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유튜브 웹예능[br]{{{+2 육각형 게임}}} (2023)[br]''Hexagon Gam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육각형게임.jpg|width=100%]]}}} || || 장르 ||[[예능]], [[서바이벌]], [[게임쇼]] || || 시청 등급 ||해당 없음 || || 촬영 기간 ||[[2023년]] 9월 18일 || || 방영 정보 ||[[2023년]] [[11월 11일]] ~ [[2023년]] [[11월 25일]] || || 회차 정보 ||8부작 || || 상영 시간 ||?분 || || 기획/제작 ||[[긱블]] || || CP/진행 ||[[긱블#갈퀴|갈퀴]] || || 연출 ||[[긱블#모루|모루]] || || 편집 ||[[긱블#카프|카프]] || || 출연 ||[[과학쿠키]], [[김하얀새]], [[남도형]], [[니키(마술사)|니키]], [[말왕]], [[박민정(1995)|박민정]], [[반병현]], [[코코보라#보라|보라]], [[발명킹밥테일|밥테일]], [[성치현]], [[악어(인터넷 방송인)|악어]], [[유리사]], [[이과형]], [[이시현(유튜버)|이시현]], [[임경민]], [[장지수(인터넷 방송인)|장지수]], [[정재호]], [[주연 ZUYONI|주연]] || || 스트리밍 ||[[유튜브]] || || 외부 링크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_12Raz22R-n3YPSf8EUIQD4QFnIxqPl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재생목록 | [[https://m.dcinside.com/board/hexagongame|[[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0]]]]마이너 갤러리 || [목차] [clearfix] == 개요 == [[긱블]]에서 제작한 유튜브 웹예능. 긱블의 콘텐츠 '문과 vs 이과' 시리즈의 확장판으로, 수학, 과학, 예술, 체육, 논리, 통찰력 6가지 능력을 필요로 하는 6가지 게임을 통해 최종 우승자 1인이 '육각형 인재'라는 명예와 최종 상금 1,000만원을 거머쥐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 기획의도 == || 우리는 다양한 능력을 고루 갖춘 사람을 흔히 '육각형 인재'라고 합니다. 한 가지만 잘해도 성공하는 요즘 비상한 두뇌, 뛰어난 신체 그리고 상황을 이끌 센스와 리더십. 이 모든 것을 고루 갖춘 육각형 인재는 정말 존재하는 걸까요? 그래서 우리는 이 모든 요소가 융합된 육각형 인재를 찾기 위한 게임을 시작합니다. 육각형 게임은 6가지의 거대한 문제상황이 주어지며, 18인 중 단 1명만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생존한 단 한 명은 육각형 인재라는 명예와 함께 1,000만 원의 상금이 주어집니다. 과학자, 크리에이터, 마술사, 성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인 18인은 6가지의 거대한 문제상황을 어떤 방법으로, 어떤 수단으로 헤쳐 나가게 될까요? 여러분이 생각하는 가장 완벽한 인간은 누구인가요? || == 공개 전 정보 == *2023년 8월 29일: 하노이의 탑 영상 후반부에 '''최초 공지'''되었다. [[https://youtu.be/KUZP7U07qq0&t=533|#]] 영상 공개 이전 섭외가 완료되어 총 19명의 참가자가 진행하는 두뇌/예체능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9월 13일: [[이과형]]의 유튜브 생방송으로 출연이 확인되었다. [[https://www.google.com/url?sa=t&source=web&rct=j&opi=89978449&url=https://m.youtube.com/watch%3Fv%3DBVZEOyFAIfk&ved=2ahUKEwiH2IzonZSCAxXOslYBHaqLD4sQwqsBegQIIhAF&usg=AOvVaw21xxu7TIxGpEG3-Mg4ek2Y|#다시보기(멤버쉽 전용)]] *9월 14일: [[반병현]]의 숏폼 영상으로 출연이 확인되었다. [[https://youtube.com/shorts/6GTXFevf3to?feature=share|#]] *9월 15일: [[악어(인터넷 방송인)|악어]]의 트위치 생방송에서 출연이 확인되었다. [[https://youtu.be/iNe0EVSYaqc|#9월 16일 업로드]] 또한 뉴스와이어 기사로 출연진 18명이 공개되었다. [[https://www.newswire.co.kr/newsRead.php?no=974429|#]] *9월 