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윤성환)] [include(틀:사건사고)]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前 야구선수 [[윤성환]]의 논란 및 사건 사고를 서술하는 문서. == [[병역비리]] 사건 연루 ==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에 연루되어 불구속 입건되면서 시즌을 불명예 마감했다. 당시 같은 팀 선배 [[지승민]]에게서 브로커를 소개받았으나, 병역기피를 시도하기 전에 해당 사건이 터지면서 처벌은 피했다. == [[2015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원정 도박 의혹]]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2015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 정킷방 업자가 잡히지 않아 참고인 중지 조치가 내려졌다가 2019년 말 [[공소시효]]가 종료되어 [[기소|기소권]]이 소멸되었다. == [[채무]] 불이행 == [[2020년]] [[11월 16일]] 새벽, '[[삼성 라이온즈|삼성]]의 [[30대]] [[프랜차이즈 선수]] A가 거액의 [[도박]]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스포츠서울]] [[장강훈]] 기자의 기사가 모 사이트에 유출되었다. 해당 기사에는 A가 상습 도박으로 100억 원대의 [[빚]]을 져서 [[조직폭력배]]에게 수시로 빚 독촉을 당하고 있으며, 두 달 가량 [[두문불출]] 상태라는 내용도 실려있었다. 또한 [[2015년 삼성 라이온즈 원정 도박 사건|2015년 원정 도박 파문]] 당시 사법처리 보류 판결을 받아낸 경험이 있는 선수라는 것까지 언급됨에 따라, 대다수의 네티즌들은 정황상 선수 A를 윤성환이라고 추측했다. --덕분에 그날 저녁 '''[[안지만]]'''의 방송이 호황을 이뤘다-- 더불어 일부 네티즌들은 윤성환의 최근 마지막 경기인 [[2020년]] [[8월 21일]] 경기가 [[승부조작]] 경기였다는 의심을 하기도 했다.[[http://theindex.rweb.kr/article/view/746|관련 기사]] [[사설 토토]] 사이트의 배팅 취소 조치 등과 1회에만 [[몸에 맞는 공]] 2개를 내주는 극도의 제구 난조를 보인 상황 등이 정황으로 간주되어 야구 커뮤니티가 한동안 떠들썩했다. 그러나 이는 윤성환의 도박 의혹을 제기한 스포츠서울의 기사에서도 언급되지 않은 사건이며, 경찰에서도 다루지 않은 사건이다. 16일 오전, 윤성환은 [[연합뉴스]]와의 전화 인터뷰에서 '나는 잠적한 적이 없으며 도박 문제는 더더욱 사실이 아니다. 채무가 있는 것은 맞지만 조직폭력배와 연루되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결백을 밝히기 위해 경찰 수사를 받겠다'며 자신에 대한 의혹을 정면으로 반박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01/0012016407|기사]] 이어 '9월에 구단 관계자가 2021시즌 재계약 불가 의사를 전달한 것에 대해 서운함을 느꼈다. 삼성에서 좋게 마무리하기 위해 대표이사와의 면담을 요청했지만 구단에선 묵묵부답이었다. 시즌 막판에 구단에서 다시 연락이 왔으나, 그땐 통화를 하고 싶지 않아 그 연락을 피했다. 하지만 다른 관계자와는 연락이 되는 상태였다.'며 잠적설에 대해서도 적극 부인했다. 그러나 삼성은 '윤성환을 [[KBO FA제도|자유계약선수]]로 '''[[방출]]'''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홍준학]] 단장은 윤성환에게 은퇴 경기를 제안했으나, 윤성환이 이를 거부하고 기회를 더 줄 것을 원했기에 방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76/0003659052|기사]] 다만 윤성환의 의혹에 대한 정확한 사실여부는 구단도 잘 모른다고 한다. 윤성환은 자유계약선수 신분이기에 다른 팀으로 이적해 선수 생활을 연장할 수도 있겠으나, [[40대]]에 접어드는 나이와 점점 하락하고 있는 기량을 감안하면 이대로 [[은퇴]]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윤성환이 방출되었더라도 도박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다면 출장 정지 또는 제명 등의 징계를 받을 수도 있다는 반응을 보였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03/0010187092|기사]] 이후 [[서울신문]]에서 서울·대구·경북지방경찰청에 각각 문의한 결과 ''' '모르는 내용이다. 