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묘호]] 유종(裕宗) == 동아시아의 군주가 받는 [[묘호]] 중 하나이다. === 군주 목록 === || 성명 || [[묘호]] || [[시호]] || 재위기간 || 비고 || || [[보르지긴 칭김]](孛兒只斤 真金) || [[원나라|원]]유종(元裕宗) || 문혜명효황제[br](文惠明孝皇帝) || - || [[원성종]] 추존 |||| || [[진유종|진호]](陳暭) || [[쩐 왕조|진]]유종(陳裕宗) || 통천태도인명광효황제[br](通天態道仁明光孝皇帝) || 1341 ~ 1369 || 7대 황제 || || [[레유종|여유당]](黎維禟) || [[후여조|후여]]유종(後黎裕宗) || 순정휘유온간자상관혜존묘화황제[br](純正輝柔溫簡慈祥寬惠尊卯和皇帝) || 1705 ~ 1729 || 22대 황제 || == [[후한]] 말의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유종(삼국지))] == 有終 == 시작한 일에 끝이 있음을 뜻하는 말로, 흔히 '유종의 미'[* 발음상 유종[[에미|애 미]]와 유사한데다 페이스북에서 유종의 미를 유종애미로 쓴 사진이 밈이 되어 유종이 어머니를 왜 찾냐는 드립이 사용되곤 한다.[[파일:유종애미.png|#]]]라는 표현을 쓰며 스포츠계에선 전패에 가까운 처참한 성적을 내는 팀이 마지막 경기에서도 또 지면 유종애미라며 발음을 이용해 자조하기도 한다. 대중매체에선 한 예로, KBS2 <유머1번지> 코너 '동작그만'의 한정호 병장의 전역까지 근무한 에피소드에서 김정식 병장이 유족의 미라고 했었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묘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