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https://annual-parallax.blogspot.com|블로그]] == 개요 == 한국의 영화평론가. 유운성은 필명이고 본명은 김기현이다. [[서울대학교]] 물리교육과를 졸업했고, 영화 연구회 [[얄라셩]]의 멤버로 지냈으며, 2001년 제6회 《씨네21》 영화평론상을 통해 영화평론가로 데뷔했으며,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상이론과(전문사 과정)를 수료하였다.[* 유운성이 블로그 글에서 밝힌 바에 따르면 논문을 마무리하지 못해 졸업은 하지 못하고 퇴학당했다고 한다.[[https://annual-parallax.blogspot.com/2019/12/blog-post.html|#]]] [[http://m.cine21.com/news/view/?mag_id=1944|인터뷰]]를 보면 1973년생이다. 2004년부터 2012년까지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문지문화원사이 기획부장으로 재직했다. 전주국제영화제 프로그래머에서 해임될때 잡음이 좀 있었다. 전주 지역 언론들과 많이 다투었으며 지역의 투자자들하고도 불화가 있었다고. 언론에서는 영화제 운영이 개판이라고 깠고 유운성은 블로그에서 언론을 비판했다. 프로그래머에서 해임된 시기와 맞물렸는지 더 이상 《씨네21》에는 비평을 기고하지 않고 있다. 이후 KMDB에서 간간이 글이 올라오는 정도. 2016년에 임경용 더북소사이어티 대표와 함께 《오큘로》라는 영상전문지를 창간했다. 정기적이지는 않지만 현재까지도 발행되고 있다. 2018년에 평론집 《유령과 파수꾼들: 영화의 가장자리에서 본 풍경》을 펴냈다. 2021년에 저서 《어쨌거나 밤은 무척 짧을 것이다》을 펴냈다. == 출간된 저서 == '''저서''' * [[2018년]] / [[2020년]][* 2018년에 출간된 1판의 재고가 모두 소진되어 2020년 4월에 개정판인 2판이 출간되면서, 「애니메이션과 리얼리즘의 처소(處所):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그저 하나의 얼굴: <제인에게 보내는 편지>」의 두 편의 글이 추가로 수록되었다.] 《유령과 파수꾼들: 영화의 가장자리에서 본 풍경》(미디어버스) * [[2021년]] 《어쨌거나 밤은 무척 짧을 것이다: 세기의 아이들을 위한 반(反)영화입문》(보스토크프레스)[* 2021년 11월 11일 출간되었고, 그의 [[https://www.facebook.com/unseong.yoo/posts/3772825082754957|페이스북 글]]에 따르면 이 저서의 1장을 재구성하여 [[씨네21]] 창간 26주년(제1300호) 연속 기획 특집에 기고했다고 한다.] * [[2023년]] 《식물성의 유혹, 사진 들린 영화》(보스토크프레스) '''공저''' ※ 책 제목 뒤에 표시된 것은 공동 집필된 저작물에서 유운성이 담당한 챕터의 제목 * [[2001년]] 《오슨 웰스》(한나래) - "<거짓과 진실>: 《돈키호테》의 작가가 들려 주는 거짓과 진실" * [[2002년]] 《감독 장 르누아르》(문화학교서울) - "랑주씨의 범죄 : 인민전선기의 이상을 담은 르누아르의 인생전서" & "코르들리에 박사의 유언장 : 지속에의 매혹이 낳은 위험한 실험" * [[2003년]] 《칼 드레이어》(한나래) - "드레이어의 삶과 영화 세계" & "드레이어의 초기 영화들" * [[2003년]] 《김기덕, 야생 혹은 속죄양》(행복한책읽기) - "범상함, 망설임, 그리고 침묵" * [[2003년]] 《한국 단편영화의 쟁점들: 작가, 여성, 디지털》(소도) - "숭고한 불가능성 혹은 불가능한 숭고: 동시대 한국 단편영화의 역사적 상상력에 관한 소고" * [[2003년]] 《월경하는 지식의 모험자들》(한길사) - "디지털 시대 영화의 시체를 응시하기: 하모니 코린" * [[2004년]] 《쌈마이 블루스: <넘버 3>》(이가서) - "농담과 독설로 카오스를 가로지르기" * [[2004년]] 《로베르토 로셀리니》(한나래) - "로셀리니, 영화 영년: 로베르토 로셀리니의 삶과 영화 세계" * [[2013년]] 《스튜디오 지브리 레이아웃 전》([[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상출판사) - "애니메이션과 리얼리즘의 처소 : 스튜디오 지브리의 애니메이션" * [[2016년]] 《필립 가렐, 찬란한 절망》([[국립현대미술관]], 현실문화A) - "내 곁에 있어줘" * [[2016년]] 《오큘로 002: 이미지, 먼지와 기념비 사이에서》(오큘로, 미디어버스) - "지하로부터의 수기: 페드로 코스타의 <호스 머니>" * [[2017년]] 《오큘로 004: 카운터-픽션, 내게(다시) 거짓말을 해봐》(오큘로, 미디어버스) - "특집2: 아메리칸 언더커런츠 - 사프디 형제 Safdie