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강서군 출신 인물]][[분류:1910년 출생]][[분류:1947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국장]] ||<-2> {{{#!wiki style="margin: -6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1 유평파}}}[br]劉平波'''}}}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800px-동립운동가_유평파(劉平波)_선생.jpg|width=100%]]}}} || ||<|2> '''출생''' ||[[1910년]] [[10월 5일]] || ||[[평안남도]] [[강서군]] || ||<|2> '''사망''' ||[[1947년]] [[5월 9일]] || ||[[중국]] [[상하이시]] || || '''본관''' ||[[유(성씨)|강릉(江陵) 유씨]] || || '''이명''' ||유병무(劉炳武) || || '''호''' ||백선(白仙)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추서||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한국]]의 [[독립유공자|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 받았다 == 생애 == 1910년 평안남도 강서(江西)군 출신으로 1936년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활동하던 형 [[유진동]]의 권유로 중국에 망명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였다. 1938년 10월 부인 [[송정헌]]과 함께 류저우(柳州)에서 [[광복군]]의 전신이라 할 한국광복진선청년공작대(韓國光復陣線靑年工作隊)에 입대하여 정보수집 및 초모(招募) 공작활동을 하다가 [[김구]] 주석에게 발탁되어 [[한국독립당]]원이 됐다. 이후 중국 중앙육군군관학교에 입학하여 과정을 마치고 1941년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특수경찰기구로서 경위대를 조직하는데 공헌하였다. 194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 경위대 대부로 임명되어 [[김구]] 주석의 경호에 전념하는 한편 각종 공작과 요인간의 비밀연락 업무를 맡았다. [[8.15 광복]] 후, 고국에 온 유평파는 다시 [[김구]]의 특별지시를 받고 중국에 재입국한 뒤 1947년 5월 9일 상하이에서 38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자녀로는 장남인 유수송(한국 거주. 예화원 대표) 등 3남 1녀가 있다. 장손인 유승남는 (사)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이사 역임, 3·1운동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회 민족대표, 경교장 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을 맡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고자 1990년 3월 1일을 기하여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