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광복회장)] ||<-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윤경빈}}}[br]尹慶彬'''}}}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윤경빈.jpg|width=100%]]}}} || || '''본관''' ||[[파평 윤씨]] || ||<|2> '''출생''' ||[[1919년]] [[1월 14일]] || ||[[평안남도]] [[중화군]] 해압면 죽산리 210번지[br](現 [[평양시]] [[강남군]] 이산리) || ||<|2> '''사망''' ||[[2018년]] [[3월 8일]][*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Report&mngNo=8486|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3월 7일 별세한 것으로 오기되어 있다.] (향년 99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6묘역-15호 || || '''형제자매''' ||형 [[윤광빈]] || || '''배우자''' ||석송희, 권은혜 || || '''자녀''' ||장남 윤흥렬, 차남 윤강렬, 딸 윤혜라 || || '''친척''' ||사위 [[김홍일(1948)|김홍일]], 사돈 '''[[김대중]]''' || || '''학력''' ||[[평양제2중학교]] {{{-2 (졸업)}}}[br][[메이지대학]] {{{-2 ([[법학]] / [[학사]])}}} || || '''종교''' ||[[천주교]]([[세례명]]: [[요셉]]) || || '''상훈''' ||대통령표창 수훈[br]건국포장 수훈[br]건국훈장 애국장 수훈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제14대 [[광복회]] 회장을 역임했다. 1990년 [[한국광복군]]에서 활동한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 == 생애 == 1919년 1월 14일 [[평안남도]] [[중화군]] 해압면 죽산리 210번지(現 [[평양시]] [[강남군]] 이산리)에서 태어났다. [[평양제2중학교]] 재학 중이던 1940년 1월 20일 조선학생 빙상연맹주최 전문, 중등빙상대회에 500m 선수로 출전해 50초를 기록, 3위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0012100209102017&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40-01-21&officeId=00020&pageNo=2&printNo=6617&publishType=00010|올랐으며]], 1월 28일 [[오사카]] [[아사히신문]] 평양지국 주최 제6회 서조선남녀중등교 빙상경기대회에 500m 및 5000m, 2000m [[계주]] 선수로 출전해 500m 51초 1, 5000m 10분 22초 5, 2000m 계주 3분 36을 기록해, 세 부문에서 모두 1위에 올라 평양제2중학교가 본 대회에서 16점을 획득해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40013000239202017&editNo=1&printCount=1&publishDate=1940-01-30&officeId=00023&pageNo=2&printNo=6730&publishType=00020|우승하는 데에 큰 공헌을 했다]]. [[일본]] [[메이지대학]] [[법학부]] 졸업 후 [[학병]]으로 일본군에 강제 징집되어 복무하던 중 탈출하여 [[한국광복군]] 제3지대에 입대하였다. 1944년 5월 [[장준하]], [[김우전]], [[김국주]], [[전이호]], [[차약도]] 등과 함께 [[안휘성]] 제3행정독사구(督査區) 임천현(臨泉縣)[* 現 [[중화인민공화국]] [[안후이성]] [[푸양시(안후이성)|푸양시]](阜陽市) 린취안현(臨泉縣).]에 주둔한 [[황포군관학교|국민당 중앙육군군고나학교]] 제10분교 간부훈련반 산하 한광반에 1기생으로 입학해 군사교육훈련을 받고 졸업한 뒤 한국광복군 [[장교]]로 임관했다. 이어 1945년 1월 말 50여 명의 한광반 졸업생들과 함께 [[충칭시]]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찾았고, 그 뒤 부위(副尉)로서 임시정부 판공실 부관, 경위대장 등으로 근무하였다. 광복 후 [[김우전]], [[선우진]]과 함께 [[김구]]의 비서로 근무하였고, [[백범 김구 암살 사건]] 이후 기업인으로 활동하였다. 