋티지 광고 || || [[2011년]]~[[2018년]] || [[부광약품]] 시린메드F 덴탈케어 (with [[이서진]]) || || [[2014년]] || [[SK텔레콤]] LTE-A 가족할인, T로밍 (with [[김연아]], [[윤제문]], [[박성웅]], [[김성령]]) || ||<|2> [[2015년]] || [[KGC인삼공사]] [[정관장]] 화애락본 (with [[김성령]]) || || [[현대카드]] 현대카드 LIBRARY Inspiration Talk : [[https://youtu.be/BtnC7glnh-I|윤여정의 영감 다름 편]] || ||<|2> [[2016년]] || [[KGC인삼공사]] [[정관장]] 천녹삼 || || 메가젠임플란트 (with [[김상중]]) || ||<|2> [[2017년]] || [[우아한형제들|(주)우아한형제들]] [[배달의민족]] 배민프레시 || || [[카카오(기업)|(주)카카오]] [[카카오뱅크]] || ||<|4> [[2018년]] || [[서울우유협동조합]] 서울우유 '나100%' (with [[손호준]]) [[https://youtu.be/50UK6_h19ms|나백프로마트편]] || || [[오뚜기]] 3일 숙성카레 [[https://youtu.be/YClzpdX_GHY|CF 1]], [[https://youtu.be/t4zqHbHoW6o|CF 2]] || || [[아모레퍼시픽]] 아이오페 뉴슈퍼바이탈크림 [[https://youtu.be/eSpzzhlsH5s|내가 만들어가는 시간편]] || || 티씨엠생명과학 가인패드 || || [[2020년]]~[[2021년]] || [[유한양행]] 암앤해머 [[https://youtu.be/_OJqpvvym0M|2020년 암앤해머 스토리편]], [[https://youtu.be/wzx4w-MMFCE|베이킹소다편]], [[https://youtu.be/Tdm2hOptM5k|2021년 암앤해머치약편]], [[https://youtu.be/aCW25Bg7iCM|세탁세제편]] || ||<|4> [[2021년]] || 크로키닷컴 지그재그 [[https://youtu.be/Qam6RUKEooI|티저편]], [[https://youtu.be/9x5AoAwPAK4|CF 1]], [[https://youtu.be/XbOqnUoqiL8|CF 2]] || || [[KT]] 'DIGICO KT' [[https://youtu.be/28rMlrn7goU|CF 1]], [[https://youtu.be/pN3yiP0Cjrk|CF 2]] || || [[오비맥주]] [[카스(맥주)|카스]] 'All New Cass' [[https://youtu.be/auZvBodH350|진짜가 되는 시간편]] || || [[KB금융지주]] KB페이 [[https://youtu.be/X5ZJUe1aU34|다모았다편]], [[https://youtu.be/pYzdu4EPc24|비하인드]] || || [[2023년]] || [[KB라이프]] [[https://youtu.be/nv_pIz4YMis|라이프를 나름답게]][* [[딥 러닝]] 기법을 이용하여 윤여정의 신인배우 시절 모습을 복원하였다.] || == 수상 == || '''연도''' || '''시상식''' || '''수상부문''' || '''작품''' || || [[1969년]] || [[동양방송|TBC]] 연기대상 || 최우수 신인탤런트상 || || ||<|3> [[1971년]] || 제4회 [[시체스 영화제|시체스국제영화제]] ||<|2> '''여우주연상''' ||<|4> '''[[화녀]]''' || || 제8회 [[청룡영화상]] || || 제10회 [[대종상]] || 신인여우상 || || [[1972년]] || 제15회 [[부일영화상]] || 우수신인상 || ||<|2> [[1992년]] || 제19회 [[한국방송대상]] || 여자탤런트상 ||<|2> 분례기 || || [[SBS 연기대상|SBS 스타상]] || 열연상 || ||<|2> [[2003년]] || 제4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2> 여우조연상 ||<|2> '''[[바람난 가족]]''' || || 제2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 [[2005년]] || [[KBS 