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동아시아와 북아시아의 민족)] [include(틀:러시아의 민족)] * [[유카기르어]]: деткиль, одул, ваду, алаи * [[러시아어]]: Юкагиры[* 민족명의 기원은 확실하진 않지만, 일반적으로 [[아이스맨|‘얼음 사람’ 또는 ‘꽁꽁 언 사람’]]이라는 의미하는 [[어웡키어]] ‘튜케 기르(Дюкэ гир)’에서 온것으로 추측한다.] [목차] == 개요 == || [[파일:Yukaghir_map_XVII-XX.png|width=90%]] || || 유카기르인의 분포. || [[시베리아]] 동북부에 거주하는 고시베리아계 민족으로 각 부족명에 따라 스스로를 오둘(одул)[* [[타이가]] 지역에 사는 유카기르 그룹이 자칭할 때 쓰인다. 유카기르어로 의미는 "힘센" 또는 "강함"을 의미한다.], 데트킬(деткиль), 바둘(вадул), 알라이(алаи)라고 일컫는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유카기르로 알려져 있다. [[2021년]] 러시아 인구 조사 결과에서 1,802명 정도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대부분은 [[사하 공화국]]의 해안 지대와 [[마가단]] 주 접경 지대에 나뉘어져 거주한다. == 역사 == 유카기르인은 [[기원전 2천년기 이전|기원전 2200-1300년]] [[타이미르 반도]]에서 [[러시아 극동]] 지방의 [[축치 반도]]에 걸쳐 형성된 [[https://en.m.wikipedia.org/wiki/Ymyyakhtakh_culture|Ymyyakhtakh 문화권]]의 직계 후손으로 추정되며 [[시베리아]] 북극권 지역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민족 중 하나이다. [[17세기]] 전반기에 [[러시아인]]이 처음으로 [[야쿠티야]]에 도달했을 때까지만 해도 유카기르인은 동서로는 아나디르 강 유역에서 [[레나 강]] 하류까지, 남북으로는 야나 강, 인디기르카 강, 콜리마 강 상류에서 북빙양 연안에 이르는 드넓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었다. 당시 인구도 약 5,000명에 달했고 13개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Vadul-Alais, Odul, Chuvan, Anaoul, Lavren, Olyuben, Omok, Penjin, Khodynts, Khoromoy, Shoromboy, Yandin, Yandyr] 13개 부족 가운데 오목(Омок) 부족이 가장 강성했으며, 그에 따라 유카기르인을 과거 오목족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러나 그 후 유카기르인의 분포 영역과 인구가 대폭 줄어들었다. [[러시아 제국]]이 과도하게 공물인 야삭을 부과하고 [[카자크]]에서 [[징병제|수송병으로 복무하는 의무]]를 부과하자 여러 유카기르 부족들이 살던 곳을 떠나 이동하다가 타민족에 흡수되었다. 또한 [[에벤족|에벤인]], [[사하인]], [[축치인]], [[코랴크인]]이 유카기르인의 영역에 유입되면서 타민족들과의 지속적인 전쟁과 내부 분열로 인해 커다란 인명 손실까지 겪었다. 특히 17세기 러시아인이 도래하면서 퍼져나간 [[천연두]] 등 전염병으로 많은 사람이 사망하여 세력이 크게 감소한 탓에 유카기르는 러시아군의 보조병 집단으로 전락하는 신세가 되고 말았으며, 특히 18세기 중반 러시아군이 [[https://ru.m.wikipedia.org/wiki/%D0%9F%D1%80%D0%B8%D1%81%D0%BE%D0%B5%D0%B4%D0%B8%D0%BD%D0%B5%D0%BD%D0%B8%D0%B5_%D0%A7%D1%83%D0%BA%D0%BE%D1%82%D0%BA%D0%B8_%D0%BA_%D0%A0%D0%BE%D1%81%D1%81%D0%B8%D0%B8|러시아-축치 전쟁]]에서 패배한 이후 유카기르는 축치인들의 표적이 되어 괴멸적인 피해를 입고 말았다. 게다가 [[소련]]의 집단화도 유카기르인 인구 상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어 20세기 중반에는 인구가 600명이 채 안될 정도까지 줄어들었고, 유카기르 전통문화와 언어는 거의 절멸상태에 빠지게 되었으나 현재는 전통문화 부흥의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 언어 및 문자 == || [[파일:1280px-Yukaghir_map.svg.png|width=80%]] || || [[17세기]] 유카기르어족 및 유카기르 부족들의 분포도 || 유카기르어족에 속한 유카기르어를 썼으며 원래는 4개 방언이 있었으나 지금은 2개만 남아있다.[* 툰드라 북부 방언/콜리마 남부 방언. [[사어]]가 된 나머지 2개의 언어는 추반어와 오모크어이다.] 또한 나머지 2개의 방언은 어휘에서 차이가 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 ||의미 ||툰드라 북부 방언 ||콜리마 남부 방언 || ||하나 ||irkēj ||mōrqōñ || ||둘 ||ataqlōj ||kijōñ || ||많은 ||niŋel ||pojōl || ||모든 ||t’umu ||jawnə || ||날 ||pod’erqə ||t’ajləŋ || ||태양 ||jelōd’ə ||jerpəjəŋ || ||물 ||ōd’ī ||lawjəŋ || ||물고기 ||anil ||al’həŋ || ||순록 ||at’ə ||il’eŋ || ||개 ||pubel ||laməŋ || ||사람 ||šoromə ||ködeŋ || ||사람들 ||omnī ||t’īŋ || ||눈(目) ||aŋd’ə ||jȫd’īŋ || ||이빨 ||todī ||sal’hərīŋ || ||밤(夜) ||emil||t’iŋit’əl || ||발 ||nojl ||t’ohul || ||이름 ||ñū ||kirijəŋ || ||앉다 ||modo- ||sahañeto || ||죽이다 ||kuledə- ||puñīto || ||죽다 ||amdə- ||jabəto || ||알다 ||leidī- ||kurilīto || ||마시다 ||ožə- ||law- || 현재 유카기르어가 가능한 유카기르인은 [[2009년]] 기준으로 120-130명에 불과하며[* 툰드라 방언은 60~70명, 콜리마 방언은 60명 정도.], 보통 [[사하어]]나 [[러시아어]]가 더 많이 쓰인다. 