Brothers" * [[2018년]]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국립현대미술관]], 현실문화A) - "무명(無名)의 역사: 영화평론가 Y와 영상작가 P의 두 번째 대화" * [[2018년]] 《다공성 계곡, 이동식 구멍들》([[일민미술관]]) - "페트라의 계곡 저편에서: 김아영 작가에게 보내는 편지 (참조: 페트라 제네트릭스)" * [[2021년]] 《사진에 관한 실험》(보스토크 프레스) - "에세이 도래할 사진을 위한 에스키스" '''역서''' * [[2020년]] 《자본에 대한 노트》([[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알렉산더 클루게 / [[문학과지성사]]) ※ 김수환[* [[한국외국어대학교]] [[한국외국어대학교/학부/서양어대학#s-3.3|노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과 공역 * [[2022년]] 《Suspensions of Perception: Attention, Spectacle, and Modern Culture》[*미번역](조너선 크래리 / [[문학과지성사]]) == 큐레이션 == 큐레이팅을 통해 한국 시네필들에게 [[벨라 타르]]와 [[라브 디아즈]] 그리고 [[페드로 코스타]]를 알린 것으로 유명하다. 한국 영화평론가 중에서는 가장 아카데믹하고 복잡한 평을 쓰는 평론가로[* 다만 대담이나 해설 자체는 의외로 쉽게 진행하는 편이다.], [[정성일]]이나 [[허문영]]보다도 글이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활동 영역도 일반적인 상업 영화보다는 예술 영화와 현대 미술과 겹쳐 있어서 대중적 인지도는 낮은 편. === [[전주국제영화제]] === * [[2008년]]에 [[벨라 타르]]의 회고전을 마련하였다.[[http://archive.jeonjufest.kr/db/movieList.asp?sectionList=%23193%23&EP_NUM=9&sType=&sText=|프로그램 페이지]] * [[2009년]] [[필리핀]]의 떠오르는 작가였던 라야 마틴을 국내에 처음 알린 적이 있다.[[http://archive.jeonjufest.kr/db/movieList.asp?sectionList=%23206%23&EP_NUM=10&sType=&sText=|프로그램 페이지]][[https://entertain.naver.com/read?oid=001&aid=0002582890|보도 기사]] * [[2010년]]에 [[페드로 코스타]]의 회고전을 마련하였다.[[http://archive.jeonjufest.kr/db/movieList.asp?sectionList=%23229%23&EP_NUM=11&sType=&sText=|프로그램 페이지]][[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40&aid=0000015506|보도 기사]] === [[한국영상자료원]] === * [[2015년]]에 한국영상자료원에서 1년 동안 열린 "우리 시대 시네아스트: [[라브 디아즈]] 특별전"의 객원 프로그래머로 참여하였다.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0852|프로그램 페이지]] * [[2016년]]에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열린 "그림자들의 함성, [[페드로 코스타]]" 특별전의 객원 프로그래머로 참여하였다. [[https://www.koreafilm.or.kr/cinematheque/programs/PI_00959|프로그램 페이지]] === [[국립현대미술관]] === * [[2019년]] [[4월 26일]]부터 [[5월 19일]]까지 필름앤비디오에서 진행된 "디어 시네마: 차이와 반복"에서 협력 큐레이터로 참여하여 "영화라는 기억 Memories of Cinema"이라는 주제로 큐레이션을 하였다. [[https://www.mmca.go.kr/exhibitions/exhibitionsDetailExh.do?exhId=201904160001143|프로그램 페이지]] ===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 * [[2020년]]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영화제]]의 전문위원으로 참여하여 '[[http://dmzdocs.com/kor/addon/00000001/program_view.asp?c_idx=186&QueryYear=2020&QueryType=B&QueryStep=2|이탈리아 다큐멘터리스트 3인전]]' 섹션의 큐레이팅을 맡았는데, 여기에는 <[[마틴 에덴]]> 피에트로 마르첼로의 이전 두 작품인 <늑대의 입>(2009), <상실과 아름다움>(2015)이 포함되어 있다.