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근영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역대 1차 지명선수)] ---- ||
'''윤근영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30번}}}''' || || [[김백만]][br](2001~2003) || {{{+1 →}}} || '''{{{#fff 윤근영[br](2005~2006)}}}''' || {{{+1 →}}} || [[윤기호]][br](2008~2011)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1번}}}''' || || [[지연규]][br](2006) || {{{+1 →}}} || '''{{{#fff 윤근영[br](2007)}}}''' || {{{+1 →}}} || [[박정진]][br](2008~2009) || || [[박정진]][br](2008~2009) || {{{+1 →}}} || '''{{{#fff 윤근영[br](2010)}}}''' || {{{+1 →}}} || [[김경언]][br](2011~2017)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7번}}}''' || || [[김경태(1991)|김경태]][br](2010) || {{{+1 →}}} || '''{{{#fff 윤근영[br](2011)}}}''' || {{{+1 →}}} || [[김경태(1991)|김경태]][br](2012~2013) || ||<-5> '''{{{#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47번}}}''' || || [[김재현(1979)|김재현]][br](2011) || {{{+1 →}}} || '''{{{#fff 윤근영[br](2012~2014)}}}''' || {{{+1 →}}} || [[권혁]][br](2015~2018)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17번}}}''' || || [[심재민]][br](2014) || {{{+1 →}}} || '''{{{#fff 윤근영[br](2015 ~ 2017)}}}''' || {{{+1 →}}} || 김성윤[br](2018)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15번}}}''' || || [[윤석민(타자)|윤석민]][br](2017.7.7~2017) || {{{+1 →}}} || '''{{{#fff 윤근영[br](2018~2019)}}}''' || {{{+1 →}}} || [[이상동]][br](2020~2021) || }}} || }}} || ||<-2>
[[파일:external/img.sbs.co.kr/30000372148.jpg|width=100%]] || ||<-2> [[한화 이글스]] 시절. || ||<-2> [[파일:/image/241/2015/04/08/2015040820350959100_99_20150408203705.jpg|width=100%]] || ||<-2> [[kt wiz]] 시절. || ||<-2> '''{{{+2 윤근영}}}[br]尹根永 | Geun-yeong Yoon''' || || '''출생''' ||[[1986년]] [[5월 7일]] ([age(1986-05-07)]세)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대전유천초 - [[한밭중학교|한밭중]] -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좌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s-2|2005년 1차 지명]]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05~2014) [br][[kt wiz]] (2015~2019)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한화 이글스]], [[kt wiz]] 소속의 좌완 투수. 고향팀 [[한화 이글스]]에서 10년간 뛰다가 신생 팀 kt의 20인 보호선수 외 지명으로 kt로 이적하게 되었다. == 선수 경력 == === 아마추어 시절 === [[대전고등학교 야구부|대전고]] 출신으로 [[한국프로야구/2005년/신인드래프트|2005년 신인드래프트]]에서 [[한화 이글스]]에 1차 지명을 받았지만, 당시 '''최고 구속은 시속 140km/h도 넘기지 못했다'''. 전국구 유망주는 전혀 아니었고, 연고지에서 도무지 찍을 만한 선수가 없어서 그나마 나은 선수를 뽑은 거였다. 