수사하고 있지 않다.' '''는 답변이 돌아왔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081/0003140089|기사]] 최초 기사를 올린 스포츠서울은 현재 의혹 관련 기사는 메인에서 모두 내려가고, 대신 논란이 불거지자 꼬리자르기식으로 윤성환을 즉각 방출시킨 삼성을 비판하는 기사가 올라왔다. [[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68/0000715813|기사]] 16일 오후, 윤성환이 채무 문제로 피소되었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지인에게 약 3억 원을 빌리고 갚지 않아 지난 9월에 [[사기죄|사기]] 혐의로 고소를 당했다는 것이다. 경찰은 도박과는 전혀 상관이 없다고 밝혔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0188448|기사]] 그러니까 스포츠서울이 처음 올린 기사는, 윤성환이 지인과의 3억 채무 문제로 피소되었다는 사실을 조폭이 연루된 100억 도박 빚으로 부풀린 '''[[가짜 뉴스]]'''였던 셈이다.[* 다만 하술하겠으나 조폭이 연루된 100억대의 빚 자체는 사실이다. 그게 저 당시 피소 사유가 아니었단게 문제였는데, 경찰측에서는 아예 짐작도 못했던 혐의로 보도가 나가니 반박하는건 당연했다.] 윤성환은 [[변호사]]를 통해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108/0002910157|기사]] 윤성환은 [[TV CHOSUN|TV조선]]과의 인터뷰에서 결백을 강력히 주장함과 동시에, '[[사업]]을 하다 사기를 맞아 채무 문제가 생긴 것'이라고 해명했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448/0000311369|기사]] 17일 윤성환은 문제의 기사를 쓴 스포츠서울 '''장강훈'''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아는 [[후배]]에게 사기를 당해 [[피해자]]가 생겼다. 담당 [[형사]]도 내가 피해자라는 것에 공감하셨는지 따로 준비하라고 말씀하신 [[증거]] 자료도 준비했다. 피해액은 변제할 수 있다.'며 사기 혐의로 피소된 사건도 순조롭게 해결될 수 있는 문제임을 자신했다. 그러면서 '명예롭게 은퇴하지는 못하지만 오해를 남기고 떠나고 싶지는 않다. 앞으로도 의혹이 있으면 내게 꼭 확인해달라. 나뿐만 아니라 다른 선수도 마찬가지다. [[소문]]만 듣고 쓰는 기사 한 줄이 한 사람의 인생을 좌우할 수 있다는 점을 꼭 인지해달라'고 당부하는 말도 덧붙였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68/0000716124?sid=001|기사]] 17일 삼성 구단 관계자는 [[엠스플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권오준]]과의 합동 은퇴식 및 은퇴 경기를 계획하고 있었으나, 윤성환 본인과 연락이 잘 되지 않아 무산되었다. 11월 말에 보류선수명단에서 제외하면서 자연스럽게 발표하고자 했는데, 도박 의혹이 터지면서 빠르게 방출하게 되었다. 윤성환을 불러 도박 의혹에 대해 직접 질의해 보았지만, 선수 본인이 극구 부인하고 명확한 증거나 정황이 없어 KBO에 조사를 의뢰하기도 어려웠다. 어쨌거나 윤성환은 우리 팀 프랜차이즈 선수인데, 마지막에 좋은 이별을 하지 못하게 되어 안타깝다.'며 이번 사건에 대한 입장을 내놓았다.[[https://n.news.naver.com/sports/kbaseball/article/529/0000049453|기사]] 이렇게 잘못된 보도로 억울하게 방출당한 선수로 남는가 했으나... == [[승부조작]] 및 불법도박 사건 == 2021년 6월 2일, 경찰이 윤성환을 체포해 구속 영장을 신청했다.[[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5&aid=0000898223|#]] 처음에는 거액의 불법 도박으로 알려졌으나, '''몇 시간도 지나지 않아 [[승부조작]] 혐의로 검거되었다고 알려지며 야구판이 뒤집어졌다.''' 