[* [[https://www.facebook.com/unseong.yoo/posts/3190038647700273|페이스북에서 밝힌 내용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하여 규모가 축소된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필리핀계 미국인]]인 미코 레베르자[* 필리핀의 작가인 존 토레스 부부가 설립한 Los Otros의 일원이기도 하다.]의 단편 <거리두기>(Distancing)(2019)와 장편 <노 데이터 플랜>(No Data Plan)(2019) 상영 및 강연을 진행했다.[* 참고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https://www.acc.go.kr/info/board/board.do?PID=0401&boardID=NOTICE&action=Read&idx=1235&searchType=all&searchText=%EC%8B%9C%EB%84%A4%EB%A7%88&pageIndex=1|2020 시네마 펀드]] 최종 선정위원으로 위촉된 바 있는데, '필름' 부문의 지원 확정자 리스트에 미코 레베르자가 포함되어 있다. 유운성이 필리핀 감독 존 토레스와 공동으로 편집한 아시아 영화 전문지 [[https://www.nangmagazine.com/issues/2| 제2호]]에도 미코 레베르자가 필진에 포함되어 있다. 참고로 NANG은 [[한국영상자료원|한국영상자료원 영상도서관]]에서 모든 호를 열람할 수 있다.] * [[2021년]] [[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영화제]]에서도 전문위원으로 참여하여 '[[https://dmzdocs.com/kor/addon/00000001/program_view.asp?c_idx=207&QueryYear=2021&QueryType=B&QueryStep=2|산책자로서의 여행자]]'라는 섹션의 큐레이팅을 맡아 네 편의 작품을 선보였다.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 2020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ACC시네마테크에서 객원 프로그래머로서 참여하여 김지하 본원 프로그래머와 함께 "ACC 시네마테크 온라인 특별기획전 <여럿 그리고 하나 – 얄라셩에서 서울영화집단까지>"를 기획하였다. [[https://www.acc.go.kr/main/event.do?PID=0307&action=Read&bnkey=EM_0000004410|프로그램 안내 페이지]] [[http://www.yalashung-sfc.com/|기획 프로그램 페이지]] == 강연 및 GV == [[2017년]] [[11월 29일]] 《영화는 어떻게 투명한 초상에 도달할 수 있을까?》(인디포럼 월례비행 2017년 11월 인디스페이스)[* 김응수 감독의 <우경>(2017) 상영 후 변성찬 평론가의 진행으로 이뤄진 감독과의 대담이다.] [[2018년]] [[10월 21일]] ~ [[11월 25일]] 《동시대 영화의 쟁점들 : 여섯 개의 변주》(대전아트시네마 - 시네마테크대전)[[https://cafe.naver.com/artcinema/11523|소개문]] [[2019년]] [[5월 4일]] 《큐레이터 토크: 차이와 반복》([[국립현대미술관|국립현대미술관 필름앤비디오]]) 대담 참여 [[2019년]] [[6월 29일]] 《전용의 계보: <정도>에서 <당수태권도>로, 그리고 <변증법은 벽돌을 깰 수 있는가?>까지》([[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시청 판타스틱큐브)[[https://annual-parallax.blogspot.com/2017/10/causerie.html|관련 글 1]] [[https://annual-parallax.blogspot.com/2019/01/blog-post.html|관련 글 2]] [[2019년]] [[7월 27일]] 《[영화를 말하다] 유운성이 〈김군〉을 말하다 | 〈김군〉에 대한 다섯 개의 물음》(인디스페이스)[[https://www.youtube.com/watch?v=L7kZibknly8|유튜브 영상]] [[2019년]] [[9월 29일]] 《유운성이 〈너무 많이 본 사나이〉를 말하다 | 시네필리아, 비디오필리아》(인디스페이스)[[https://www.youtube.com/watch?v=OlPLSxBMTTQ|유튜브 영상]] [[2020년]] [[7월 25일]] [[https://sema.seoul.go.kr/ee/cult/getCult?evtNo=520384|《기관의제 심포지엄 SeMA Agenda 2020 ‘수집’]]: “미래의 소장품: 유물에서 비트로” - 영상 작품의 비물질적 소장에 관하여》 [[http://semacoral.org/features/yoo?fbclid=IwAR2uQShhk-SpOWzju0Cr_DjA0tfKg3urHH1lfCCHqqXg9Fr6T5WPvwZUewA|원고]][* 해당 발표문이 재편집된 것] [[2020년]] [[8월 3일]] ~ [[8월 24일]][* 3일, 10일, 17일, 24일] 《반反영화입문: 연명하지 않는 영화의 삶》(아트선재센터) [[http://artsonje.org/summer-study-a/|소개 페이지]] [[2020년]] [[9월 18일]] 《사실의 우화, 하나의 작은 계보》[* [[루카 코메리오]], [[비토리오 데 세타]], [[피에트로 마르첼로]] 3인에 대한 특별전 큐레이션과 연계된 강연이다.]