연기대상]] || 단막극부문 여자연기상 || 유행가가 되리 || ||<|9> [[2010년]] || 제11회 부산영화평론가협회상 || 여자 우수연기상 || [[하녀(2010)|하녀]], [[하하하]], [[여배우들]] || || 제43회 [[시체스 영화제|시체스국제영화제]] || 마리아 명예상 || || || 제6회 세상을 밝게 만든 사람들 || 문화예술 부문 || || || 제18회 [[춘사영화상]] ||<|5> 여우조연상 ||<|8> '''[[하녀(2010)|하녀]]''' || || 제19회 [[부일영화상]] || || 제47회 [[대종상]] || || 제8회 [[대한민국 영화대상]] || || 제31회 [[청룡영화상]] || || 제12회 시네마닐라국제영화제 || 국제경쟁부문 여우주연상 || ||<|2> [[2011년]] || 제8회 [[맥스무비]] 최고의 영화상 || 여자조연배우상 || || 제5회 아시안 필름 어워드 || 여우조연상 || || [[2012년]] || [[KBS 연기대상]] || 장편드라마부문 여자 우수연기상 || [[넝쿨째 굴러온 당신]] || ||<|4> [[2016년]] || 한국영화배우협회 시상식 || 한국 영화를 빛낸 스타상 || [[계춘할망]] || || 제20회 몬트리올 판타지아 국제영화제 || '''여우주연상''' ||<|5> '''[[죽여주는 여자]]''' || || 제10회 아시아 태평양 스크린 어워즈 || 심사위원상 || || 제17회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올해의 여성영화인상 || ||<|4> [[2017년]] || 제26회 [[부일영화상]] || '''여우주연상''' || || 제17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 원로배우부문 인기영화인상 || || 엘르스타일어워즈 || 엘르스타일어워즈 수상 || || || 제8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s-3.1.2|대중문화예술상]] || '''은관문화훈장''' || || ||<|10> [[2020년]] || 제7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 || 여우조연상 || [[찬실이는 복도 많지]] || || 미들버그 영화제 || 앙상블 어워드(배우 조합상) ||<|46> '''[[미나리(영화)|미나리]]''' || || 제1회 미국 선셋 영화 비평가 협회상 ||<|20> 여우조연상 || || 미국 컬쳐 스테이지 어워즈 || || 미국 도리안 어워즈 || || 인터내셔널 온라인 시네마 어워즈 || || 미국 온라인 필름 & 텔레비전 협회상 || || 미국 피닉스 비평가 협회상(PFCC) || || 제41회 미국 보스턴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제46회 미국 LA 영화 비평가 협회상 || ||<|40> [[2021년]] || 제3회 미국 그레이터 웨스턴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제9회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제14회 미국 여성영화기자협회상 || || 미국 오클라호마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컬럼버스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샌디에이고 영화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뮤직시티 영화 비평가 협회상[* 내슈빌 평론가들이 수상자를 선정하는 시상식이다.] || || 미국 디스커싱필름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세인트루이스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샌프란시스코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흑인 비평가 협회상 || ||<|2> 미국 뉴멕시코 비평가 협회상 || || 여우조연상, 앙상블상 || || 미국 캔자스시티 비평가 협회상 ||<|6> 여우조연상 || || 제1회 북미 아시아 태평양 영화인 어워즈 || || 전미 비평가 위원회상 || || 미국 뉴욕 온라인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노스 텍사스 비평가 협회상 || || 제19회 미국 워싱턴 D.C. 