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프로게이머 [[유영진(프로게이머)|유영진]]의 은퇴 후 대회 경력을 서술한 문서. == ASL(아프리카TV 스타리그) ==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ASL 시즌2]]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2]] 16강에 진출했으나 [[김택용]], [[김성현(프로게이머)|김성현]], [[조일장]] 등과 같은 조에 배정되어 [[광탈]]했다. BBS를 하고도 [[노 스포닝 풀 3해처리]]를 한 [[조일장]]에게 패하는 [[차명환|희대의 빌드싸움을 보여준 것은 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ASL 시즌4]] === 2017년 9월 2일,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4|ASL 시즌4]] 서울 예선 8조 결승에서 [[김윤중(프로게이머)|김윤중]]에게 2:1로 패하여 떨어졌고, 2017년 9월 3일, ASL 시즌4 대구 예선 5조 4강에서 [[조기석]]에게 2:1로 패배하여 떨어졌다. 그러나 2017년 9월 4일, 부산 예선 3조 결승에서 [[이영웅]]을 2:0으로 잡고 본선에 진출하였다. 2017년 9월 12일, 24강 첫 경기에서 [[박성균]]을 잡고 승자전으로 진출했으나, [[김정우(프로게이머)|김정우]]에게 패, 최종전에서 박성균에게 패하고 탈락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ASL 시즌5]] === 2018년 2월 24일,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5|ASL 시즌 5]] 서울 예선 2조 결승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을 2: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24강에서 1차전에서 [[박성균]]에게, 패자전에서 [[도재욱]]에게 패하며 탈락하였다. 이 쯤 되면 박성균과는 나름 악연일 지도.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ASL 시즌6]] === 2018년 8월 18일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6|ASL 시즌 6]] 서울 예선 결승에서 [[이영한]]에게 2:0으로 탈락했으나, 8월 19일 광주 예선에서 [[송병구]]를 2:0으로 격파하고 24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24강에서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에게 2패하면서 16강에는 가지 못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7|ASL 시즌7]] === 2019년 1월 5일 [[ASL 시즌7]] 서울 예선 결승에서 [[장윤철]]에게 2:1로 패했고, 1월 6일 전주 예선 결승에서는 [[임홍규]]에게 2:0으로 패배하였다. 1월 7일 부산 예선에서 [[김태영(1992)|김태영]]을 2:0으로 제압하고 본선에 합류하였다. 2019년 1월 13일 24강 첫 경기에서 [[이경민(프로게이머)|이경민]]에게 패배하고, 패자전에서 [[이윤열]]과의 경기에서도 패배하며 24강에서 광탈.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9|ASL 시즌9]] === 2020년 3월 3일, [[ASL 시즌9]]에서는 2경기에서 [[김명운]]을 만나 이겼지만, 승자전에서 [[황병영]]과의 게임에서 패배하였다. 