([[DMZ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메가박스 백석]] 컴포트6관) [[2020년]] [[10월 25일]] <그림자 열차>(1997)(호세 루이스 게린) 상영 후 시네토크(대전아트시네마 - 시네마테크대전) [[2020년]] [[11월 4일]] <내언니전지현과 나>(2019)(박윤진) 상영 후 시네토크([[서울아트시네마]]) [[2020년]] [[11월 10일]] <[[마틴 에덴]]>(2019)(피에트로 마르첼로) 상영 후 시네토크([[서울아트시네마]])[* [[이용철(평론가)|이용철 평론가]]와 함께 진행] [[2021년]] [[5월 16일]] 《“스크린으로서의 세계: 키아로스타미의 버추얼리티”》(시네마테크 영화학교-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세계 / [[서울아트시네마]]) [[2021년]] [[7월 8일]] ~ [[8월 12일]] 《에이젠슈테인을 다시 읽는다》(대전아트시네마 - 시네마테크대전)[[https://cafe.naver.com/artcinema/12838|소개문]] [[2021년]] [[10월 30일]] 《영화-기능에 대하여: 매체로서의 영화를 넘어서》([[국립아시아문화전당]])[[https://www.youtube.com/watch?v=NdGw1KLxY88|유튜브 영상]] [[2021년]] [[11월 2일]] ~ [[12월 7일]] 《에이젠슈테인을 다시 읽는다》(판타스틱 씨네 클래스: 비평적 영화 읽기Ⅱ / 부천시민미디어센터)[[https://www.media-center.or.kr/bucheon/media/edu/selectEducationDetail.do?eduId=EDU_0000000000003065|소개문]][* 대전아트시네마에서 7~8월 동안 진행된 강의와 주제상 동일하다.] [[2022년]] [[5월 7일]] <리투아니아 여행의 추억>(1972)(요나스 메카스) 상영 후 시네토크 《“영원의 순간들: 요나스 메카스의 영화”》([[서울아트시네마]]) [[2022년]] [[6월 28일]] ~ [[8월 16일]] 《에이젠슈테인을 다시 읽는다》(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https://www.mediact.org/web/education/lecture_view.php?code=Education&bbid=EDUCATION_LECTURE&mode=View&type=&part=&nums=2561|소개문]][* 대전아트시네마와 부천시민미디어센터에서 각각 7~8월, 11~12월 동안 진행된 강의와 주제상 동일하지만, 더 확장되었다.] [[2022년]] [[8월 14일]] <메모리아>(2021)(아피찻퐁 위라세타쿤) 상영 후 시네토크 ([[서울아트시네마]]) [[2022년]] [[11월 6일]] <영화사 3, 4부>(1998)(요나스 메카스) 상영 후 시네토크 《고다르의 서재》([[서울아트시네마]]) [[2022년]] [[12월 22일]] ~ [[2023년]] [[1월 26일]] 《고다르와 스트로브, 상상적 몽타주》(영상미디어센터 미디액트)[[https://www.mediact.org/web/education/lecture_view.php?code=Education&mode=View&bbid=EDUCATION_LECTURE&page=&nums=2602&codes=&type=&grp=&sfl=&stx=&part_area=&y_now=2022&m_now=12&search_mm=|소개문]][* "굿바이 고다르, 고다르, 고다르 - 장 뤽 고다르 영화 함께 이야기하기"라는 제목이었으나 [[스트로브-위예|장 마리 스트로브]]의 작고 이후 수정된 듯하다.] == 여담 == * [[정성일]] 평론가에 의해 한국에서 비롯된 이른바 '영화광 3법칙'의 진위가 [[정성일#5.1|현재는 과장 및 왜곡 부분이 있다고 판단되고 있는데]], 그 이전에 앙드레 바쟁이 쓴 영화제에 대한 글을 잘못 인용한 것을 유운성 평론가가 [[http://annual-parallax.blogspot.com/2011/09/2.html|지적하였다.]] 다만 실제 사이는 그렇게 나쁜 편은 아니라고 한다. 