비평가 협회상 || || 팜스프링스 국제 영화제 || 스포트라이트상 || || 미국 시애틀 비평가 협회상 ||<|9> 여우조연상 || || 미국 아이오와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사우스이스턴 비평가 협회상 || || 캐나다 밴쿠버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피닉스 비평가 협회상(PFCS) || || 미국 온라인 여성 비평가 협회상 || || 미국 할리우드 비평가 협회상 || || 라티노 엔터테인먼트 기자 협회상 || ||<|2> 미국 디트로이트 비평가 협회상 || || 앙상블상 || || 미국 조지아 비평가 협회상 ||<|2> 여우조연상 || ||<|2> 미국 오스틴 비평가 협회상 || || 앙상블상 || || '''제27회 [[미국배우조합상]](SAG Awards)''' ||<|4> 여우조연상 || || '''[[제74회 영국 아카데미 영화상 시상식]]([[BAFTA]])''' || || '''[[제36회 인디펜던트 스피릿 시상식]]'''[* 미국 최대, 최고의 권위를 지닌 독립영화상이다.] ||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 || || 2021 브랜드 고객충성도 대상 || 국민배우(여자) 부문 || || || 2021 올해의 브랜드 대상 || 여자배우 || || || 제12회 대한민국 [[대중문화예술상]] || '''금관문화훈장''' || || || 2022년 || 골드 더비 어워즈 || 드라마 여우조연상 ||<|2> '''[[파친코(드라마)|파친코]]''' || || 2023년 || [[제38회 인디펜던트 스피릿 시상식]] || TV 앙상블상 || 영화 [[미나리(영화)|미나리]]로 각종 시상식에서 연기상을 44개나 들어올렸으며 이 역시도 현재진행형이다. 배우 앙상블상을 제외하고 여우조연상[* 팜스프링스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한 여자배우상도 포함한다.] 단독 수상만 보더라도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포함하여 '''41관왕'''이다. == 말말말 == > '''윤여정의 발전 여부가 앞으로의 우리 영화의 질적 향상을 가름하는 표본이 될 것이다.''' > ---- > 조선일보 주필 [[선우휘]][* 윤여정이 <화녀>로 1971년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을 받았을 때의 심사위원. [[https://sports.donga.com/ent/article/all/20210127/105142904/3|#]]그리고 선우휘의 말대로 윤여정은 한국 영화의 질적 향상에 가장 큰 기준점이 되는 역할을 장장 50년만에 해내고 말았다.] > "그런데도 작업할 때는 누구보다 열심히 하는 사람. 능력과 재능을 떠나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성실함과 책임감이 몸에 배어 있는 사람. 〈찬실이는 복도 많지〉를 작업할 때 저는 또 한 번 선생님의 멋진 면을 보았습니다. 대본에서 손을 안 떼고 연구를 하시더니 제 대본에서 토씨 하나 안 바꾸고 억양과 발음으로만 역할을 재정비해 오셨습니다. 선생님은 남들보다 뭘 먼저 해서 신여성이 아니에요. 누구에게도 기대지 않고 온 힘으로 살겠다는 마음. 밥을 먹고 사는데 연기로 살겠다는 강인한 다짐은 배우의 자의식을 뛰어넘은 것임을 느낍니다. 처음 뵌 62세 때나 지금이나 그래서 그렇게 선생님은 똑같나 봅니다. 대사를 외울 수 있을 때까지는 연기를 할 거라 하셨죠. 제가 더블 개런티를 드릴 때까지 건강히 오래오래 웃으면서 제 곁에 있어주세요." > ---- > 영화감독 [[김초희]] > “영광이고, 선생님이 재치도 있고 매력적인 분이지 않나. 이런 유머가 현장에서 좋은 에너지구나, 필요한 에너지구나라고 생각했다. 