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1 유승우[* 2014년 부산 서구청장 출마 이전에는 성을 '유'가 아닌 '류'로 사용했다. 개인 페이스북에도 "유승우"가 아닌 "류승우"로 표기되어 있다.]}}}[br]柳昇佑 | Sung-Woo Ryoo}}}'''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유승우(1964).jpg|width=100%]]}}} || ||<|2> {{{#ffffff '''출생'''}}} ||[[1964년]] [[12월 6일]] ([age(1964-12-06)]세) || ||(정부 직할) 부산시 서구 서대신동 [br](現 [[부산광역시]] [[서구(부산)|서구]] [[서대신동]]) || || {{{#ffffff '''본관'''}}} ||[[전주 류씨]] || || {{{#ffffff '''학력'''}}} ||대신초등학교 {{{-2 (졸업)}}}[br][[영남중학교(부산)|영남중학교]] {{{-2 (졸업)}}}[br][[대동고등학교(부산)|대동고등학교]] {{{-2 (졸업)}}}[br][[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 (국제학[* 국제통상전공] / [[박사]])}}} || || {{{#ffffff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 || || {{{#ffffff '''소속 정당'''}}} ||[include(틀:무소속)] || || {{{#ffffff '''경력'''}}}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소속]] 부산 서구청장 후보[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서·동구 지역위원장[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수권비전위원회 부위원장[br][[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한미 FTA 대책 TF 위원[br][[바른미래당]] 서·동구 지역위원장[br][[바른미래당]] 중앙당 정책위원회 부의장[br][[바른미래당]] 혁신성장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br][[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소속]] 부산 서구청장 후보[br][[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무소속]] 부산 서구청장 후보[br][[동아대학교]] 글로벌금융연구소 특별연구원[br][[동아대학교]] 경영문제연구소 특별연구원[br][[동아대학교]] 외래교수[br][[부산대학교]] 외래교수[br]한국무역통상학회 이사[br](주)웰콤빌트코리아 대표이사 || || {{{#ffffff '''SNS'''}}} ||[[https://www.facebook.com/VILTERCORP/|[[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 [[https://www.youtube.com/c/유승우의 5분경제|[[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학자]]([[Ph.D]] 국제통상학박사)이자 [[기업인]]이다. == 생애 == [[1964년]] [[12월 6일]], [[부산광역시]] [[서구(부산광역시)|서구]]에서 태어났다. 이후 대신초등학교, [[영남중학교(부산)|영남중학교]], [[대동고등학교(부산)|대동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부산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에서 국제통상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 정치 활동 == 2013년 [[안철수]] 의원 신당 창당의 전초기지이자 지지모임인 [[싱크탱크 미래|정책네트워크 내일]](부산내일포럼)에서 활동[* 당시 정치적으로 이름을 알리는 활동은 하지 않았으나, 사실상 정계 입문 시기라고 볼 수 있다.]하며 제3지대 신당창당을 준비했다. 그러나 안철수 의원이 제3정당 창당을 중단하고 민주당과 [[새정치민주연합]] 창당을 선언하자 당에 합류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남았다. 이후 2014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무소속]][* 예비후보 등록 당시에는 무소속으로 등록했으나, [[안철수]] 의원의 3당창당 성사가 유력했기에 본선에서는 창당된 정당으로 출마할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창당이 불발되고 [[새정치민주연합]]에도 합류하지 않으면서 최종적으로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 후보로 부산 서구청장 선거에 출마하였으나 [[새누리당]] [[박극제]]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하지만 정계 입문과 동시에 정당 없이 무소속으로 보수 텃밭[* [[서구(부산)|서구]]는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으로 [[3당 합당]] 이후 부산에서 보수세가 가장 강한 지역이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지방선거]] 당시 부산에서 단 세 곳을 제외하고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 후보들이 기초단체장에 당선되었는데, 그 중 한곳이 서구일 정도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이다. 그마저도 [[기장군|기장]]은 무소속 후보인 [[오규석]]이 당선되었으므로 [[자유한국당]] 후보의 당선 지역은 단 두 곳에 불과하다. 