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승안의 수상 경력 / 역임 직책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br] [[파일:Eagles_Champion_v1.png|width=auto&height=100]][br]'''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코치}}}''' || || '''[[1999년 한국시리즈|{{{#ffffff 1999}}}]]''' || ---- ||
[[파일:2008 베이징 올림픽 로고.svg|width=auto&height=70]][br] '''2008 베이징 올림픽 야구 종목''' '''{{{#d4af37 금메달(코치)}}}''' || || '''[[김경문호/2008년|{{{#FFFFFF 2008}}}]]''' ||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지명타자)] ---- [include(틀:KBO 골든글러브/포수)] ---- || [[KBO 리그 역대 타이틀홀더#s-1.4|[[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width=150]]]][br] '''{{{#ffffff 1989 KBO 리그 타점왕}}}''' || ---- [include(틀:한화 이글스 주장)] ---- [include(틀:한화 이글스 2군 감독)] ---- [include(틀:한화 이글스 감독)] ---- ||<-5> '''{{{#ffff00 [[MBC 청룡|'''{{{#ffff00 MBC 청룡}}}''']] 등번호 22번}}}''' || || 팀 창단 || {{{+1 →}}} || '''{{{#ffff00 유승안[br](1982~1983)}}}''' || {{{+1 →}}} || [[차동열]][br](1984~1991)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12번}}}''' || || 홍순만[br](1982~1985) || {{{+1 →}}} || '''{{{#ff0000 유승안[br](1984)}}}''' || {{{+1 →}}} || 최상주[br](1985~1988) || ||<-5> '''{{{#fff [[해태 타이거즈|'''{{{#ffffff 해태 타이거즈}}}''']] 등번호 24번}}}''' || || 최영조[br](1982~1983) || {{{+1 →}}} || '''{{{#ff0000 유승안[br](1985)}}}''' || {{{+1 →}}} || 김경호[br](1986) || ||<-5> '''{{{#ffffff [[빙그레 이글스|{{{#ffffff 빙그레 이글스}}}]] 등번호 24번}}}''' || || 팀 창단 || {{{+1 →}}} || '''{{{#ffffff 유승안[br](1986~1991)}}}''' || {{{+1 →}}} || [[정진식(야구)|정진식]][br](1994~1997) || ||<-5> '''{{{#ffffff [[한화 이글스|{{{#fff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89번}}}''' || || [[김용남(야구)|김용남]][br](1990~1992) || {{{+1 →}}} || '''{{{#ffffff 유승안[br](1994~2000)}}}''' || {{{+1 →}}} || 결번 || || 결번 || {{{+1 →}}} || '''{{{#ffffff 유승안[br](2003~2004)}}}''' || {{{+1 →}}} || [[김호근]][br](2006~2009)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유승안 감독.jpg|width=100%]]}}} || ||<-2> '''{{{+2 유승안}}} [br] 柳承安 | Yu Seung-An''' || ||<|2> '''출생''' ||[[1956년]] [[6월 1일]] ([age(1956-06-01)]세) || ||[[경기도]] [[여주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경동고등학교 야구부|경동고]] - [[목원대학교|목원대]][* (사회체육학 학사)] - [[목원대학교|목원대]] 대학원[* (스포츠과학 석사)] || || '''포지션''' ||[[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입단''' ||1982년 [[MBC 청룡]] 창단멤버 || || '''소속팀''' ||[[한일은행 야구단]] (1975~1976, 1980~1981) [br] [[MBC 청룡]] (1982~1983) [br] [[해태 타이거즈]] (1984~1985) [br] '''[[빙그레 이글스]] (1986~1991)''' || || '''지도자''' ||[[한화 이글스]] 1군 타격코치 (1994~1997)[* ~5월 29일][br][[한화 이글스]] 1군 배터리코치 (1997~1998)[* 5월 30일~][br]'''[[한화 이글스]] 1군 수석·배터리코치 (1999)''' [br] [[한화 이글스/2군|한화 이글스 2군]] 감독 (2000)[br][[한화 이글스]] 1군 수석코치 (2000) [br] [[한화 이글스]] 감독 (2003~2004) [br] '''[[경찰 야구단]] 감독 (2009~2019)'''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벤치코치 (2008) || || '''프런트'''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전력분석원 (2006) || || '''해설위원''' ||[[KBS]] 라디오 야구 해설위원 (1992~1993) || || '''경력''' ||[[한국야구위원회|KBO]] 경기운영위원 (2005~2008) [br] [[한국야구위원회|KBO]] 상벌위원 (2006~2008) [br] [[한국야구위원회|KBO]] 기술위원 (2007~2008) [br] [[한국야구위원회|KBO]] 규칙위원 (2008)[br]한국리틀야구연맹 회장 (2021~) || ||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육군 경리단]] (1977~1979) || || '''본관''' ||[[진주 류씨]] 토류계[* 진주 류씨 토류계 계참판공파 28세손 '承'자 항렬이다. ] || || '''가족''' ||배우자 [[이금복]]^^(1955~1999)^^[* 드라마 [[수사반장(드라마)|수사반장]]에 출연한 배우다.][br]장남 [[유원상]], 차남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 장녀[* 아내와 사별 후 두 번째 아내 사이에서 얻은 딸이다.],[br]조카 [[유근상]], 조카 [[유재상(야구선수)|유재상]], 손녀 유다온 || || '''종교''' ||[[개신교]][* 그래서인지 학, 석사학위를 감리교 미션스쿨인 목원대학교에서 취득했다.] || [목차] [clearfix] == 개요 == 전 [[한화 이글스]], [[경찰 야구단]]의 감독 현 한국리틀야구연맹 회장. 야구선수 [[유원상]],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의 아버지로 별명은 '대감',[* 과거 [[PC통신]] 내 [[한화 이글스]] 게시판에서의 ID가 '대감'이었다.] '유대갈', '[[원소(삼국지)|원소]]'.[* 유'[[원상]]' 아버지니까. 단, 유원상의 동생 이름은 [[원담]]도 [[원희]]도 아닌 '[[유민상(야구선수)|민상]]'이다.] == 선수 경력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지명타자|'''{{{#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지명타자 부문 수상자 (1987)}}}''']] || ||<#182132> [[KBO 골든글러브|[[파일:KBO 골든글러브 로고.svg|height=40]]]] [br] [[틀:KBO 골든글러브/포수|'''{{{#b58a5d KBO 골든글러브}}} {{{#ffffff 포수 부문 수상자 (1989)}}}''']] || [[파일:/20160804_46/naver_sports_1470274540524lp86c_JPEG/mug_obj_147027454790243817.jpg]] 1975년부터 [[한일은행 야구단]]에 입단한 이후 포수 최초로 홈런 1위[* 1977년 실업야구 페넌트레이스. 같은 해 전설적인 7관왕을 차지한 [[김재박]]과 공동으로 홈런 1위를 기록했다.]를 차지한 원조 공격형 포수로, 프로야구 출범과 함께 [[MBC 청룡]]에 합류했다. 1982년 3월 27일 [[삼성 라이온즈]]와의 프로야구 원년 개막전에서도 선발 포수로 출장하여 [[전두환]] 대통령의 시구를 받았고, 특히 7:4로 뒤지던 7회말 3점 동점 홈런을 날려 승부를 연장전으로 끌고 가는 수훈을 세웠다. 하지만 10회 1사 2, 3루의 끝내기 찬스 상황에서 3B 0S의 유리한 상황에서 상대 구원 투수 [[이선희(야구)|이선희]]의 바깥쪽 볼을 무리하게 타격했다가 투수 앞 땅볼로 3루 주자 [[김인식(1953)|김인식]]이 홈에서 아웃당했다. 이 에피소드 때문에 원년 개막전에서 유승안은 '7회말 동점 홈런'보다 '연장전에서의 과욕'으로 기억되고 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유승안은 [[백인천]] 감독의 눈밖에 나 이듬해까지 경기 출장에서 많은 손해를 봤다. 당시 유승안의 타격은 [[백인천]] 감독의 대기 신호를 무시한 결과였고, 유승안의 고교 선배이자 청룡 입단의 은인이었던 백인천은 이 일로 유승안에게 단단히 실망했다는 후문이다. 당시 출범 개막전 수훈선수에게 주는 부상인 오토바이에 눈독 들이다가 그랬다는 이야기도 있다(...). 