저는 웃길 수 없는 사람이구나, 다시 태어나야 하는구나 싶었다. 또 선생님을 통해 용기를 배웠다. 모르는 사람들과 외지에서 작업을 하시면서도 걱정없이 ‘두잇!’(DO IT) 하시더라. 저는 사실 걱정을 많이 했다. 근데 선생님을 보면서 뉘우치기도 했다. 또 솔직함도 배웠다. 남의 눈치 볼 거 없이 힘들면 힘들다고 하고 좋으면 좋다고 생각하고 살아야겠다고 생각했다. 외국에서 좋은 성적이 나오는데, 저희는 다 알고 있지 않았나. 좋은 연기를 보여주신 분이라는 걸. 이제야 미국에서 선생님을 알게 된 게 조금 아쉽기도 하고, 선생님이라는 좋은 배우를 그들이 알게 돼서 기쁘기도 하다.” > ---- > 배우 [[한예리]] > "윤 선생님에 대한 존경을 한마디로 표현하기 어렵다. 많은 것을 가지고 계신 분이기 때문이다. 그녀가 택한 삶의 방식에 대한 나의 경외심으로 내가 얼마나 그녀를 존경하는지 전할 수 있을 것 같다. 짧은 시간 동안 윤 선생님과 함께 지내면서 그녀의 진실됨을 느낄 수 있었다. 진실됨은 내 삶에서도 구현하고 싶은 것이다. 그녀는 진짜다. 그것이 내가 누군가에게 전할 수 있는 최고의 찬사다." > ---- > 배우 [[스티븐 연]] > "'미나리' 촬영을 시작하기 전 대본도 보고 이야기를 나누기도 했는데, 그런 조건이라면 다른 사람들은 거절할 만한 상황이었어요. 한국에서처럼 편안하게 대우받으면서 찍을 수 있는 영화가 아니니까요. 그 나이에 자기 돈을 써가면서 함께 하셨고 이런 결과를 맞이하신 건, 그 분이 몸보다 마음이 젊은 분이어서겠죠." > "(윤여정은) 어려울 때 꺼내 쓸 수 있는 옆 주머니에 따로 찬 지갑처럼 언제나 마음 든든하게 내 편이 되어주는 배우." > ---- > 영화감독 [[임상수]] > "제게는 선배님이기도 하지만 동시대를 살아가는 같은 여배우로서 끊임없이 작품을 하는 모습을 보면서 많은 여배우들에게 자극을 주는 모습이 너무 좋다." > ---- > 배우 [[전도연]] > 윤 선생님은 카리스마도 대단하지만 상대방에게 영감을 주는 분이에요. 지금 어느 정도 연기를 한다 하지만, 저는 나 하나 챙기기가 바쁘고 상대 배려하기가 참 힘들어요. 그런데 선생님은 상대가 그분의 눈만 봐도 몰입할 수 있게 만드세요. > ---- > 배우 [[배두나]] > 그에게는 사모님의 옷이 없다. 까만 콤 데 가르송 치마와 하얀 스니커즈를 신는다. 그에게는 어머님의 옷이 없다. 스키니 진과 가죽으로 된 단화를 신는다. 윤여정의 집에는 엄마의 소파가 없다. 마르셀 브로이어와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가구가 있다. 그리고 아트페어에서 구입한 미국의 초사실주의 아티스트 캐롤 퓨어만의 수영복을 입은 여성의 조각이 있다. 나는 어떠한 한국 인테리어 잡지에서도 윤여정의 집처럼 주인과 똑 닮은 집을 본 적이 없다. 그 건 인테리어 디자이너에게 맡긴 것이 아니라 완전하게 주인의 취향으로 하나하나 모은 것들이 너무나도 조화롭게 스윽 스며든 집이다. 세련되고 모던하다는 지루한 말을 어쩔 도리 없이 다시 꺼내게 될 만큼 세련되고 모던한 집이다. 그러나 윤여정은 집을 공개하자는 당신의 요청을 절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그런 요청을 한다면 그건 분명히 이 글을 읽었기 때문일테니 나는 매우 곤란한 상황에 빠지게 될 것이다. 제발 요청하지 마시라. 대신 상상해보시라. 바르셀로나 체어에 비스듬히 앉아서 화이트 와인을 한 잔 하며 과학자가 새로 펴낸 책이나 새 시나리오를 읽는 윤여정의 모습을. 그는 당신의 엄마가 아니다. 한국의 엄마도 아니다. 오직, 오로지, 윤여정이다. 윤여정은 먼 미래에 누군가가 펴낼 ‘한국 배우 백과사전’에 혼자만의 챕터를 가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챕터는 이렇게 시작될 것이다. 어디에도 속하지 않으면서 언제나 먼저 걸어나갔던 배우가 있었다. > ---- > 영화평론가 김도훈[* [[씨네21]]의 기자를 거쳐 모 잡지의 편집장으로 일했다.] == 여담 == > "...서진이가 메뉴를 추가하자고 했어요. 젊은 사람들이 센스가 있으니 들어야죠. 우리는 낡았고 매너리즘에 빠졌고 편견을 가지고 있잖아요. 살아온 경험 때문에 많이 오염됐어요. 