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윤광빈}}}'''[br]'''尹廣彬'''}}}}}} || || '''본관''' ||[[파평 윤씨]] || ||<|2> '''출생''' ||[[1917년]] [[1월 30일]] || ||[[평안남도]] [[중화군]] 해압면 죽산리 210번지[br](現 [[평양시]] [[강남군]] 이산리) || ||<|2> '''사망''' ||[[1970년]] [[3월 17일]] (향년 54세) ||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명동2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가톨릭대학교 명동성모병원]]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언론인]], [[기업인]]. 1963년 [[한국광복군]] 정보원으로 독립운동에 참여한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서훈되었다. == 생애 == 1917년 1월 30일 [[평안남도]] [[중화군]] 해압면 죽산리 210번지(現 [[평양시]] [[강남군]] 이산리)에서 태어났다. [[평양]] 숭인상업학교 재학 중이던 1934년 10월 [[경성제국대학]]학우회 탁구부 주최 제7회 전조선학생탁구대회에 개인전 선수로 참여해 제6회전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4101900239102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4-10-19&officeId=00023&pageNo=2&printNo=4809&publishType=00010|탈락했고]], 그해 11월 3일 관서체육회 주최 제3회 전조선남녀탁구대회에서 준결승전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4110500209204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4-11-05&officeId=00020&pageNo=4&printNo=4999&publishType=00020|탈락했다]]. 1935년 2월 조선탁구협회에서 발표한 1934년 중등남자부 탁구 랭킹 15위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5020400209202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5-02-04&officeId=00020&pageNo=2&printNo=5090&publishType=00020|올랐고]], 그해 3월 숭인상업학교 탁구부 주장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503020023910302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5-03-02&officeId=00023&pageNo=3&printNo=4943&publishType=00010|되었다]]. 이후 숭인상업학교를 졸업하고 1936년 4월 일본탁구협회 주최 제5회 전일본도시대항탁구대회에 서조선(평양부) 대표 선수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6042500239202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6-04-25&officeId=00023&pageNo=2&printNo=5362&publishType=00020|선발되었고]], 그해 8월 조선탁구협회 주최 제3회 전조선탁구선수권대회 남자부에 출전했다가 준준결승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6081800239102001&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6-08-18&officeId=00023&pageNo=2&printNo=5477&publishType=00010|탈락했다]]. 이듬해인 1937년 [[메이지대학]]에 입학했다. 그해 4월 11일 [[YMCA|조선중앙기독교청년회]] 주최 제10회 전조선탁구선수권대회 연식부에 출전해 결승전에서 패배,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704110023910201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7-04-11&officeId=00023&pageNo=2&printNo=5712&publishType=00010|준우승을 차지했고]], 경식부에서는 준준결승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7041200239202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7-04-12&officeId=00023&pageNo=2&printNo=5713&publishType=00020|탈락했다]]. 1938년에는 8월 조선탁구협회 주최 제5회 전조선탁구선수권대회 남자부에 출전해 준준결승에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8081600239202009&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8-08-16&officeId=00023&pageNo=2&printNo=6203&publishType=00020|탈락했다]]. 메이지대학 졸업 후 귀국해 1939년 5월 조선탁구협회 주최 제8회 전일본도시대항탁구대회 조선최종예선회에 평양부 대표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9051400239202022&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39-05-14&officeId=00023&pageNo=2&printNo=6471&publishType=00020|출전했고]], 8월 17일 평양체육협회 주최 제1회 국제식서조선탁구대회에서 단식부와 복식부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39083000239202011&editNo=0&printCount=1&publishDate=1939-08-30&officeId=00023&pageNo=2&printNo=6579&publishType=00020|출전해]] 단식부에서는 준우승, 복식부에서는 제4회전에서 탈락했다. 1940년 5월 21일 제9회 전국도시대항탁구대회 조선예선대회에 평양부 대표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005030023920202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0-05-03&officeId=00023&pageNo=2&printNo=6823&publishType=00020|출전했다]]. 1940년대 [[중국]]으로 건너갔다가 1944년 11월 [[왕징웨이 정권]] 치하 [[칭다오시|청도시]](靑島市)에서 갓 한광반을 수료하고 청도시에 파견되어 있던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3784|윤영무]](尹永茂)를 만났고, 현지에서 포섭되어 그로부터 지하공작원 증서를 받고 [[한국광복군]] 현지거점 공작원으로 [[상하이시]] 등지에서 활동했다. 광복군 [[김문택]] 수기나 [[장경순(1922)|장경순]] 전 국회부의장의 회고록에 따르면 일제 점령 하의 상하이에서 초모 활동의 어려움이 컸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8.15 광복]] 후 동생인 임시정부 경위대장 [[윤경빈]]과 함께 상하이에서 백범 [[김구]]를 수행하였다. 해방 후에는 연합통신·[[연합뉴스|동양통신]] [[상무이사]]를 역임하였고, 1953년에는 태양신문(太陽新聞) 부사장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53082200209201023&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53-08-22&officeId=00020&pageNo=1&printNo=9312&publishType=00020|역임하는 등]] 언론인으로 활동하였다. 1963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독립운동 공적을 인정받아 대통령표창에 서훈되었고, 대한잠사협회 이사장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110700239101010&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3-11-07&officeId=00023&pageNo=1&printNo=13083&publishType=00010|역임했다]]. 1965년 7월 15일 한중문화협회 제2차이사회의(재건총회)에서 부회장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5072000209205012&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5-07-20&officeId=00020&pageNo=5&printNo=13459&publishType=00020|선출되었고]][* 당시 회장으로 [[조시원]]이 선출되었다.], 1966년 1월 10일 대한실업탁구연맹 정기대의원총회에서 부회장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6011200329208008&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6-01-12&officeId=00032&pageNo=8&printNo=6227&publishType=00020|임명되었으나]], 2월 12일 대한탁구협회 임시대의원총회에서 부회장직을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6021400329208019&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66-02-14&officeId=00032&pageNo=8&printNo=6255&publishType=00020|사임했다]]. 1968년 2월 대한실업탁구연맹 회장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8020600239108008&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68-02-06&officeId=00023&pageNo=8&printNo=14399&publishType=00010|선출되었고]], 이후 [[농어촌개발공사]] 고문을 역임했다. 1970년 3월 17일 오전 6시 30분 [[서울특별시]] [[중구(서울)|중구]] [[명동2가]]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가톨릭대학교 명동성모병원]]에서 [[뇌일혈]]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0031800239107015&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70-03-18&officeId=00023&pageNo=7&printNo=15053&publishType=00010|별세했다]]. == 가족관계 == 임시정부 경위대장을 역임한 독립운동가이자 제14대 광복회장인 [[윤경빈]]의 형이다. 사후 가족들은 [[미국]]으로 이민 간 것으로 보이며, 딸인 윤행자씨는 광복회 북가주(미국 북서부)지회장을 맡고 있다. [[분류:한국광복군/군인]]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파평 윤씨]][[분류:중화군 출신 인물]][[분류:실향민]] [[분류:메이지대학 출신]] [[분류:1917년 출생]] [[분류:1970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