그러나 최종전에서 또 [[김명운]]을 만났지만, 이 경기에서는 패배하며 결국 대회를 마감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0|ASL 시즌10]] === [[ASL 시즌10]]에서는 2일차 예선 통과 후 2020년 9월 27일 [[김범수(프로게이머)|김범수]], [[송병구]], [[임홍규]]가 속한 24강 C조에서 송병구, 임홍규를 상대로 연승하며 16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이후 2020년 10월 6일 [[김명운]], [[신상문]], [[정영재]]가 속한 16강 A조에서 정영재에게 패한 뒤 패자전을 하게 되지만 신상문을 상대로 2승을 한 뒤 최종전에서 정영재를 1패 뒤 2연승으로 설욕하며 ASL 첫 8강 진출에 성공하는 동시에, ASL 시즌10의 유일한 8강 테란이 되었다.[* [[이영호]]는 당시 랜덤으로 출전하였다.] 그러나 2020년 10월 18일 8강 A조에서 랜덤 [[이영호]]에게 테란, 프로토스, 저그 순서로 모두 경기를 지게 되며 결국 대회를 마감하게 되었다. 3경기 회심의 BBS가 이영호의 7드론에 의해 저지된 순간 유영진의 표정은 이영호의 미소와 대비되어 모두에게 안타까움---을 가장한 웃음---을 선사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1|ASL 시즌11]]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1]] 1에서는 기존 시드자 [[이영호]]의 팔 부상으로 인한 불참으로 열린 와일드카드전에서 [[도재욱]],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을 꺾고 16강에 직행했다. 이후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 [[조일장]]과 한 조가 되었으며 첫 게임에서 김지성을 꺾고, 승자전에서 조일장에게 패배했지만 이재호를 2:1로 잡아내며 2연속 8강 진출에 성공했다. 5월 18일, [[임홍규]]와의 8강전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2:3으로 패배하며 4강 진출에 아쉽게 실패하였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2|ASL 시즌12]] === 손목 부상으로 인해 이탈한 [[임홍규]]의 불참으로 열린 시드권을 얻기 위한 와일드카드전에 출전하였다. 4강 첫 경기에서 [[장윤철]]에게 2:1로 승리했고, 최종 결승전에서 [[도재욱]]마저 꺾으면서 두 시즌 연속으로 최종 시드를 얻는데 성공했다. 9월 15일에 열린 16강 조지명식에서 [[황병영]], [[유진우]], [[김민철(프로게이머)|김민철]]과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16강에서는 첫 경기에서 황병영을 잡아냈지만, 이어진 승자전에서 김민철에게 0:2로 패하며 최종전으로 향했다. 그리고 최종전에서 다시 한 번 황병영을 2:0으로 잡아내며 3시즌 연속으로 8강에 진출했다. 10월 17일에 열린 8강 경기에서 [[박상현(1995)|박상현]]과의 8강전에서 첫 세트를 내주었지만, 내리 3번 승리하며 3:1로 꺾고 개인 ASL 최초로 4강에 진출함과 동시에 자력으로 시드권을 획득하였다. 4강에서 [[조일장]]에게 초반에 3:0으로 밀어붙이면서 무난하게 승리하는 듯 했지만 4세트를 내주고 말았다. 그러나, 이어진 5세트에서 장기전 끝에 조일장을 꺾고 '''데뷔 이후 처음으로 결승에 진출하는 쾌거'''를 이루었다. 상대는 9년 전 [[tving 스타리그 2012]]에서 같이 첫 스타리그에 문을 두드렸고, 16강에서 같은 조에 속해서 겨뤘던 [[변현제]].[* 이 16강 때는 본 경기는 유영진이 이겼으나, 하위 3자 재경기에서는 변현제가 이기고 8강 진출, 유영진은 16강 탈락했다.] 11월 7일, [[ASL 시즌12]] 결승전이 코로나-19 이후 ASL 첫 유관중 경기로 개최되었다. 이날 유영진은 생애 첫 결승을 이룬 기세로 우승까지 노렸으나, 3시간 가량의 분전 끝에 [[변현제]]에게 3:4로 석패하며 '''생애 첫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이날 경기는 2019년에 있었던 [[ASL 시즌8]] 결승전과 [[KSL 시즌4]] 결승전 이후로 2년만에 [[테프전]]으로 치루어진 결승전이기도 하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3|ASL 시즌13]] === 지난 시즌 준우승자로서 예선 없이 2번 시드로 시즌을 맞이했으며 조지명식 결과 김성대, 김윤중, 김경모와 같은 조가 되었다. 