서구를 제외한 나머지 한 곳은 [[수영구]].]인 [[서구(부산)|부산 서구]]에 출마하여 38.92%의 높은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다만, 이 당시 비보수계열 후보가 유승우 후보 하나였고 당시 제1야당이었던 새정치민주연합은 서구청장에 공천하지 않았음을 감안해야한다. 2016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창당에 참여하며 입당했고, 부산 [[서구·동구|서·동구]] 지역위원장을 역임했다. 국제통상 분야에서의 전문성을 인정받아 한미 FTA 대책 TF 위원, 수권비전위원회 부위원장 등의 당직을 맡으며 활동하였다. 이후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바른정당]]과 합당하며 자연스럽게 당적이 [[바른미래당]]으로 바뀌었다. [[바른미래당]] 소속 당시에도 정책위원회 부의장, 혁신성장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등을 맡아 꾸준히 지역구에서 원외 지역위원장으로 활동했다. [[싱크탱크 미래|정책네트워트 내일]]에서 정치활동을 시작했기에 초기에는 [[친안]]계 인물인듯 보였지만,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 지역위원장 시절과 [[바른미래당]] 시절까지 [[안철수]] 대표를 비판하는 목소리를 계속해서 내며 특정 계파에 치우치지 않은 인물로 평가됐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바른미래당]] 소속으로 예비후보 등록을 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무소속으로 다시 한번 출마했다.[* [[바른미래당]] 단수 후보로 예비 후보 등록을 하고 선거 운동까지 하고 있었으나, 아이러니하게도 공천 심사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당시 지역위원장을 맡고 있었고 이전 선거에서 40% 가까이 득표한 인물의 공천 여부를 중앙당에서 고민했다는 것 자체가 의문이다. ][* 당시 [[바른미래당]] 정당 지지율인 5%대에 선거 결과인 6.4%를 더하면 [[바른미래당]] 소속 부산 기초단체장 후보들 중 최다 득표를 기록할 수도 있었다. 물론 이는 산술적인 계산이고 무소속으로 출마하였다해도 바른미래당 후보로 인식되었다면 정당지지율이 개인지지율로 이미 흡수된 결과가 6%일수도 있는거다. ] 결과는 [[자유한국당]] [[공한수]] 후보에게 밀려 3위로 낙선하였지만, 당시 완강한 양당구도 속에서도 정당 없이 6.35%를 기록하며 정당 지지자가 아닌 순수 후보 지지자로만 상당한 지지를 받았다. 선거 이후 별다른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았고, 탈당 이후 아직까지 당적이 없기에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차기 지방선거]] 예상 출마 후보군을 다루는 언론사 기사에 주요 후보로는 언급되지 않고 있다. 하지만 강한 지역 기반과 정치인으로서 긍정적인 이미지 등을 볼 때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다음 지선]]에 다시 한번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예상대로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 부산 서구청장 후보로 출마하였다. 하지만 전국적으로, 특히 부산에서 구청장, 시의원을 모두 석권할 정도로 [[국민의힘]] 바람이 거세게 불어 4.32%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7회 지선에 비해 득표율이 더 떨어졌다. 다만 일각에서는 지역 내 개인 인지도와 지지율을 굳힌 의미 있는 결과라는 해석도 있다. == 논문 == * 《부산경남의 외국인직접투자 결정변수에 대한 비모수 검증》. 무역통상학회지. 2013.03 [[https://www.earticle.net/Article/A196594|#]] * 《외국인투자와 수출이 성장에 미치는 효과분석: 브릭스패널을 중심으로》. 경제연구. 2014.04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060441|#]] * 《외국인직접투자의 부산경제파급효과 분석 - 기업재무자료를 활용산 패널분석 - 》. 무역통상학회지. 2015.09 [[https://www.earticle.net/Article/A254392|#]] * 《현행 경마제도 전환에 따른 유발효과분석 - 개방형마주제와 외부마사제 도입을 중심으로 - 》. 제도와 경제. 2015.11 [[https://www.earticle.net/Article/A257867|#]] * 《부산지역 재생폐기물을 이용한 전력(發電)과 차량용(車輛用) 바이오(Bio)연료생산의 경제적 파급효과 및 경제성분석》. 경영연구. 2016.0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112563|#]] * 《마분(馬糞) 바이오에너지화 설비로 발생되는 경제효과 분석: 발전과 차량용 연료(CNG) 생산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017.08 [[https://www.earticle.net/Article/A312010|#]] * 《중국지역균형발전전략에 미치는글로벌 FDI 특성에 관한 연구: 중국주요도시별 한국FDI 특성을 중심으로》. 무역학회지. 2018.08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44183|#]] * 《외국인투자가 탄소배출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패널 VAR 모형을 이용한 분석》. 무역학회지. 