일부 학자들 사이에서 유카기르어는 서시베리아 및 유럽 지역에 위치해있는 [[우랄어족]]과 관계가 있다고 추정하고 있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이를 바탕으로 [[https://en.m.wikipedia.org/wiki/Uralic%E2%80%93Yukaghir_languages|우랄유카기르어족]] 가설을 주장하지만, 대다수에게 그리 지지받진 않는다.] 다음의 어휘적 대응 목록은 [[https://en.m.wikipedia.org/wiki/Uralic%E2%80%93Yukaghir_languages#CITEREFNikolaeva2006|니콜라예바(2006)]]에서 따왔다. ||의미 ||고(古)유카기르어 ||고(古)우랄어족 || ||얇은, 폭이 좁은, 예리한 ||*čupo- ||*ćuppa || ||엄마 ||*eme ||*emä || ||빨다 ||*iw- ||*ime- || ||남자, 청년 ||*köj ||*koje || ||먹다 ||*leɣ ||*sewe-/*seɣe- || ||말(言) ||*mon- ||*monV- || ||이름 ||*ńu: ||*nime || ||훔치다 ||*olo- ||*sala- || ||외치다 ||*ör- ||*or- || ||산, 바위, 돌 ||*pe: ||*pije || ||Run, Jump ||*pöɣ- ||*pukta- || ||피부 ||*qa:r/*qajr ||*kore/*ko:re || ||듣다 ||*qol- ||*kule- || ||뿌리 ||*wonč- ||*wacV/*wančV || 그 외, [[고시베리아 제어]]에 속한다는 가설도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 [[http://historyview.blogspot.com/2011/10/yukaghir-girl-writes-love-letter.html?m=1|유카기르 특유의 그림문자]]가 [[20세기]] 초반까지 존재하였는데, [[자작나무]] 껍질에 칼끝이나 송곳으로 그림을 그려 의사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사용했다. 주로 젋은 나이의 [[여성]]들이 사용하였으며 일종의 [[연애편지]]와 같은 용도로 쓰였다고 한다.[* [[남성]]들도 [[그림문자]]를 이용했는데 주로 사냥 및 어로에 관련된 내용을 담았다고 한다. 사냥꾼의 수와 노선, 사냥 결과 등을 표시해 홀로 서있는 나무 등 특정한 장소에 두어 다른 사람들이 찾아서 볼 수 있도록 했다.] 이후 [[키릴 문자]]가 도입되면서 이는 일상 속에서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 샘플 === ※ 다음은 [[세계 인권 선언]] 제1조를 콜리마 유카기르어로 옮긴 것이다. > Көдэҥ тэн - ньидитэ бандьэ параwааньэрэҥ тудэ чуҥдэн ньилдьилэк эннулҥинь-мэдьуолнуни. Көдэҥ энмун чундэ мэ льэй, таатльэр лукундьии ньинэмдьийилпэ дитэ эннуйуол-мораwньэҥи. > > Ködeng ten - n'idite band'e parawaan'ereng tude chungden n'ild'ilek ennulngin'- med'uolnuni. Ködeng enmun chunde me l'ey, taatl'er lukund'ii n'inemd'iyilpe dite ennuyuol-morawn'engi. > >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 === 듣기 === || [youtube(hX1iJG4pQCs)] || || 툰드라 유카기르어 숫자, 인사, 샘플 텍스트 영상 || || [youtube(tfWpKd3oHXk)] || || 이리나 두스쿨로바의 노래 'Chakhadan' || == 전통 == 전통적으로 [[순록]]을 기르는 유목민이며 사하 공화국에 거주한다는 점에서 눈치챌 수 있지만 열악한 환경 때문에 평균수명은 50세 정도로 많이 짧다. [[샤머니즘]]을 믿어왔으나 최근엔 [[정교회]] 신자도 늘고 있다고 한다. [[명절]] 축제나 특별한 행사를 통해 전통적인 노래와 춤이 공연되고 있다. 유카기르인의 전통 춤으로 원무인 ‘론돌’(Лондол)과 남녀 한 쌍이 추는 ‘백조의 춤’이 대표적이다. 또 [[1992년]]부터는 매년 6월 말에 여러 마을에서 민족 전통 해맞이 축제인 ‘샤하디베’(Шахадьибэ)를 거행하여 민족 전통을 복원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사하 공화국]] * [[우랄어족]] == 출신 인물 == * [[http://www.finstergeist.net/2017/01/irina-duskulova.html?m=1|이리나 두스쿨로바]]: 러시아의 가수이며, 유카기르 출신 작가이자 시인 겐나디 댜츠코프(Gennady Dyachkov)의 [[조카]]라고 한다. [[분류:러시아의 민족]][[분류:북아시아의 민족]][[분류:소수민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