이번 ASL 16강 조중 가장 꿀조라고 평가되며 조1위 대상으로 강력하게 지목된다. 16강에서 첫 경기 김경모를 이겼지만 승자전에서 김성대한테 0:2로 지며 최종전으로 밀려났고 최종전에서 만난 김윤중에게 2:1 승리를 따내며 조 2위로 8강 진출에 성공하였다. ASL에서 있었던 준우승자 징크스를 깨긴했지만 경기력이 아쉽다는 평이 많다. 8강 상대는 박상현으로 지난 시즌 8강 리매치가 성사되었다. 그러나 이어진 8강에서 박상현에게 0:3으로 완파당하며 이번 ASL S13을 종료하게 되었다. 경기력 또한 실수와 좋지 못한 판단이 이어지는 등 영 좋지 못했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4|ASL 시즌14]] === ASL 시즌13에서 준우승을 차지했던 정윤종이 ASL 시즌14 불참을 선언하면서 와일으카드전이 개최되었고, 유영진은 일단 김민철을 꺾고 결승에 가며 무난하게 시드를 확보할 줄 알았으나, 김성대에 지며 예선부터 시작했다. 이 시즌 와일드카드는 김성대가 획득하였다. 예선은 1일차 4조였고 결승서 한두열을 꺾으며 본선 24강에 진출했다. 24강전은 F조였으며 1경기 윤용태, 승자전 이경민을 꺾고 16강에 진출, 지명식을 통해 최호선의 지목을 받아 B조에 배치되었다. 16강전서 첫 상대는 같은 대학 총장 도재욱이었고, 지면서 패자전으로 내려가 최호선을 꺾고 최종전에 진출, 최종전에서는 도재욱을 상대로 복수에 성공하며 2위로 8강에 진출했다. 8강전 상대는 첫 상대를 김지성서 도재욱으로 바꿨던 전 시즌 우승자 이재호. 맞대결 8일전 코로나 확진으로 경기력 저하, 자녀 확진으로 인한 현장 경기 가능 여부, 바스포드 MT 일정으로 인한 응원 열기 저하, 경기 전 바스포드 교수진 7인 증 본인 외 전원 탈락 등 우려 요인이 많았지만 벌쳐 싸움의 우위를 앞세워 3:2로 승리하며 다시 차기 시즌 시드를 확보했다. 4강전은 ASL 시즌12에서와 마찬가지로 조일장과 맞붙게 되었다. 초반에는 조일장에게 여러 차례 승리를 내주며 위기를 맞았으나, 마지막 두 경기를 결정적인 타이밍 러시로 승기를 잡으며, 4:3으로 조일장을 꺾고 ASL 시즌14 결승에 진출하게 된다. 결승전 상대는 생애 처음으로 결승전에 진출한 [[김지성(프로게이머)|김지성]]이며, ASL 시즌2 이후로 5년 9개월만에 테란 동족 결승전이 성사되었다. 그러나 이번에도 준우승으로 만족해야 했다. 평소에 잘하지 않는 테테전 배럭 더블을 하다가 진 경기가 많았다[* [[이영호]]가 연습을 도와줬는데 그때 좋아보여서 썼을 가능성이 높다]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5|ASL 시즌15]] === === [[아프리카TV 스타리그 시즌16|ASL 시즌16]] === == KSL(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KSL 시즌1]] === 2018년 7월 1일,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KSL 시즌1]] 오프라인 예선 결승에서 [[정윤종]]에게 패하여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2|KSL 시즌2]] === 2018년 9월 30일 [[KSL 시즌2]] 오프라인 예선 결승에서 [[김재훈(프로게이머)|김재훈]]에게 패했고, 와일드카드전에서 [[김윤환(1989)|김윤환]]에게 패하면서 또 다시 진출하지 못했다. === [[코리아 스타크래프트 리그 시즌3|KSL 시즌3]] === 2019년 3월 30일 [[KSL 시즌3]] 오프라인예선에서 유진우에게 0-2로 충격적인 패배를 기록하며 광탈 하는 등 오프라인에서 전혀 힘을 쓰지 못하는 모습이였다. 이후 개인방송에서 본인이 말하길, 분명 막을 수 있는 부분이였는데, MPL 때의 악몽이 떠오르면서 뇌정지가 왔고. 