2019.02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624615|#]] * 《전력부문 외국인 투자(FDI)가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 미치는 장, 단기적 영향분석: 패널백터오차수정모형을 이용한 분석》. 무역연구. 2019.02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9236218|#]] * 《부산지역 산학협력 지역혁신 센터조성사업(RIC)이 중소기업 경영에 미친 성과분석: 동아대학교 고기능성밸브 기술지원 센터 연구개발성과분석을 중심으로》. 경영컨설팅연구. 2020.02 [[https://www.earticle.net/Article/A371036|#]] * 《지역별 에너지부문 외국인투자유치가 신재생에너지 생산과 탄소배출량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역별 국내외국인직접투자(Inward FDI)를 중심으로 》. 무역통상학회지. 2020.10. [[https://www.earticle.net/Article/A384176|#]] * 《The Impact of Goal Relevance and Symbolic Relevance of a Brand on Islamic Identity and Royalty》. 전문경영인연구. 2020.12 [[https://www.earticle.net/Article/A387670|#]] * 《Analyzing the Impact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Renewable Energy Production and Carbon Emissions by Using Panel VECM and VAR Models》. 무역연구. 2020.12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673261|#]] *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무역기조와 한국의 대응방안: 한국의 RCEP 가입과 미국의 TPP 복귀 시나리오 중심으로》. 무역통상학회지. 2020.12 [[https://www.earticle.net/Article/A388818|#]] == 방송 == ||
{{{#fff '''일시'''}}} || {{{#fff '''방송사'''}}} || {{{#fff '''프로그램'''}}} || {{{#fff '''회차'''}}} || || 2019/01/25 ||<|2> [[KBS부산방송총국|[[파일:logo-region-busan.png|height=12&bgcolor=#fff]]]] ||<|2> K 토크 || 95회[* 부산 제조업 부활, 가능한가?] || || 2019/08/16 || 119회[* 日무역 규제, 부산 경제 영향은?] || == 소속 정당 == || '''{{{#fff 소속}}}''' || '''{{{#fff 기간}}}''' || '''{{{#fff 비고}}}''' || || [include(틀:무소속)] || 2013 || 정계 입문 || || [include(틀:새정치연합)][br]([include(틀:무소속)]) || 2014 || 창당준비위원회 || || [include(틀:무소속)] || 2014 - 2016 || 신당 합류 거부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 - 2018 || 입당 || || [include(틀:바른미래당)] || 2018 || 합당[* [[바른정당]]과 신설 합당.] || || [include(틀:무소속)] || 2018 - 현재 || 탈당[* [[#s-3|3문단]] 참조] || == 선거 이력 == ##당 내부 선거가 아닌 대한민국 선출직 공직자 선거 결과만 기록한다. ||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 2014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3> 부산 서구청장 ||<|3> [include(틀:무소속)] || 21,229 (38.92%) || 낙선 (2위) || || || 2018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3,434 (6.35%) || 낙선 (3위) || || || 2022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 1,986 (4.32%) || 낙선 (3위) || || || {{{#fff '''역대 선거 벽보'''}}} ||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유승우 벽보.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유승우 벽보.png|width=100%]]}}} || ||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구(부산)|{{{#000000,#fff (부산 서구청장)}}}]]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구(부산)|{{{#000000,#fff (부산 서구청장)}}}]]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유승우 벽보.jpg|width=100%]]}}} || ||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000000,#fff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구(부산)|{{{#000000,#fff (부산 서구청장)}}}]] ||}}}}}}}}} || [[분류:대동고등학교(부산) 출신]][[분류:서구(부산) 출신 인물]][[분류:1964년 출생]][[분류:부산대학교 출신]][[분류:무소속 정치인]][[분류:학자 출신 정치인]][[분류:기업인 출신 정치인]][[분류:대한민국의 남성 정치인]][[분류:전주 류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