22일: [[발명킹밥테일|밥테일]]의 출연이 확인되었다. [[https://youtu.be/c5RGtpaQiFA|#]] *9월 일자 불명: [[남도형]]의 [[남도형의 블루클럽]] 커뮤니티 게시글을 통해 출연이 확인되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wGS2W6UD4dJJU4IK2wyxvw/community?lb=UgkxxrF35lFWkf4CpoVtAytzlbcxA6G9miFr|#]] [[https://www.google.com/url?sa=t&source=web&rct=j&opi=89978449&url=https://m.youtube.com/watch%3Fv%3DSBOeQGV4Uzc&ved=2ahUKEwiW5aq655-CAxXI0GEKHUdbDm4QwqsBegQIAxAG&usg=AOvVaw1lwn7V6KtocQ4lDZf_Fqu8|다시보기(멤버쉽 전용)]] *10월 21일: '''티저 예고편'''과 방영 일정이 공개되었다. [[https://youtu.be/juMJuSTpU44|#]] 최초 공개 당시엔 욕설[* 'X됐다. 진짜 X됐다 이거는' 자막으로 원문 확인 가능.]이 그대로 나왔으나, 미성년자 시청자 층을 배려하지 않았다는 항의 댓글이 달리자 곧바로 묵음 처리되었다.[* 이외에도 썸네일이 변경되거나, 제목에서 총 제작비 2억 언급도 삭제되었다. 최초 공개 당시 반병현의 리뷰로 확인이 가능하다. [[https://youtu.be/fI8i1YLd9hg|#]]] *10월 28일: '''1화 미리보기'''가 공개되었다.[* 최초 공개에서는 성치현이 썸네일을 차지하였고 제목은 '서바이벌 천재도 당황하는 게임이 난무하는 새 예능'이었으나, 썸네일은 육각형 체스로, 제목은 '양쪽의 견제를 방어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은? 어디에도 없던 육각형 체스게임'으로 바뀌었다.] [[https://youtu.be/Ot3V2Z17EGo|#]] *10월 29일: [[김하얀새]]가 유튜브 영상으로 출연을 밝혔다. [[https://youtu.be/b-zXsyUyAZo|#]] *10월 24일~11월 1일: 유튜브 커뮤니티를 통해 '''참가자 정보'''가 공개되었다. 매일 오후 6시에 2명씩 참가자 이름, 유튜브 채널, 육각형 그래프, 직업 및 한 줄 소개가 공지된다.[* 일부 참가자의 얼굴 사진에서 입꼬리가 뒤틀려져 있어 부자연스럽다. 제작진의 보정 실력이 떨어져서인지 단순히 찡그리는 표정을 사용했는지는 불명이다.] *10월 24일: 장지수, 과학쿠키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5-pL8qY3ZioyZZ_TAm5UShYSt6ex2HlT|#]] *10월 25일: 유리사, 성치현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xm7WqFpZa_532uhRxV61AZXjnqLYYqJU|#]] *10월 26일: 이시현, 말왕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lQ8GkXs6rgVcRxu0EjEaa5zQ3QvwVQns|#]] *10월 27일: 남도형, 보라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CSPiS7Cmr7ZImLcycVQQJdBh1vs6Jp9|#]] *10월 28일: 박민정, 정재호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GY-qAhjAYllC5fg2AI941RQksHhakr8X|#]] *10월 29일: 니키, 김하얀새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QpIp8gOI1_FcwbrdkxRMArAzbva-dTbQ|#]] *10월 30일: 주연, 반병현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XSyFcDYqq6z_aGlciJUQnP3MqZMVECVt|#]] *10월 31일: 이과형, 악어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SXmHTdom8h6pmEtrhMwOuGkDH_hvT0Z0|#]] *11월 1일: 밥테일, 임경민 [[https://www.youtube.com/channel/UCp94pzrtA5wPyZazbDq0CXA/community?lb=UgkxucnAi4t6hqj077OF-Zn7MF5OltA9xBuM|#]] *11월 2일: '''참가자 소개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https://youtu.be/N5_o_Vnh5Bk|#]] 또한 썸네일 디자인과 제목이 변경 및 통합되었다. == [[/참가자|참가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각형 