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조선의 문관]][[분류:1421년 사망]][[분류:강릉 유씨]][[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조선 개국공신]] [include(틀:조선 개국공신)]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초기의 문신. 이름은 유창(劉敞), 초명은 유경(劉敬), [[자(이름)|자]]는 태화(太和), [[아호|호]]는 선암(仙庵)이다. [[시호]]는 문희(文僖)이다. 조선의 개국공신으로 [[강릉 유씨]]의 중시조이다. == 생애 == [[강릉시/역사#s-4|강릉부]] 우계현 출신으로[* [[칠곡군|칠곡]]에서 태어났다고도 한다.[[http://chilgok.grandculture.net/chilgok/index/GC02300453?category=%EC%9D%B8%EB%AA%85&depth=2&name=%EC%95%84&page=12&search=%EC%9C%A0%EC%B2%9C%EB%B4%89|#]]], 태어난 해는 미상이다. [[이색]]과 [[정몽주]]에게 글을 배웠으며, [[공민왕]] 말기에 [[개성 성균관|성균관]]의 학유와 [[박사]]를 거쳐 문하부의 주서 직을 맡았다. [[우왕(고려)|우왕]] 시기에는 통례문지후, 전공좌랑, 예의사와 군부의 정랑 직을 역임했고, [[공양왕]] 재위기에는 성균관의 사예와 호조의랑, 성균관의 좨주를 지냈다. 일찍이 [[태조(조선)|이성계]]와 가까이 지내면서 그에게 많은 [[유교]] [[경전]]과 [[역사]]를 가르쳤는데, 그중에서도 주로 다룬 책은 《[[대학(경전)|대학연의]]》였다고 한다. 이 책은 [[제왕학]]에서 매우 중요한 책으로, 이 책을 강론한다는 것은 곧 이성계가 [[역성혁명|마음 속에 큰 뜻을 품기]] 바란다는 의미였다. 그래서였는지 1392년(태조 원년)에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고 태조로 즉위한 후에 협찬개국공신 2등으로 봉해지고 성균관대사성이 되었다. 다음해에는 좌산기상시로 전직했는데, 재직 중에 갑자기 [[선인|신선술]]을 배우겠다고 하면서 사표를 냈으나 태조에게 거절당하고 오히려 중추원좌부승지로 승진했다. 이때 태조는 "신선술을 익히면 임금과 아버지를 버리는 건데 님 불충불효할 거임?" 이러면서 막았다. 1395년(태조 4년)에는 중추원부사 직을 제수받고 '옥성군(玉城君)'으로 봉군되었으며 [[의안대군(이방석)|세자 이방석]]을 가르치는 우부빈객 직을 역임했다. [[태종(조선)|태종]]이 왕이 된 직후에는 승녕부윤이 되었고, 태종을 미워하여 [[소요산]]에서 머물던 태조를 찾아가 도성[* 당시 도성은 [[개성시|개성]]이었다.]으로 돌아갈 것을 권하기도 했다. 이후 여러 번 첨서중추원사와 [[예문관]]의 대제학으로 근무했고, 1405년(태종 5년)에는 다시 세자 우부빈객이 되어 [[양녕대군|새 세자 이제(양녕대군)]]을 가르쳤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0505013_001|#]] 그 무렵 [[봉호]]가 '옥천군(玉川君)'으로 바뀌었다. 사은사로서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ca_10961006_001|#]] 1408년([[태종(조선)|태종]] 8년)에 [[태조(조선)|태조]]가 승하하자 2년 간 능을 지키면서 [[삼년상]]을 치렀다.[* 삼년상의 3년은 만 3년이 아니다. 장례를 [[세는나이|시작한 해를 1년으로 치기 때문에]], 실제로는 2년 간이다.] 복귀한 뒤에 참찬의정부사를 거쳐 판공안부사 직을 맡았다. 이후 세자이사를 거쳐 '옥천부원군(玉川府院君)'으로 격상되었다. 1421년(세종 3년) 1월에는 나이 많은 공신이라 하여 [[세종(조선)|세종]]에게 궤와 [[지팡이]]를 하사받았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0301019_002|#]] 그리고 그해 12월에 사망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0312009_006|#]] == 가족과 후손 == 증조할아버지는 [[강릉 유씨]]의 시조 유승비이고, 할아버지는 개성윤과 상호군을 지낸 유송백이며 아버지는 지군사를 역임했던 유천봉이다. 어머니는 전성무의 딸이며, 부인은 좌찬성을 지낸 [[광주 이씨]] 이집의 딸이다.[* [[영의정]]을 지냈던 [[이극배]]와 병조판서를 지냈던 [[이극돈]]의 고모할머니이다.] 이씨 부인 사이에서 3남 1녀를 두었으며 사위는 류관의 조카인 류사눌이다. == 묘역 ==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95호 ||<|2> ← || '''96호''' ||<|2> → || 97호 || || [[신경진#s-3|충익공 신경진 묘역]] || '''문희공 유창 묘역''' || [[오공신회맹축]]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6호}}}]]''' || ||<-2> {{{#fff {{{+1 '''문희공 유창 묘역'''}}}[br]{{{-1 文僖公 劉敞 墓域}}}}}}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190번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190번지 || || '''{{{#fff 시대}}}''' || [[조선시대]] || || '''{{{#fff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 '''{{{#fff 수량 / 면적}}}''' || 분묘 2基, 석물 6基, 토지 510.6㎡ || || '''{{{#fff 지정연도}}}''' || [[1995년]] [[1월 25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창신도비묘역전경.jpg|width=100%]]}}} || || {{{#F0AD73 ''' 유창 묘역[* [[https://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281&ccbaKdcd=21&ccbaAsno=0096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clearfix] ---- 현재 [[서울특별시]] [[강동구]] [[상일동]] 상일근린공원에 유창과 일가의 묘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