담당 경찰서에 따르면 6월 1일 윤성환을 검거한 뒤 오후부터 피의자 신분으로 조사를 마쳤고, 2일 오전에 구속 영장을 신청했다고 한다. [[SBS]]의 보도에'''''''' 의하면 윤성환은 2020시즌 [[브로커]]와 사전 모의하여 일부 경기에서 고의로 [[볼넷]]을 내주는 등의 방식으로 승부조작을 행했으며, 조작을 행하고 받은 뒷돈으로 불법 도박을 즐긴 것으로 알려졌다. 윤성환 구속이 알려진 다음날 지난해 말 그의 채무불이행을 단독 보도한 스포츠서울에서 [[삼성 라이온즈/2020년/8월#8월 21일|2020년 8월 21일 인천 SK전]]이 조작 의심 경기 목록에 올라간 바 있다는 보도를 하였다. 해당 경기 당시 구심 [[추평호]] 심판과 [[김용희]] 경기감독관도 찝찝함을 느껴 클린센터에 제보를 했다는 것이다.[[http://naver.me/GBfm1FpP|#]] 하지만 경찰 측은 돈을 받은 시점이 9월이었다며 이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성에 대해 부정하는 발언을 하였다. 그런데 해당 경기는 다수의 사설 토토에서 조작경기 의심으로 경기시작 전 적특[* 배팅 무효를 이르는 말.] 처리되었다. 이미 토사장들은 이상배팅 등을 통해 경기조작이 있을 수 있음을 사전에 포착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 검거 될 당시 모텔에서 전 삼성 선수랑 같이 검거되었다고 한다.[[http://www.sportsseoul.com/news/read/1045287?ref=naver|#]] 팬들은 "집도 날린 거냐?"라며 어이 없어했다. 같이 체포된 전 삼성 선수[* 사람들은 [[안지만]]을 의심했으나, 안지만이 재빨리 개인방송을 켜서 자신은 아니라고 해명했다.]의 이름이 알려지거나 혐의가 인정될 경우 [[2016년 프로야구 승부조작 사건]]처럼 떠들썩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 [youtube(G3D5116XJKQ)] || [youtube(MyKtBeZ3iMA)] || 이후 6월 3일 영장실질심사에 경찰에 연행된 채 수갑을 차고 출석하면서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도 하지 않으며 법정으로 들어섰고, 30여 분 만에 피의자 심문을 마쳤다고 한다. 곧바로 법원에서 윤성환에게 증거인멸 및 도주우려가 있다며 구속영장을 발부하면서 결국 구치소에 수감되었다.[[https://www.yna.co.kr/view/AKR20210603150600053|#]] 6월 4일 경찰 조사에서 윤성환이 승부조작의 대가로 돈을 먼저 받은 사실은 인정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실제 경기에서 승부조작을 행한 것에 대해서는 부인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8&aid=0002960907|#]] 6월 25일 [[대구지방검찰청]] 강력범죄수사부는 윤성환을 구속기소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01&aid=0012484597|#]] 이 와중에 승부조작을 하라고 받은 돈 5억 원을 그대로 불법 도박에 사용했다. 7월 13일에 열린 첫 공판에서 공소사실을 모두 인정했다.[[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003&aid=0010604376|승부조작 혐의 윤성환 삼성 전 투수, 첫 재판서 공소사실 인정]] 8월 19일 검찰은 윤성환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선고는 9월 14일에 [[대구지방법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9월 14일 1심 판결에서 징역 1년과 추징금 2억350만원을 선고했다. 승부조작 대가로 돈을 받은 건 인정했으나 실행은 안했음을 고려한 듯. [[https://casenote.kr/%EB%8C%80%EA%B5%AC%EC%A7%80%EB%B0%A9%EB%B2%95%EC%9B%90/2021%EA%B3%A0%EB%8B%A82713|대구지방법원 2021. 9. 14. 선고 2021고단2713 판결]] 현재 형량에 억울했는지, 윤성환은 항소를 한 상황 11월 17일, 항소심 첫 공판을 통해 '''승부조작을 위해 금품을 받은 것이 아니다. 