한화의 팜인 [[천안 북일고등학교 야구부|북일고]]에서도 딱히 뽑을 선수가 없었던 시절[* 좌완투수 [[홍성용]], 우완 사이드암 투수 김회권이 있었지만 당시엔 큰 두각을 나타내지는 못했다. 원래 이들과 동갑내기인 [[유원상]]은 1년 유급하여 2학년이었다. 홍성용과 김회권은 고3때 드래프트에서 [[LG 트윈스]]에 지명을 받았지만 모두 방출당했다. 그나마 홍성용은 부활(?)에 성공해 [[kt wiz]]의 투수조장이 되었다.]이었다. --그렇긴 해도 1차지명에서 충청권 출신인 [[청주기계공업고등학교 야구부|청주기공고]] [[이범석(야구선수)|이범석]]이나 [[공주고등학교 야구부|공주고]]-[[한양대]] [[박정배]]를 뽑았다면...-- === [[한화 이글스]] 시절 === ==== 데뷔 후 ~ 2010 시즌까지 ==== 프로에서도 대단히 평범하다 못해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데뷔 첫 해인 2005년 4홀드 1패 1세이브를 기록했고, 2006년에는 아예 1군 출전 기록이 없다. 그리고 2007년에 다시 잠시 나와 2패 2홀드 1세이브가 전부. 2008년과 2009년은 공익근무요원 복무로 공백을 가진 후 2010년에 팀에 복귀했다. 하지만 성적은 별반 나아진 게 없었다. 2010 시즌 복귀하자마자 부실한 한화 불펜진에 투입되었으나 살이 좀 빠져 있었던데다가 복귀한 지 얼마 안 되어서 구속이 영 시원치 않았고. 1군과 2군을 오르락 내리락했다. 이 해 방어율은 '''7점대'''. 여담으로 프로에 와서 폭풍 성장한 케이스라 볼 수 있다. 아마시절 137km/h 언저리에서 놀던 구속이 2006년, [[최일언]] 투수코치의 집중 조련을 받고 '''10km/h 상승하여 147km/h까지 찍는 좌완 파이어볼러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이로 인해 팔꿈치 인대가 심각하게 손상된 상황이었는데.. 2007년, 당시 감독인 [[김인식|궁민감독]]은 이러한 윤근영을 '''불펜에서 굴렸다.''' 결국 윤근영의 팔꿈치 인대는 '''기어이 끊어져서''' 수술하게 된 것. 그래서 공익으로 복무했다. 임팩트는 별로 없었지만, 결과적으론 김인식 시절의 희생양 중 한 명이다. 그나마 다행인 건 [[안영명]]이나 [[양훈]], [[황재규]]가 겪었던 지옥같은 혹사는 당하지 않았고, 재활을 잘 했는지 2010 시즌 중반 들어서 파이어볼러의 위용을 보여주었다. ==== 2011 시즌 ==== 2011 시즌 [[박정진]]과 [[마일영]]이 주축이 되는 1군 불펜진, 기대주로 주목받던 [[양승진(야구선수)|양승진]]으로 인해 기회가 없어지는가 했더니 2군에서 맹활약(그리고 양승진은 대삽질)하며 좋은 모습을 보여 주었고 드디어.. 6월 8일 생애 첫 선발 기회를 잡았고, 3이닝 투구 4피안타 3삼진 2실점 2자책점을 내고 내려갔다. 경기 초반 팬들은 첫 선발 답지 않은 제구와 날카로운 편이였던 변화구를 보며 "제 2의 [[김혁민]]"이라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물론 [[송진우(야구)|송진우(좌완투수)]] 코치의 공을 높이 샀다. 그러나 3회들어 장타를 허용하다 결국 2실점.. 안타로인한 실점은 그렇다쳐도 2스트라이크 까지 잡아놓고 와일드 피치로 허용한점수는 역시 아쉬움이 남는다. 와일드피치 후 삼진은 더더욱 가슴이 아팠다. 하지만 일단 첫 선발 무대인 점과 단점과 멘탈을 보완한다면 왼팔쓰는 혁민동무의 탄생을 볼 수 있을 것 같기에 희망적이다. 게다가 한화에서 굉장히 귀한 유망주인 '''20대 중반의 군필 유망주'''이다. 첫 선발 등판 치고는 좋은 모습을 보여 기대를 남기고 마운드를 내려갔다. 당장의 2011년 보다는 [[양훈]]의 군 복무 이탈을 대비해 이후 시즌을 준비하고 있는 투수라고 볼 수 있다. ==== 2012 시즌 ==== [[파일:attachment/yungeunyoung.jpg]] 2012년 8월 22일. 경기 중 급격하게 늙어 버린 윤근영의 모습.[* 이 날 윤근영은 5⅓이닝 3실점으로 승리 투수 조건을 채우고 마운드에서 내려왔으나 이어 올라온 [[정대훈]]의 불질로 승리가 날아가고 말았다. 여담이지만 윤근영은 이 때까지 프로 무대에서 '''승을 거둔 적이 없었다'''.] 2012 시즌에는 1군 붙박이로 다니면서 경험을 쌓고 있는 중. 그런데 제구가 들쭉날쭉하다보니 1이닝 막는데 불펜투수 주제에 '''40개 넘게 던지기'''도 하고 볼넷을 주면서 장작 쌓아놓고 쳐맞는다던가해서 코치진과 팬들의 번뇌를 깊게 하고 있다... 2012년 8월 29일 [[넥센 히어로즈]]와의 경기에서 선발투수 [[데니 바티스타]]가 4실점 후 강판, 뒤이어 구원등판했는데 타선의 활약으로 팀이 역전승을 거두며 '''프로 데뷔 첫 승'''을 거두었다. 2005년에 입단했으니 어느덧 '''프로 8년차'''. 