이 나이에 편견이 없다면 거짓말입니다. 그런데 어른들이 젊은이들에게 '니들이 뭘 알아?'라고 하면 안 되죠. 난 남북통일도 중요하지만, 세대 간 소통이 더 시급하다고 생각해요." >---- > [[윤식당]] 당시의 인터뷰 중에서 발췌. * 배우들 중에서도 명석하고 지성미 넘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냥 하는 소리가 아니라 동년배 배우들 사이에서 쏟아지는 증언이 이를 뒷받침한다. 원로 배우 중에서도 최고참인 [[김영옥(배우)|김영옥]]은 '나 같은 경우는 대본이 안 외워져서 손에서 놓지를 못 하는데, 여정이는 어느 순간 손에서 대본을 딱 놓고 안 볼 정도로 대단히 집중력과 암기력이 뛰어난 영민한 여배우이다' 라고 얘기할 정도로 머리가 비상하고, 원로배우 [[이순재]]는 '윤여정은 역할을 대충하거나 상식적으로 해석하는 배우가 아닌 여러가지로 분석을 해서 새로운 캐릭터를 창조해내는 능력과 의지를 가진 배우'라고 극찬한 바 있다. 동료이자, 선배인 배우 [[박근형]]은 '<장희빈> 시절 함께 호흡을 맞출 때부터 총명하고 명석했다. 윤여정 같은 배우가 세네 명만 있어도 중년 배우들의 판도가 바뀔 것'이라고 인터뷰한 내용이 있다. * [[KBS 연기대상]] MC로 나선 윤여정이 우수연기상을 받은 직후 시상자로 나온 [[강부자]]는 '윤여정은 그 좋은 머리로 그 긴 대사를 NG 한 번 없이 촬영해준 덕에 우리 <넝쿨당> 촬영이 편안했다. 만약 윤여정이 NG를 냈으면 우리 모두 힘들었을 거다. 정말 고생했다'라는 말로 그녀를 칭찬하였고, 농촌드라마 [[전원일기]]에서 둘째 며느리로 활약한 중년배우 [[박순천(배우)|박순천]] 또한 '윤여정 선배님은 머리가 비상한 배우이다. 대본을 보고 연기가 떠오르지 않을 땐 윤여정 선배님을 찾아간다.'라고 할 정도이다. [[김수미]]는 예능에 나와서 윤여정과의 일화를 종종 말하고 다녔는데, 그때마다 지적이고 옷을 참 잘 입는 멋쟁이라고 칭찬해주었다. 이 정도면 동료 선후배들 사이에서도 그녀의 명석함을 꽤나 인정받는 듯하다. 또한 그녀는 엄청난 대사량으로 유명한 [[김수현(작가)|김수현 작가]]의 [[사랑이 뭐길래]]를 촬영할 때, 몸이 정말 좋지 않은 상태에서 작중 그녀의 분량인 대본 1~132페이지까지 쭉 외우고, 원테이크로 NG 없이 촬영 후 기절을 했다는 얘기로 방송국에서 아주 유명하다고 한다. 한 마디로, 배우계의 [[엄친딸]]인 셈이다. * 능숙한 [[영어]] 회화는 윤여정을 지적인 배우로 보이게 하는 데 한몫한다. 해외에서 촬영한 예능 프로그램 [[꽃보다 누나]], [[윤식당]], [[윤스테이]] 등을 통해 수준급 영어 실력을 많이 보였다. 꽃보다 누나 촬영 당시, 외국인과 자유자재로 소통하는 모습을 보이며, 후배 여배우들로부터 리스펙을 받기도 하였다. 미국에서 영화 미나리 무대 인사 때도 통역이 있었지만, 본인 의사는 본인이 직접 영어로 진행했다. 한편 [[윤스테이]] 출연 후에는 [[나영석]]이 캐나다 사람인 [[최우식]]과 [[뉴욕 대학교]] 출신인 [[이서진]]은 냅두고, 먹고 살려고 생활 영어나 잠깐 배웠던 자기한테 계속 외국인 손님 응대를 시키는 바람에 그게 보기 싫어서 윤스테이를 안 본다고 밝히기도 했다. * 옷을 잘 입기로도 유명하다. 동년배 배우들 중 패셔니스타 대접을 받는 건 윤여정이 유일. 일단 본인이 젊은 시절부터 옷에 관심이 많았다고 한다. 출연료를 몽땅 옷 사는 데 쓰는 등, 윤여정 정도 되는 나이가 되면 보통은 특유의 '할머니 룩'을 입고 다니기 마련인데, 그런 것 없이 유행을 자연스럽게 잘 소화하는 편. 또한 [[여배우들]]에 함께 출연해 친해진 패셔니스타 [[김민희(1982)|김민희]]에게 돈을 주고 옷 심부름을 시키기도 한다고 밝혔다. 소싯적에는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서 정장 한 벌을 직접 지어준 적도 있다고 한다. 헤어스타일에도 엄청나게 신경쓰는 모양이다. 