명예를 되찾기 위해 항소했다'''며 억울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항소심 선고 공판은 12월 17일 오전 10시 [[대구지방법원]]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oid=003&aid=0010837111|#]] 12월 24일, 항소심에서 징역 1년에서 10월로 감형되었다. [[https://sports.news.naver.com/news?oid=477&aid=0000334797|#]], [[https://casenote.kr/%EB%8C%80%EA%B5%AC%EC%A7%80%EB%B0%A9%EB%B2%95%EC%9B%90/2021%EB%85%B83426|대구지방법원 2021. 12. 24. 선고 2021노3426 판결]] 2022년 3월 31일, 상고심에서 징역 10월이 확정되었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03/0011095051|#]], [[https://www.scourt.go.kr/portal/news/NewsViewAction.work;jsessionid=Jha6LyXXqHuF1DOtiiouxRM1MSzzjDnfGXttP853UwNPp4E276ONFiPjs9lZdF2J.BJEUWS05_servlet_SCWWW?pageIndex=1&searchWord=&searchOption=&gubun=6&seqnum=2148|대법원 선고 2022도755 국민체육진흥법위반 사건에 관한 보도자료]], [[https://casenote.kr/%EB%8C%80%EB%B2%95%EC%9B%90/2022%EB%8F%84755|대법원 2022. 3. 31. 선고 2022도755 판결]] 2021년 6월 3일 구속이라 구속 수감 기간은 징역형에 합산되므로 출소가 4월 3일인데 실질적으로 교도소에 있는 시간은 길어야 3박 4일이다.징역형에 비해 구속기간이 너무 길었던 것이 문제.아마 인수인계 등 서류문제로 인해 구치소에서 형을 끝냈을 것이다. 현재는 출소하여 부산 자택에서 칩거 중이라 한다. 수감 중 몸무게가 20kg 가량 줄었다고. 하지만 2022년 5월 지인에게 승부조작을 해 주겠다며 4억 5천만원을 받아 범죄수익은닉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다. 검찰은 징역 6개월을 구형했다.[[https://news.v.daum.net/v/20220517180112842|기사]], [[https://blog.naver.com/sonsooho/222872005817?isInf=true|#]] 이후 조사에 따르면, 9월 27일 경기에, 자신이 은퇴경기로 등판할 것임을 알려주며 1회에 볼넷, 4회 이전에 실점을 하겠고 무제한 불법토토사이트에 베팅하게 해줄테니 5억을 달라한 것이 밝혀지자 자신의 은퇴경기에도 이러고 싶었냐며 엄청난 실망감을 보이고 있다.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blogId=sonsooho&logNo=222872005817&proxyReferer=https:%2F%2Flink.naver.com%2Fbridge%3Furl%3Dhttps%253A%252F%252Fblog.naver.com%252Fsonsooho%252F222872005817%26dst%3Dnaversearchapp%253A%252F%252Finappbrowser%253Furl%253Dhttps%25253A%25252F%25252Fblog.naver.com%25252Fsonsooho%25252F222872005817%2526version%253D10%2526sourceReferer%253Dshare|재판 관련 내용]] == 세금 체납 == 윤성환의 사건들은 주로 '돈'이라는 키워드로 엮여 있는데, 여기 추가되는 이슈도 마찬가지다. 윤성환은 2021년 12월 16일 국세청 고지에 의하면[[https://sports.v.daum.net/v/20211217040506239|종합 소득세 중 6억 1,900여만 원을 이상을 1년 이상 체납했다]]. 2022년 12월 15일 국세청이 발표한 [[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109&aid=0004758350|고액 상습 체납자 명단에 여전히 올랐고]] 여전히 전년도에 체납 고지된 금액이 그대로 남아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그는 6억 7천만원에 도달한 체납금으로 '''[[집행관|압류 집행]]'''이 되었다.) [각주]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윤성환, version=971, paragraph=3)] [[분류:윤성환]][[분류:대한민국의 야구인 사건 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