패배해버렸다고 말하면서 트라우마를 인정하는 모습을 보였다. == ASTL(아프리카TV 팀리그) == ===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1|ASTL 시즌1]] === 전상욱 감독의 리썬즈 스타즈에 2픽으로 합류, B조 1위로 4강에 갔지만 4강서 박지호 감독의 아프리카tv 히어로즈에 에결끝에 지면서 돈탐라와 공동 3위로 마감했다. 리그 전적은 4승 1패. ===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2|ASTL 시즌2]] ===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2|ASTL 시즌2]]에서 드래프트 전체 7번으로 김명운 팀에 지명되었다. 같은 아버지 게이머인 송병구, 판독기 이미지가 있는 한두열과 같이 팀이 된터라 성적 못내면 곤란해지는 상황이었는데, 플옵서는 팀 승리를 매조지했고 결승서는 0:2 상황서 나간 3세트 김성대전 승리로 분위기를 바꾸고 5세트 이영호에게 승리를 거두면서 마무리를 한 김명운과 같이 팀 우승에 일조했다. === [[아프리카TV 팀리그 시즌3|ASTL 시즌3]] === 기존 장윤철, 이재호, 김명운에 신규 팀장 3인(나머지 둘은 변현제와 조일장) 중 한명으로 출전한다. 스폰서는 앙떡. 리그 2위로 플옵에 직행했지만 플옵서 조일장의 아프리카tv에 지며 최종 3위로 마감했다. 정규리그는 2승 3패, 플옵은 1패. == 기타 리그 == 2017년 7월 30일, 순천시의 한 PC방에서 피시방 대회에서 우승을 하고 40만원을 흭득하였다. 또한 아마추어 우승자와 우승자 매치를 이겨 5만원을 부상으로 얻었다. 당시 상대로는 결승전에서 포스네임을 2:0으로 승리를 거두었고, 올라오면서 중간에 아마추어 토스에게 첫 게임을 패해서 다소 불안했었지만, 우승자매치에서는 피시서버 래더B의 남승호에게도 2:0으로 승리를 거두었다. 2019년 4월 5일 CMSL[* BJ 캐스터뮤즈가 개최하는 대회이다.] S1 32강 듀얼토너먼트에서 [[한두열]]을 잡아내며 승자전에 진출했으나 [[김경모(프로게이머)|김경모]]에게 패배했고, 최종전에서 [[정윤종]]을 만나게 됐다. 당시의 여론은 [[정윤종]]에게 엄청나게 약한 모습을 보였던 유영진이였기 때문에, 정윤종의 16강 진출을 예상했으나. 최종전에서 정윤종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16강에 진출하는데 성공했다. 2019년 4월 12일에는 16강 토너먼트에서 [[박상현(1995)|박상현]]과 [[김명운]]을 잡아내면서 8강 진출에 성공했고 2019년 4월 25일 8강에서 [[김성대]]를 상대로 3:1의 스코어로 손쉽게 4강에 진출하는데 성공한다. 2019년 4월 29일 4강전에서 [[변현제]]를 상대로 2:2의 접전끝에 5경기 콜로세움2에서 승리를 거두며 결승전에 진출하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2019년 5월 8일, 대망의 결승전에서 [[박상현(1995)|박상현]]을 상대로 승-패-승-패-승을 기록하며 3-2의 스코어로 승리하며 CMSL 초대 우승자로 등극하게 된다. 게이머로써의 대회 트라우마와 정윤종 공포증을 어느 정도 벗어내는데 성공하면서 한층 성장한 모습이다. 2019년 5월 15일, [[임진묵]]배 위너스리그에서 [[이영호]]에게 간택되어 드래프트 1라운드 픽으로 뽑혔으나. 5월 25일 Team 도재욱과의 1경기에서 [[이영호]]가 [[도재욱]]에게 패배하며 팀은 그대로 0:4 셧다운 올킬을 당했다. 유영진의 대회 저주는 이영호도 감당하기 어려운 듯. [[LG 울트라기어 멸망전 스타크래프트 2020 시즌 2]]에서 [[오리3|오리]]의 영입으로 참가하게 되었다. 킹티어에 [[이재호(프로게이머)|이재호]]와 자신, 잭티어에 [[변형태]], [[피글렛]], 퀸티어로 오리, 조커티어로 [[로자르]]가 되었다. 8강 오봉따라갓따라 전에서 [[김승현(프로게이머)|김승현]]을 이겼지만 팀은 2:4로 광탈. [[분류:유영진(프로게이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