게임/참가자)] == 에피소드 목록 == ##총 상영 시간에서는 예고편과 리뷰를 제외한 본편 에피소드만 반영한다. ##제목은 가장 최근 갱신된 내용을 기준으로 한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회차 || 공개 일자 || 제목 || 분량 || 링크 || || 예고 || 23.08.29 ||최초 공지 || - || [[https://youtu.be/KUZP7U07qq0&t=533|[[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예고 || 23.10.21. ||머리가 좋으면 몸이 고생 안 한다 | 티저 예고편 || 1:37 || [[https://youtu.be/juMJuSTpU44|[[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예고 || 23.10.28 ||베네핏 라운드 '육각형 체스' 룰 소개 | 1화 미리보기 예고편 || 5:01 || [[https://youtu.be/Ot3V2Z17EG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예고 || 23.11.02. ||미친놈 + 천재 | 참가자 소개 예고편 || 2:16 || [[https://youtu.be/N5_o_Vnh5Bk|[[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0화 || 23.11.09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1화 || 23.11.11.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2화 || 23.11.14.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3화 || 23.11.16.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4화 || 23.11.18.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5화 || 23.11.21.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6화 || 23.11.23.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7화 || 23.11.25. || || ||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참가자 리뷰 === == 게임 규칙 == *육각형 게임에서 18명의 참가자들이 총 6라운드 게임을 통해 최종 우승자 1명을 가린다. *1,2,3라운드는 6:6:6 3파전 팀 미션으로 진행되며, 3라운드 종료 시점에서 최하위 팀 전원이 탈락한다. *4라운드는 팀 데스매치로 진행해 패배한 팀 전원이 탈락하고, 5라운드는 개인전으로 4명이 탈락하고, 6라운드는 1:1 결승전으로 진행된다. * 최종 우승자 1인에게는 '육각형 인재'라는 타이틀을 얻고 상금 1,000만원이 제공된다. *라운드 별 게임에 대한 상세 규칙은 [[/진행 결과|진행 결과]] 문서에서 확인. == [[/진행 결과|진행 결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육각형 게임/진행 결과)] [include(틀:스포일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라운드 || 베네핏R || 1R || 2R || 3R || 4R || 5R || 6R || || 게임 || {{{-1 육각형 체스}}} || || [[육각형 게임/참가자#과학쿠키|과학쿠키]] || || [[육각형 게임/참가자#김하얀새|김하얀새]] || || [[육각형 게임/참가자#남도형|남도형]] || || [[육각형 게임/참가자#니키|니키]] || || [[육각형 게임/참가자#말왕|말왕]] || || [[육각형 게임/참가자#박민정|박민정]] || || [[육각형 게임/참가자#반병현|반병현]] || || [[육각형 게임/참가자#보라|보라]] || || [[육각형 게임/참가자#밥테일|밥테일]] || || [[육각형 게임/참가자#성치현|성치현]] || || [[육각형 게임/참가자#악어|악어]] || || [[육각형 게임/참가자#유리사|유리사]] || || [[육각형 게임/참가자#이과형|이과형]] || || [[육각형 게임/참가자#이시현|이시현]] || || [[육각형 게임/참가자#임경민|임경민]] || || [[육각형 게임/참가자#장지수|장지수]] || || [[육각형 게임/참가자#정재호|정재호]] || || [[육각형 게임/참가자#주연|주연]] || }}} == 평가 및 반응 == === 홍보 관련 === 당시 긱블 채널 영상 조회수는 실험 카테고리를 제외하면 조회수 5만을 넘기는 게 고작이었는데, 티저 예고편도 공개 일주일 뒤 5만대를 기록해 별반 다르지 않았다. [[파트너 게임|참가자 대다수가 유튜버임에도 정작 출연 공지를 올린 인물은 손에 꼽힐 정도로 홍보가 매우 저조했다.]][* 그나마 유일하게 반병현이 열심히 숏츠와 예고편 리뷰를 올리고 있으나 방영 이전부터 [[하꼬|유튜브 채널 규모가 크지 않아서]] 별달리 관심을 못 받고 있다.] 