시즌 막판에는 계속해서 선발로 나섰다. 시즌 종료 후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로 진출하는 [[류현진]]의 공백을 대비하려는듯. 10월 2일, 그의 선발 마지막 경기에서 [[SK 와이번스]]를 만나 5 2/3이닝 5피안타 1사사구 1실점 1자책으로 호투했다. 비록 불펜의 방화로 승을 날려먹었지만 시즌 막판에 선발로 나쁘지 않은 모습을 보이면서 내년에 선발 한자리를 차지할 수 있을 듯 하다. ==== [[윤근영/2013년|2013 시즌]] ==== [[윤근영/2013년]] 문서로. ==== [[윤근영/2014년|2014 시즌]] ==== 시즌을 마치고 20인 보호선수 명단에서 제외되며 kt로 이적하게 되었다. 한화 팬들은 대체로 가서 잘 하라는 반응이지만, 팀 내 좌완 불펜이 시망 상태인 한화 불펜의 사정을 생각하면 아쉬움도 있는 상황. ~~하지만 한화 팬들이 '''[[권혁|FA로 영입한 삼성의 47번]]'''에 열광하면서 잊혀졌다...~~ 2014시즌에 관한 내용은 [[윤근영/2014년]] 문서로. === [[kt wiz]] 시절 === ==== 2015 시즌 ==== 4월에 무릎 부상으로 계속 재활을 했었다. 6월이 되어 복귀를 하였고 6월 13일까지 기록상 무실점이지만 볼넷 등이 높아서 WHIP은 좋지 않은 편. 불펜으로 시즌을 시작했지만 선발투수들이 고전하면서 전반기 끝날 무렵부터 선발로 보직을 변경했고, 8월 16일 마산 NC전에서 5이닝 2실점으로 시즌 첫 승이자 '''데뷔 첫 선발승'''을 거두었다. 8월 22일 수원 두산전에서 1회에 갑작스럽게 어깨 통증을 느끼며 공 7개만 던진 채로 마운드를 내려갔다. ~~그리고 근황 아는사람?~~ ==== 2016 ~ 2017 시즌 ==== 2016 시즌엔 사실상 개점휴업. 3경기 4이닝만 기록하고 시즌을 마쳤다. 이후 2017년 8월 20일 드디어 1군에 올라왔다. --싸이버투수 납시오-- ~~그래도 살아있기는 했구나~~ 9월 13일 넥센전 0대 8로 뒤진 8회말 올라와 가비지 이닝 1이닝을 처리했다. 패전처리조로 시즌을 마칠 듯. ==== 2018 시즌 ==== [[심재민]]이 갑작스런 부상으로 빠진 이후 임시 셋업맨 역할을 해주고 있다. 7월 11일 두산전에서 3:0으로 지고 있는 9회 초에 나와 1이닝 3실점을 기록하며 두산에게 쐐기점을 헌납했다. ~~니느님 등판인데 빠따도 그렇고 좀 잘하지~~ 이후 2018년 7월 18일 [[한화 이글스]]전에서는 8회에 등판하여 세 타자를 상대하고 0.2이닝 무실점을 기록하고 [[이종혁(야구선수)|이종혁]]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팀은 [[멜 로하스 주니어|로하스]]의 연장 12회 끝내기 홈런으로 4-2로 승리. [[7월 24일]] [[넥센 히어로즈|넥센전]]에서 7회말 [[선발 투수]] [[더스틴 니퍼트|니퍼트]]에 이어 [[등판]]하자마자 [[김하성]]을 [[볼넷]]으로 출루시키고 [[박병호]]에게 [[홈런|투런 홈런]]을 허용하여 점수차가 좁혀지기 시작했다. 그 후 [[고종욱]]과 [[장영석]]을 [[삼진(야구)|삼진]]으로 잡아내면서 무난히 이닝을 마무리하는 듯 하였으나, [[김규민(야구)|김규민]]에게 [[볼넷]]을 내주고 [[김혜성(야구선수)|김혜성]]에게 [[안타]]를 허용하여 주자 1·3루의 위기가 닥쳐왔다. 그 상황에서 [[이종혁(야구선수)|이종혁]]과 교체되어 [[마운드]]를 내려왔고, [[이종혁(야구선수)|이종혁]]은 단 1구만에 [[홈런]]을 맞아 팀이 역전당하고 만다. [[이종혁(야구선수)|이종혁]]이 [[등판]]했을때 주자들이 결국 윤근영이 올려보낸 타자들임을 고려하면, 사실상 ⅔이닝동안 4실점을 낸 셈이다. 그래도 [[넥센 히어로즈]]도 다음 이닝에 [[김태훈(1992)|김동준]]이 제대로 불을 지르면서 팀이 역전승을 거둔 것이 다행. [[7월 27일]] [[LG 트윈스|LG전]]에서 6회초 [[선발 투수]] [[김민(야구선수)|김민]]에 이어 [[등판]]하자마자 [[이천웅]], [[아도니스 가르시아|가르시아]], [[김현수(1988)|김현수]]에게 3연속 [[안타]]를 맞아 1실점하였다. 이후 [[박용택]]과 김현수를 [[병살]]로 잡아내는 중 [[아도니스 가르시아|가르시아]]가 홈인하여 1실점하였고, [[채은성]]을 [[삼진(야구)|삼진]]으로 잡아내면서 1이닝 2실점으로 [[마운드]]를 내려왔다. ==== 2019 시즌 ==== 1군에 모습을 보이지 못했고 시즌 후 김용주, 배우열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 여담 == * 신인 시절 '국민 여동생'이었던 [[문근영]]과 유사한 이름 때문에 '국민 남동생'이라는 별명이 마이너하게 쓰였다. 