꽃보나 누나에서 [[고데기]]를 20년간 써왔다는 장면이 나온다. 20년간 사용한 고데기가 고장 나자, [[이승기]]가 새로운 제품을 사다줬다. || [[파일:external/2.bp.blogspot.com/PS14080100003.jpg|width=100%]] || [[파일:external/4.bp.blogspot.com/1386943833-1d616d626f-o.jpg|width=100%]] || [[파일:external/1.bp.blogspot.com/f0454442_52832dd4d7f07.jpg|width=100%]] || * 윤여정의 모친은 1924년생이며, 2020년 10월 2일에 향년 96세로 별세하였다. * 8살 밑의 여동생인 윤여순은 LG 아트센터의 대표로 재직 중이다. 게다가 LG 최초의 여성 상무였고, 역시 LG 최초의 여성 전무 자리에 올랐다. 본인 역시 문교부장관을 역임했던 국가 원로인 [[민관식]]으로부터 장학금을 받고 대표로 소감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mulim1672&folder=41&list_id=13400785|당시 자료가 민관식 컬렉션에 전시되어 있다.]] * 윤여정의 할머니는 윤여정이 매우 어렸을 시기인 6.25 전쟁 도중에 돌아가셨기 때문에 기억에 남아있지 않지만, 증조할머니는 좀더 오래 사셔서 기억이 난다고 한다. 전쟁 직후 물자가 부족하고 가난하던 시절에 증조할머니는 다른 가족이 이미 사용한 물로 목욕을 했는데, 윤여정은 어린 마음에 증조할머니를 더럽다고 생각하여 싫어했다고 한다. 이 밖에도 증조할머니는 손자들을 더 먹이고 싶어서 본인 끼니는 거를 정도로 희생적이셨다고 한다. 나이가 들면서 자신이 증조할머니에게 얼마나 못되고 어리석게 굴었는지 깨달았으며, 지금도 증조할머니를 생각하면 마음이 아프다고 한다. <미나리>의 순자 연기를 할 때도 증조할머니를 생각하며 했다고 한다. * 영화 [[쎄시봉]]의 여주인공인 민자영 역의 모티브 역할이라는 이야기가 있으며, [[한효주]]와 [[김희애]]가 역할을 맡았다. * 인터뷰에서 자주 언급하는 내용이 있는데, 본인이 메소드 연기를 하는 배우는 아니라고 한다. 다른 배우들은 어떠한 캐릭터를 연기할 때, 자기 자신을 완전히 버린다는 말을 자주 하지만, 윤여정은 언제나 "이 캐릭터가 나였다면?"에서부터 시작한다고. 연기 스타일 또한 조금은 다른데, 예를 들어, 슬프게 오열하는 연기를 보면 대체로 바닥에서 통곡하는 연기가 많은데, 본인은 그런 연기보다 소리내지 못 하고 어깨를 들썩거리면서 울음을 삼키는 연기가 더 아프고 더 슬픈 거 같다며, 언제나 과장되지 않은 다큐 같은 연기를 지향한다고 한다. * [[골초|애연가]]다. 그 윤식당에서조차 윤식당2 비하인드 스토리 방송에서 전자담배가 모자이크된 채로 나왔을 정도. TV 오디오에서 잘 잡히는 특유의 목소리를 만들어내기 위해 흡연을 시작했다고 한다. 금연은 성공하지 못했다고 한다.[* 영화 계춘할망에서도 [[김고은|손녀]]와 같이 담배 피는 장면이 나왔었다.] * [[박근형]]과 드라마 장희빈부터 모래성, [[꼭지]], [[비단향꽃무]], 그대 목소리, 유행가가 되리, [[장수상회]] 등을 비롯하여 대다수의 작품에 같이 출연하였다. 그중 대부분이 연인 혹은 부부관계로 나온다. * [[1박 2일]] 때부터 [[나영석]]의 팬이었다고 한다.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065449|#]] 나영석 예능에 계속 출연하는 이유도 나영석이 좋아서라고... [[http://entertain.naver.com/read?oid=076&aid=0003201169|#]] * [[동남방언]]을 쓰는 배역을 맡을 때, 상당히 스트레스를 받는 모양이다. [[그것만이 내 세상(영화)]]에서 사투리를 배우는데 집중하다 연기를 망쳤다고 하며, 그래서 [[파친코(드라마)]]에선 제작사에서 사투리 코치를 붙여줬으나 "내버려 두라"고 하면서 사투리를 배우지 않았고, 선자가 오랜 이국 생활로 이상한 말투가 됐으리라고 생각하고 연기했다고 한다.[[https://khan.co.kr/culture/culture-general/article/202203181452021|#]] 본인이 늙은 배우이기에 사투리 코치에게 그런 말을 할 수 있었다고 했는데, 과거 “내 마음대로 하는 환경에서 일하면 괴물이 될 수 있어. 그게 매너리즘이지. 그런 환경에서 일하면 내가 발전할 수 없을 거야."[[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1031818403976373|#]]라고 한 적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부분. 