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후한 말의 황족, rd1=유희(제음왕), other2=후한 말의 유학자, rd2=유희(후한 유학자), other3=후한 말의 태위, rd3=유희(후한), other4=서진의 인물, rd4=유희(서진))] 劉熙 236년 이전~?[* 정확한 생년은 알 수 없지만 동생인 [[유홍(서진)|유홍]]이 [[사마염]]과 동년배라는 것으로 볼 때 사마염의 생년으로 추정하면 적어도 236년 이전부터 태어난 것으로 추측되어진다.]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후한]] 말,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위(삼국시대)|조위]]의 인물이자 [[유복(삼국지)|유복]]의 손자로 [[유정(삼국지)|유정]]의 아들, [[유홍(서진)|유홍]]의 형. [[예주]] [[패현|패국]] 상현 사람. == [[정사 삼국지|정사]] == 254년 부친 유정이 사망하자 그 [[작위]]를 계승했다. == [[삼국지연의|연의]] == [[적벽대전]]이 일어나기 전날 밤에 [[조조]]가 시를 읊다가 유복이 시어 중에 불길한 구절이 있다고 말했다가 ~~빡친~~ 조조가 내지른 창에 찔려죽으면서 [[끔살]]당하는(...) [[삼국지연의/피해자|바람에 졸지에 부친상을 치르게 되었는데, 이 때 유복의 아들이 아버지의 시신을 수습해 장례를 치를 수 있도록 해달라고 청했다.]] 그런데 '''[[삼국지연의]]의 오류로 인해 연의에서는 [[유복(삼국지)|유복]]의 아들이 [[유정(삼국지)|유정]]이 아닌 유희로 나오면서 손자가 아들이 되었다'''(...). 정소문 삼국지에서는 이 장면에 대해 유희가 유복의 아들이 아니라 손자라고 지적하면서, 이런 오류를 대할 때마다 작자는 왜 이런 것까지 왜곡했는지 의심스러워진다고 했다. 그리고 유정의 이력에 대해 언급하면서 그의 대를 이은 아들이 유희라고 했다. [[분류:후한의 인물]][[분류:조위의 인물]][[분류:몰년 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