또한 참가자 정보를 커뮤니티에셔 시간차로 공개하면서, 정작 18명의 참가자 전원이 기재된 인터뷰 뉴스는 더 일찍이 공개한 탓에 호기심을 자극하지도 못했다. 설상가상으로 홍보 영상에서는 유명 인플루언서가 출연한다는 점을 보여주는데만 치중하고 있지 컨텐츠가 재미있을거라는 기대를 부풀리지를 못 하고 있다. 즉, 설레발은 엄청 치는 것 같은데 공개된 예고편이 재미가 없다. 긱블의 주 시청자층이 긱블 채널에 갖고 있는 평균적인 기대치의 방향성이 있을 것인데,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어그로에 집중하는 썸네일과 제목을 연달아 채택한 것이 흥행부진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예시로 변경 전 1화 미리보기 썸네일은 성치현과 그의 출연작이 빨간 글씨로 기재되어 있었는데, 다양한 능력치를 추구한다는 기획의도와는 하등 상관없는, 양산형 영화 내용 요약 채널에서나 쓸 법한 싼티나는 연출이었다.] 이후 참가자 소개 예고편 공개 시점에서, 상기한 비판을 반영해 제목에서 과장된 문구가 빠지고 썸네일 디자인도 참가자들의 모습으로 변경되었다. 2020년 이후로 공개된, 유튜버가 제작하거나 참가자들 중 유튜버들의 비중이 컸던 서바이벌 예능[* [[공범 시리즈]], [[머니게임(웹예능)|머니게임]], [[파트너 게임]], [[버튼게임]], [[보물찾기(예능)|보물찾기]], [[우마게임]].]은 화제성과 별개로 게임 구성이나 완성도 측면에서 한결같이 혹평을 받은 탓에 플랫폼, 제작진 측면에서 기대를 받지 못했다. 또한 두뇌 게임 서바이벌 프로그램 팬덤에서는 [[더 타임 호텔]], [[피의 게임2]], [[데블스 플랜]]으로 한껏 눈이 높아졌으며 [[대학전쟁]][* 출연진 전원이 '대한민국 명문대 상위 1% 재학생'이라는 두뇌 게임 서바이벌 역대 최고의 경력 평균치에다가, 공교롭게도 두 프로그램 모두 팀전으로 진행된다는 점 때문에 화제성 면에서 확실하게 밀렸다.]과 방영 기간이 곂치면서 관련 커뮤니티에서 크게 언급되지 않았다. 기존의 긱블 채널 시청자들은 '(문과 vs 이과 콘텐츠로) 여러 차례 [[게임 이론]]을 다뤘으니 이번에도 기대할 만 하다'는 긍정적인 의견 '기존의 긱블 멤버들이 아닌 외부 유튜버들이 출연하는데, 기대할 만한 능력이 검증된 인물도 없어서 기대가 되지 않는다'[* 다른 서바이벌 웹예능/방송 출연 경험자들은 ([[악어(인터넷 방송인)|단 하나 예외]]를 제외하고) 단 한번도 의미있는 결과를 내지 못하거나 광탈했다(...).]는 회의적인 의견으로 갈리고 있다. === 게임 구성 관련 === == 여담 == * 티저 예고편의 변경 전 영상 제목에 따르면 총 제작비는 2억원이라고 한다. * 공개된 정보가 얼마 안가 수정되는 일이 많아 시청자들에게 혼란을 자주 주었다. * 최초 공지에서는 참가자가 19명이라고 언급했으나, 본편에서는 참가자가 18명으로 밝혀졌다. * 최초 공지에서 공개된 정보는 실제 전체 규칙과는 전혀 다른 내용이었다. * 뉴스와이어 기사에서는 [[임현서]]가 출연한다고 했으나, 본편에서는 [[김하얀새]]가 출연했다. * 티저 예고편, 1화 미리보기의 제목과 썸네일이 수정되었다. [[:파일:육각형게임 제목어그로1.jpg|#]] * 2023년 11월 11일 첫 공개로 공지했으나, 정작 티저 예고편, 1화 미리보기 마지막엔 23. 11. 09.로 기재되었다. 이후 11월 9일 0화가 공개되어 의문이 해소되었다. * 다양한 능력치를 활용하는 게임이 등장함, 최종 우승자가 우수한 능력자라는 걸 증명한다는 기획의도, 다양한 직업군의 출연자를 섭외함, 육각형을 중심으로 한 디자인, 육각형 그래프[* [[더 지니어스:블랙가넷]]의 참가 플레이어 자체 평가.]가 [[더 지니어스]]를 연상시킨다는 반응도 있다. * 이전까지 대다수의 서바이벌 웹예능은 제작사를 미리 구해서 최초 공개에서 출연자를 모집하였는데, 육각형 게임에서는 출연자를 섭외한 이후 최초 공지에서 제작 지원을 찾는다는 정 반대의 방식을 선택했다. 기획의도를 보면 참가자를 굳이 공개적으로 모집할 이유가 없기도 하고, 이전에 [[공범(웹예능)|참가자 공개 모집을 해놓고 정작 대다수를 친분이 있는 인물로 구성해 비판받은 사례]]도 있어서 이렇게 공지를 한 것으로 추정된다. [각주][[분류:육각형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