그 정도로 동남방언 사용하는 배역을 맡을 때 부담감을 크게 느낀다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사실 [[동남방언]]은 다른 방언과는 달리 억양에 특유의 성조가 있는데, 그 성조가 없으면, 작위적으로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보인다. 동남방언 화자는 타지로 이주하면 억양이 많이 변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런 측면에선 나쁘지 않은 선택이었다.] * [[미나리(영화)|미나리]] 관련 해외 매체 화상 인터뷰 중 “한국의 [[메릴 스트립]]이라 불리던데?”의 기자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그분과 비교된다는 데엔 감사하게 생각합니다만 저는 한국 사람이고 한국 배우다. 제 이름은 윤여정이다. 저는 그저 저 자신이고 싶다.”, “배우들끼리의 비교는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한다. 칭찬에는 감사드리지만, 제 입장에선 답하기 어렵다”''' 라고 답하며 자칫 난감해질 수 있는 질문에도 현명하고 센스 있는 답변을 하여 취재진들의 찬사를 받았다. [[https://www.huffingtonpost.kr/entry/yoon-yeo-jeong_kr_603ec5dec5b617a7e4115539|관련 기사]] * 2021년, 2016년 12월 2일 당시 가졌던 '배우 윤여정 데뷔 50주년 기념 파티' 영상을 아카데미 여우조연상 후보에 노미네이트 된 것을 기념하여 소속사에서 공개했다. [[https://youtu.be/CZonfw5TnPc|영상]] * [[패러독스 인터랙티브 마이너 갤러리]],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에서는 역알못의 상징으로 통한다. [[꽃보다 누나]]에서 [[아야 소피아]]에 방문했을 때, 윤여정은 아야 소피아를 보면서 '이 사람들은 잘 화합을 한 거다, 이슬람이랑 천주교랑'이라는 말을 했는데, 정교회와 천주교를 구별하지 못한 것도 그렇고 오스만 제국의 역사 또한 화합이라고 부르기에는 어폐가 심했기 때문이다. 물론 윤여정은 역사 전공자도 아니니 제대로 모를 수도 있고, 1차적인 잘못은 제대로 조사도 안 하고 엉터리 대본을 써준 꽃보다 누나 제작진에게 있지만, 결국 이 발언은 [[https://www.dogdrip.net/dvs/d/21/04/27/9f46a0ef15ff323198664a9a18a6c8d5.png|디시콘]]으로도 만들어졌다. * [[마이어스-브릭스 유형 지표|MBTI]]는 [[ISTP]]로 추정된다. [[https://youtu.be/csuCT6OtAZw|#]] * 제93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조연상을 수상하자, 다른 나라 미디어들도 윤여정을 조망하는 기사를 앞다투어 내보냈는데, 특히 일본, 대만, 동남아 각국 등 아시아권에서의 관심이 뜨겁다. 이 중 한 대만 매체는 윤여정의 데뷔를 [[임상수]] 감독의 영화에서 했다며 오보를 내기도 했다. [[임상수]], [[홍상수]] 등과 영화를 자주 하긴 했지만, 알다시피 윤여정의 데뷔는 그보다 까마득한 옛날의 김기영 감독의 "화녀"이다. 기사 본문에 임상수 감독이 여러 번 언급되었기 때문에 아마도 기사 쓰는 과정에서 기자가 실수한 것으로 추정이 된다. * 윤스테이 방영 이후, 인터넷에서 윤여정 특유의 말씨가 밈이 되고 있다. 일명 '윤며든다','[[https://www.google.com/search?q=휴먼여정체|휴먼여정체]]' [[http://m.humoruniv.com/board/read.html?table=pdswait&number=8478765|예시]] 윤스테이를 촬영한 나영석 사단의 채널 십오야에서도 써먹었다. [[https://m.yutube.com/watch?v=sZp2KN4mP88|#]] * [[씨네21]]에서 주최한 [[봉준호]] 감독과의 줌 인터뷰([[https://youtu.be/A8IyCyJXSGk|Part 1]], [[https://youtu.be/SFMHOKGata0|Part 2]])에서 봉준호가 연기에 관한 질문을 하자, 자신을 작품에 캐스팅해주면, 봉 감독이 궁금해하는 걸 보여주겠다고 강력하게 어필했다.