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www.mikemooneyham.com/nickdinsmore0001.jpg|width=500]] || 링네임 || Conquistador Dos [br] Doink the Clown [br] Doctor Nicholas Dinsmore [br] Eugene Dinsmore [br] Mr. Wrestling #2 [br] Special "E" [br] U-Gene [br] Eugene [br] '''Nick Dinsmore''' || || 본명 || 니컬러스 데이비드 딘즈모어[br](Nicholas David Dinsmore) || || 생년월일 || [[1975년]] [[12월 17일]] ([age(1975-12-17)]세) || || 출신지 || [[미국]] [[인디애나]] 주 제퍼슨빌 || || 신장 || 185cm || || 체중 || 103kg || || 별명 || Mr. Wrestling || || 주요 커리어 || OVW 헤비웨이트 챔피언 10회 [br] OVW 사우스던 챔피언 11회 [br]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123Approved.ca 오츤 룰즈 챔피언 1회 [br] CP 태그팀 챔피언 1회 [br] HWA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USWA 월드 태그팀 챔피언 1회 [br] MCW 노스 아메리칸 태그팀 챔피언 1회 [br] RCCW 헤비웨이트 챔피언 1회 [br] WPW 가더 온 브로드웨이 챔피언 1회 || || [[피니쉬 무브]] || 브리징 저먼 수플렉스 [br] 점핑 커터 || || 테마곡 || Gladiators [br] Child's Play || [목차] == 개요 == 미국의 프로레슬러. == 커리어 == [youtube(gj-2G1M8O_c)] 미국 인디애나 주 출신의 프로레슬링 선수로 [[WCW]]에서 지역 자버로 몇 차례 등장한 후 2004년부터 [[윌리엄 리갈]]의 제자이자 [[에릭 비숍]]의 조카 역할인 바보 캐릭터로 데뷔하였다. 성장기 때인 80~90년대에 프로레슬링을 보면서 자란후 프로레슬링에 천재성을 가진 [[서번트 증후군]]이라는 설정을 가진 기믹이었는데 사용하는 기술들도 2000년대 기준으로 레전드들인 80, 90, 2000년대 선수들의 기술[* '''[[헐크 호건]]'''의 '''[[레그드랍|아토믹 레그드랍]]''', '''[[드웨인 존슨|더 락]]'''의 '''[[사이드 슬램|락 바텀]]''' & '''[[피플즈 엘보우]]''', '''[[트리플 H]]'''의 '''[[페디그리 #s-3|페디그리]]''', '''[[스티브 오스틴]]'''의 '''[[스터너]]''' 등 많은 기술을 사용하였다.]을 사용했는가하면 마이크웍 때도 레전드들을 언급했고, 악역선수와의 대결때 일부 레전드들과 함께 등장하거나 태그팀 매치에서 레전드들과 팀을 맺어 경기를 하는 등 기믹 수행도 잘하고 경기력도 괜찮아서 전성기 때는 WWE에서 [[윌리엄 리갈]]과 함께 [[월드 태그팀 챔피언십|월드 태그팀 챔피언]]을 역임하고 트리플 H와 경기를 하는 등 상당한 활약을 했다. 그러나 윌리엄 리갈과 태그팀 챔피언으로 다니던중 부상을 당하면서 결장이 불가피해졌고, 컴백후 [[커트 앵글]]의 금메달에 도전하면서 짧막한 대립을 벌이면서 레전드 레슬러들과 엮이면서 [[짐 더간]]과 같이 태그팀으로 활동하다가 짐 더간을 배신하고 악역전환을 하는데, 그러다가 2007년에 [[빈스 맥마흔]]에 의해 [[우마가]]와 맞붙어 패해 빈스로 인해 강제로 삭발당한다. 