물론 당시 대부분의 대한민국 국민은 윤근영의 존재 자체를 모르고 있었겠지만... * 2017년 기준 KBO 역사상 단 8명인 [[10할 타자]]이기도 하다. [[임경완]]의 공을 중전 안타로 만들어내 KBO 통산 1타수 1안타를 기록중인데, 임경완이 2014 시즌 후 한화에 합류해 한솥밥을 먹는가 했으나 2015 시즌 중 한화를 떠나게 되며 얄궂은 인연을 경험하게 되었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기록}}}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05 ||<|10> [[한화 이글스|한화]] || 51 || 40 || 0 || 1 || 1 || 4 || 0.000 || 5.40 || 41 || 3 || 29 || 19 || 28 || 24 || 1.650 || || 2006 ||<-15> 1군 기록 없음 || || 2007 || 18 || 7 || 0 || 2 || 1 || 2 || 0.000 || 9.00 || 10 || 0 || 8 || 2 || 9 || 7 || 2.571 || || 2008 ||<|2><-15> 군복무(공익근무요원) || || 2009 || || 2010 || 25 || 16⅓ || 0 || 0 || 0 || 0 || 0.000 || 7.16 || 22 || 1 || 13 || 8 || 13 || 13 || 2.143 || || 2011 || 23 || 25⅔ || 0 || 0 || 0 || 1 || 0.000 || 3.86 || 26 || 1 || 17 || 25 || 11 || 11 || 1.636 || || 2012 || 18 || 38⅔ || 2 || 2 || 0 || 2 || 0.500 || 3.72 || 33 || 2 || 21 || 25 || 20 || 16 || 1.345 || || [[윤근영/2013년|2013]] || 49 || 72 || 2 || 5 || 0 || 5 || 0.286 || 6.25 || 84 || 6 || 50 || 45 || 50 || 50 || 1.792 || || [[윤근영/2014년|2014]] || 36 || 49 || 2 || 3 || 0 || 5 || 0.400 || 7.16 || 71 || 6 || 30 || 28 || 41 || 39 || 1.918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수}}} || {{{#ffffff 이닝}}} || {{{#ffffff 승}}} || {{{#ffffff 패}}} || {{{#ffffff 세}}} || {{{#ffffff 홀}}} || {{{#ffffff 승률}}} || {{{#ffffff ERA}}} || {{{#ffffff 피안타}}} || {{{#ffffff 피홈런}}} || {{{#ffffff 4사구}}} || {{{#ffffff 탈삼진}}} || {{{#ffffff 실점}}} || {{{#ffffff 자책점}}} || {{{#ffffff WHIP}}} || || 2015 ||<|4> [[kt wiz|kt]] || 17 || 32 || 1 || 4 || 0 || 2 || 0.200 || 5.63 || 35 || 3 || 21 || 21 || 23 || 20 || 1.75 || || 2016 || 3 || 4 || 0 || 0 || 0 || 0 || 0.000 || 6.75 || 6 || 0 || 5 || 1 || 6 || 3 || 2.75 || || 2017 || 12 || 18 || 0 || 0 || 0 || 1 || 0.000 || 3.50 || 23 || 4 || 5 || 11 || 9 || 7 || 1.56 || || 2018 || 17 || 16⅔ || 1 || 0 || 0 || 0 || 1.000 || 9.72 || 26 || 3 || 10 || 17 || 19 || 18 || 2.16 || ||<-2> '''[[KBO 리그|KBO]] 통산''' [br] (11시즌) || 269 || 319⅓ || 8 || 17 || 2 || 22 || 0.320 || 5.86 || 377 || 29 || 214 || 202 || 229 || 208 || 1.78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전광역시 출신 인물]][[분류:1986년 출생]][[분류:2005년 데뷔]][[분류:2018년 은퇴]][[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좌타]][[분류:kt wiz/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