[[https://youtu.be/SFMHOKGata0?t=443|#]] 하지만 정작 봉준호가 어필에 대한 대답을 끝까지 안 해서 평소 그의 성격을 아는 씨네필들이 "윤여정이 저렇게 얘기해도 대답을 안 하는 걸 보니 역시 봉준호는 봉준호"라며 혀를 내두르기도 했다.[* 봉준호 감독은 농담으로라도 빈말은 절대 하지 않는 칼 같은 성격으로 유명하다.] 한편 "저는 [[기생충(영화)|가족 영화]]를 만들어도 결국 피바다로 가게 되더라"는 봉준호의 말에 [[https://twitter.com/piropiroriyusa/status/1361582004408516608|"봉 감독이랑 임상수 감독이 사회학과를 나와서 그래"]]라고 대답해 보는 사람들을 빵 터트리기도 했다. * [[임상수]] 감독 영화들 중 처녀들의 저녁식사, 눈물을 제외한 모든 영화에 주연, 조연, 단역을 가리지 않고 출연하였다. 특히 [[하녀(2010)|하녀]]에서 선배 하녀 역할을 맡아 인상적인 연기를 펼쳐, 그 해 [[청룡영화상]], [[대종상영화제]], [[부일영화상]], [[춘사영화상]]같은 국내 영화상에서 여우조연상을 휩쓸었고, 아시안 필름 어워드에서도 여우조연상을 수상하였다. * 특이하게도 그의 필모그래프를 차지하는 수많은 배역 중에서 <순자> 라는 이름이 꽤나 많이 등장한다. ([[순자(드라마)]], [[파친코(드라마)]][* 해당 드라마에서의 정식 이름은 '선자'이긴 하다.],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미나리(영화)]]) 특히 2020년과 21년 연달아 영화에서 순자, 그리고 치매걸린 할머니의 역할로 등장했으며, 외국 작품에서도 순자 배역을 받는 등 국내외를 따지지 않을 수준이다. * 허스키한 저음의 목소리가 매우 특징적으로, 한번은 114에 전화했더니 상담원이 "윤여정 씨 아니세요?"라고 했다고 한다. * 2021년 타임지가 선정한 영향력이 있는 100인에 들어갔다. * 예능 <뜻밖의 여정>에서 본인이 배우가 되지 않았다면 무엇이 되었을까 생각을 해보았는데, 패션 디자이너가 되었을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 윤여정과 소속사 후크엔터테인먼트의 결별 소식이 전해진 가운데, 윤여정이 후크를 떠나게 된 진짜 이유가 전해졌다. 압수수색을 당한 이후, 회사에서의 피드백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과, 권진영 대표와 회사 임원진들의 사치스러운 모습에 실망을 했기 때문. * 오스카 여우조연상 수상 이후 "사실 말을 잘 거를 줄 모른다. 그건 장점도 단점도 아니다. 저는 겸연쩍어하는 게 일종에 겸손이라고 배웠다"라고 하며 달라진 점이 없다고 밝혔다.[[https://www.chosun.com/entertainments/movie/2023/10/06/KDDUY6IN72JKXCFEAVBCAFR64U/|#]] == 외부 링크 == 매체 인터뷰 * [[JTBC]], [[https://youtu.be/Yu658JJlRxM|배우 윤여정 "깐깐함·예민함이 날 배우로 만들었다]](2015.3.16.) 탐구 * [[채널 A]], [[https://youtu.be/UajvyJ_mBF4|오스카 벽 뚫은 윤여정…55년 연기인생]] * [[세상의모든지식]], [[https://youtu.be/NIcC9M7sxmg|당신이 몰랐던 영화 미나리 K-할머니로 아주 핫한 배우, 윤여정의 인생]] [[분류:한국 여배우]][[분류:한국의 드라마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영화 배우]][[분류:대한민국의 연극 배우]][[분류:1947년 출생]][[분류:1966년 데뷔]][[분류:개성시 출신 인물]][[분류:실향민]][[분류:대한민국의 무종교인]][[분류:금관문화훈장]][[분류:은관문화훈장]][[분류:파평 윤씨]][[분류:이화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아카데미 여우조연상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