1960,70년대 흥화공작소(현 HHI)[* 1940년에 설립한 건설회사로 1950,60년대 국내 철골구조물 건설을 독점하다시피 한 기업이다.] 부사장으로 근무하며 [[경부고속도로]] 건설 등에 참여하였다. 1963년 정국수습대책협의회에 발기인 중 한 명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63032700329201008&editNo=5&printCount=1&publishDate=1963-03-27&officeId=00032&pageNo=1&printNo=5358&publishType=00020|참여해]] 군정연장 반대 및 과도정부의 즉각수립을 주장했다. 그해 열린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동대문구 을]] 선거구에 [[한국독립당(1963년)|한국독립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민주당(1963년)|민주당]] [[유성권]]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이후 백범김구기념사업회 이사 등 독립유공자 관련 단체 간부를 역임하였고, 1999년 1월 16일 [[광복회]] 전국대의원 임시총회에서 제14대 [[광복회]]장에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99011800329106009&editNo=40&printCount=1&publishDate=1999-01-18&officeId=00032&pageNo=6&printNo=16647&publishType=00010|선출되었다]]. 광복회장 선출 당시 [[이사철]] 의원이 [[김대중]] 대통령의 사돈이 광복회장을 맡으려 한다고 하여 논란이 되기도 했다. 2000년 4월 흥화공작소 사장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하였다.[* 광복회장 직함이 아닌 1970년대 부사장으로 재직한 회사 사장 직함으로 당시 개최된 남북음악회 관람 및 [[평양]]관광을 목적으로 [[방북]]했다.] 2001년 광복회 회장 사임 후 [[독립기념관]] 이사장을 역임하였다. 2018년 3월 8일 [[서울특별시]]에서 [[숙환]]으로 [[https://mobile.newsis.com/view_amp.html?ar_id=NISX20180308_0000246728|별세했다]]. 그의 유해는 2018년 3월 10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6묘역에 안장되었다. == 가족관계 == [[김대중]] 전 대통령과 사돈지간이다. 2남 1녀를 두었는데 딸인 윤혜라씨가 김대중 전 대통령의 맏아들 [[김홍일(1948)|김홍일]] 전 의원의 아내이다. 장남인 윤흥렬(尹興烈, 1941. 3. 25 ~ )씨는 [[김홍업]] 전 의원의 친구이며 둘이 동생 윤혜라씨와 김홍일 전 의원의 중매를 섰다고 한다. 윤흥렬씨는 LG애드, 동방기획 등에서 [[카피라이터]]로 활동하다가 김홍업 전 의원과 광고회사를 설립하였고, [[제15대 대통령 선거]]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홍보를 전담해 당선에 기여하였다.[* DJ와 함께라는 [[https://www.youtube.com/watch?v=penM1I9ztZ4|희대의 명광고]]를 제작하였다.] 이후 [[서울신문]] 전무, 부사장, [[스포츠서울]] 사장을 역임하였으며, [[국민의 정부]] 당시 실세로 꼽히기도 하였다. 딸 윤혜라씨와 김홍일 전 의원의 결혼을 승낙하면서 흥화공업 부사장직을 사임하였다. 당시 대구 출신이자 [[박정희]] 정권을 따르던 회사 사장을 배려하고, 회사에 폐를 끼치지 않기 위해서였다. 형 [[윤광빈]]도 광복군 정보원으로 상하이에서 활동했으며, 해방 후 연합통신, 동양통신 [[상무이사]], 잠사회 이사를 역임했다. == 참고자료 == * [[https://e-gonghun.mpva.go.kr/user/ContribuReportDetail.do?goTocode=20001&pageTitle=Merit&mngNo=8486|독립유공자 공훈록]] * 독립운동사 제6권 308쪽, 420쪽.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국민의 정부/인사]][[분류:실향민]][[분류:중화군 출신 인물]][[분류:파평 윤씨]][[분류:1919년 출생]][[분류:2018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메이지대학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