유운성 GV에 정성일이 참석해 질문을 했을 정도. * 2012년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투표에 참여했는데 명단은 다음과 같다. [[https://www2.bfi.org.uk/films-tv-people/sightandsoundpoll2012/voter/35|Sight & Sound]] (※연대순) * 흩어진 꽃잎 ''Broken Blossoms'' ([[데이비드 와크 그리피스]] / 1919년) * 마부제 박사의 유언 ''The Testament of Dr. Mabuse'' ([[프리츠 랑]] / 1933년) * 이혼 소동[* 놀라운 진실이라 부르기도 한다.] ''The Awful Truth'' ([[레오 맥캐리]] / 1937년) * [[젊은 날의 링컨]] ''Young Mr. Lincoln'' ([[존 포드]] / 1939년) * 잔국물어 (마지막 국화 이야기) ''The Story of the Late Chrysanthemums'' ([[미조구치 겐지]] / 1939년) * 강 ''The River'' ([[장 르누아르]] / 1951년) * 인디아 ''India : Matri Bhumi'' ([[로베르토 로셀리니]] / 1959년) * 게르트루드 ''Gertrud''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 1964년) * 티타시라 불리는 강 ''A River Called Titas'' ([[리트윅 가탁]] / 1973년) * 반다의 방 ''In Vanda's Room'' ([[페드로 코스타]] / 2000년) * 2022년에도 참여한 [[사이트 앤 사운드 선정 역대 최고의 영화]] 투표에서 꼽은 명단은 다음과 같다. [[https://www.instagram.com/p/ClvGqmYr5mc/|#]][[https://www.bfi.org.uk/sight-and-sound/greatest-films-all-time/all-voters/yoo-unseong|Sight & Sound]] (※연대순) * 낡은 것과 새로운 것 ''Старое и новое''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 1929년) * 시든 국화 이야기 (잔국물어; 마지막 국화 이야기) ''The Story of the Late Chrysanthemums'' ([[미조구치 겐지]] / 1939년) * [[젊은 날의 링컨]] ''Young Mr. Lincoln'' ([[존 포드]] / 1939년) * 프란체스코, 신의 어릿광대 ''Francesco, giullare di Dio'' ([[로베르토 로셀리니]] / 1950년) * 빅 스카이 ''The Big Sky'' ([[하워드 혹스]] / 1952년) * 게르트루드 ''Gertrud'' ([[칼 테오도르 드레이어]] / 1964년) * 숲 속의 낮과 밤 ''অরণ্যের দিনরাত্রি'' ([[사트야지트 레이]] / 1970년) * 그리고 삶은 계속 된다 ''زندگی و دیگر هیچ'' ([[압바스 키아로스타미]] / 1992년) * 반다의 방 ''In Vanda's Room'' ([[페드로 코스타]] / 2000년) * [[지금은맞고그때는틀리다]] ''Right Now, Wrong Then'' ([[홍상수]] / 2015년) * [[김응수(영화 감독)|김응수]] 감독의 <우경>(2017) 작품 제작에 도움을 주었다. 그래서 해당 작품의 크레딧 중 제작자 이름에 들어가있다고. == 외부 링크 == [[https://aliceon.tistory.com/2902|한국 영상예술'人'을 만나다 : [OKULO] 유운성 영화평론가 _Interview]] [[http://homework-artsonje.org/2020/readinglist-yws?fbclid=IwAR25VBZPlU4DZrNj0wDeBXAmmG5A8yG3plC7SD4WUnFsSWajzs9gJaBrJEI|여름을 위한 반反추천도서 목록, 유운성]][* [[히토 슈타이얼]]의 《스크린의 추방자들》에 대해서, 유운성의 '반反추천'이라는 것과 [[2020년]] [[10월]]에 [[정성일]]이 [[http://www.readers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00779|인터뷰로 언급했던 것]]에서 각자가 가지고 있는 태도의 차이가 어떠한지 알 수 있다.] [[http://www.cine21.com/db/writer/info/?pre_code=E20041277|씨네21에 기고했던 글 목록]][* 그가 당사의 영화평론상으로 등단했던 2001년부터 2012년까지의 글들을 볼 수 있다.] [[https://www.kmdb.or.kr/story/writer/content/list?writer=%25EC%259C%25A0%25EC%259A%25B4%25EC%2584%25B1|한국영상자료원 KMDb에 기고했던 글 목록]] [[http://www.ccoart.com/news/articleView.html?idxno=4071|[영화전문매체 코아르] 유운성, 모험적 혹은 모범적 비평]] [[분류:대한민국의 영화 평론가]][[분류:서울대학교 출신]][[분류:한국예술종합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