계속 메인과 히트를 오가면서 몇번 나오다가 2007년에 스맥다운으로 드래프트 되지만, 듀스를 대신해서 [[마크 헨리]]의 상대가 되었다가 박살나고, [[그레이트 칼리]]의 상대가 되어 역시나 박살나다가 9월에 WWE에서 방출당했다. 이후 OVW로 돌아가 헤비급 챔피언을 여러번 역임했으며 2009년에 한번더 WWE와 계약맺으면서 캘거리 키드라는 이름으로 등장해 가면쓰고 변장한 [[미즈(프로레슬러)|미즈]]에게 패하고 그 후 얼마못가 WWE에서 또 방출당했다. 2013년에 WWE와 계약을 맺고 NXT에서 선수들을 육성하는 트레이너로써 활동하다 2014년에 또 방출된다. [[임팩트 레슬링|TNA]]의 인도 프로젝트에 새로운 캐릭터와 함께 합류하다가 다시 인디 단체를 돌면서 레슬러로써 커리어를 늘려가고 있다. WWE에서 2005년 ~ 2007년에 푸쉬를 받았던 계기가 있었다. 바로 한 매니아가 유진의 기믹 특성을 잘 살려서 푸쉬를 줘보는게 어떻겠냐는 의견을 냈고, 이를 본 WWE측이 푸쉬를 주기로 한 것. 그런데 처음부터 끝까지 한 기믹만 밀고간 결과 결국 마지막엔 실패한 케이스가 되었다. == 둘러보기 == ||
<-7> [[파일:external/images.wikia.com/OVW-Logo.jpg|width=300]] {{{#!folding 【 Bolin Services 】 ||<-5> '''전 멤버''' || ||<#EAEAEA> {{{#000000 케니 볼린}}} ||<#EAEAEA> {{{#000000 빅 배드 존}}} ||<#EAEAEA> [[바비 래쉴리|{{{#000000 블래스터 래쉴리}}}]] ||<#EAEAEA> {{{#000000 불 뷰캐넌}}} ||<#EAEAEA>[[칼리토(프로레슬러)|{{{#000000 카를로스 콜론}}}]] || ||<#EAEAEA> {{{#000000 카를로스 에반스}}} ||<#EAEAEA> {{{#000000 다 비스트}}} ||<#EAEAEA> {{{#000000 딘 비스크}}} ||<#EAEAEA> {{{#000000 제롬 크로니}}} ||<#EAEAEA> {{{#000000 저스틴 라로시}}} || ||<#EAEAEA> {{{#000000 캐시디 제임스}}} ||<#EAEAEA> {{{#000000 케니 다이크스트라}}} ||<#EAEAEA> {{{#000000 KC 제임스}}} ||<#EAEAEA> [[랜스 케이드|{{{#000000 랜스 케이드}}}]] ||<#EAEAEA> [[마크 헨리|{{{#000000 마크 헨리}}}]] || ||<#EAEAEA> [[마크 진드락|{{{#000000 마크 진드락}}}]] ||<#EAEAEA> {{{#000000 마이크 몬도}}} ||<#EAEAEA> {{{#000000 미니 볼린}}} ||<#EAEAEA> {{{#000000 모리스}}} ||<#EAEAEA> {{{#000000 Mr. 블랙}}} || ||<#EAEAEA> [[유진(프로레슬러)|{{{#000000 닉 딘스모어}}}]] ||<#EAEAEA> {{{#000000 널스 루루}}} ||<#EAEAEA> {{{#000000 폴 E. 노머스}}} ||<#EAEAEA> [[존 시나|{{{#000000 프로토타입}}}]] ||<#EAEAEA> [[르네 듀프리|{{{#000000 르네 듀프리}}}]] || ||<#EAEAEA> [[리코#s-1.1.1|{{{#000000 리코 콘스탄티누스}}}]] ||<#EAEAEA> [[랍 콘웨이|{{{#000000 랍 콘웨이}}}]] ||<#EAEAEA> [[션 오헤어|{{{#000000 션 오헤어}}}]] ||<#EAEAEA> {{{#000000 소새이}}} ||<#EAEAEA>|| }}} || [각주] [[분류:미국의 프로레슬링 선수]][[분류:클라크 카운티(인디애나) 출신 인물]][[분류:1975년 출생]][[분류:1996년 데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