결국 오토바이는 끝내기 만루 포의 주인공 [[이종도]]에게 돌아갔고 이날 프로 출범 1호 타점과 홈런을 기록한 [[이만수]]는 등나무 가구 세트를 받았다. 1983년 시즌 후, [[해태 타이거즈]]로 트레이드 되어 [[김무종]]의 백업포수 역할을 맡았고 1984년 5월 5일 [[방수원]]의 KBO 역사상 첫 [[노히트 노런|노히터 게임]] 당시 해태 포수였다. 1986년 1군 참가를 앞둔 [[빙그레 이글스]]에 트레이드 되었다. 빙그레 시절에는 팀의 4번 타자 겸 포수를 맡으며 공수양면에서 활약, 약체 빙그레의 상위권 도약에 큰 기여를 했다. 이와 함께 1987년 [[지명타자]] 부문 [[KBO 골든글러브]], 1989년 타점 1위와 포수 부문 골든글러브를 수상하는 기쁨을 맛보기도.[* 참고로 포수 골든글러브는 한화 구단에서 유일한 수상자가 유승안이다. 그 만큼 유승안이 선수로서 남긴 족적이 크며, 한화가 S급 포수 육성에 성공하지 못 했음을 보여주는 반례이다.] 다만 1989년 타점 1위는 [[김영덕]] 감독의 노골적인 밀어주기 때문에 저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1, 3루에서 후속타자 안타 때 3루 주자가 홈으로 들어오지 않고 유승안 앞에 만루 밥상을 차려준 적도 있다. 그런데 이건 당시 유승안과 홈런, 타점왕 경쟁을 벌이고 있던 김성한의 해태도 마찬가지여서 유승안이 나오면 고의사구로 거르거나, 김성한을 만루 찬스에서 대타로 출장시키기도 했다.] 다만 김종건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김영덕 감독의 말에 따르면, 이것은 유승안이 타점을 올릴 때마다 주자들에게 용돈을 줘서 인심을 잃지 않았고, 후배들이 그런 유승안을 위해 도와준 일이었다고 하며, 본인이 지시한 일은 아니라고 해명했다. 당시 [[장종훈]]과 매년 누가 홈런 많이 치나 돈내기를 했는데, 처음엔 자기가 장종훈에게서 갈취(?)하는 구도였다가, 나중에는 점점 자기가 내주는 걸로 역전되자 두손을 들고 그만두었다는 후문. 빙그레 시절 보기 드문 장면을 연출하였는데, 1987년 9월 9일 잠실 빙그레-MBC 전에서 유승안은 1-2로 뒤진 9회초 1사이후 좌중간으로 장타를 때렸다. 이때 타구가 홈런처럼 보였지만 타구가 펜스 상단을 맞고 그라운드 안으로 들어오고 홈런인줄 알고 여유를 부리던 유승안은 타구를 보고서 간신히 2루까지 달려간 뒤 두 손을 무릎에 대고 허리를 구부린 채 한숨을 쉬는데, MBC [[김재박]]이 릴레이한 볼이 유승안을 향했다. 그런데 유승안은 이 공을 피하지 않고 '''머리로 받아버렸다.''' 유승안이 머리로 들이받은 공은 1루 벤치 쪽으로 갔으며 그 틈에 유승안은 3루까지 내달렸다. 이 직후 바로 MBC [[유백만]] 감독대행은 아웃시켜야 한다고 어필했고 곧 이어서 빙그레 [[배성서]] 감독도 나와 3루에 가야 하고 아니라면 아웃이라고 어필했다. 이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이규석 심판[* KBO 최고의 명심판이라고 불리는 심판위원]을 비롯한 심판들이 모여 합의를 했는데, 심판은 관례를 깨고 유승안에게 고의로 그랬냐고 물었는데 이때 유승안은 '''"그것도 기술인데, 뭐 어때요."'''(...) 로 대답했다. 결국 심판진은 고민 끝에 합의로 3루에 있던 유승안을 2루로 돌려보내며 일단락되었다. 다만 이 행위는 지금도 그렇지만 당시에도 야구 규칙에 이미 명백히 명시된 [[수비방해]][* 한국 프로야구 규정 내 이 항목자체는 "주자 아웃" 항목을 따로 만들어놓고 있지만(수비방해 항목에는 병살쪽 수비방해만 써 있다), 주자의 인정아웃 자체가 수비방해에 주어지는 것이다. 주자는 수비수들의 수비행위를 고의로 방해해서는 안된다. 주자가 송구를 건드린 행위에 대해 "그것도 기술"이라고 주장한 이상(물론 이런 말을 안해도 심판이 고의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이는 고의가 명백하며, 야구 규칙상 고의로 수비방해를 하면 아웃판정을 받는다.(물론 고의가 아니어도 수비방해로 판정받는 행위들도 있는데, 이쪽은 별개다.) 심지어 야구규정에는 "정당한 주로를 달리는 주자라도 고의로 수비를 방해한다고 판단된다면 아웃"(예를 들어 뛰면서 팔을 허공에 휘젓거나 하면서 날아오는 송구를 건드리는 행위, 주로 근처의 야수를 고의로 밀어서 넘어뜨리거나 움직이게 하는 행위 등)이라고 써 있다. 아니면 아예 유승안의 고의성을 인정하지 않고 3루까지 보내는 형태의 판정도 있다. 어찌되었건 2루는 있을 수 없는 판정이다.]라는 반칙행위였으므로 이 판정은 명백한 오심[* 빙그레 감독 말대로 수비방해 아웃을 시키거나 수비방해 아니라는 판정으로 3루에 보냈어야 했다. 이 상황의 인정 2루는 전세계 야구 규정상 없는 판정이다. 절대 있어서는 안되는 판정이었다.]이었고, 결국 KBO는 추후 당시 심판 4명에게 벌금 4만원을 선고했다. == 지도자 경력 == 그 후 북일고 출신 [[김상국]]과 1991년 입단한 또 다른 북일고 출신 [[양용모]]에 밀려 1991년 시즌 후 유니폼을 벗었으며, 이후 KBS 라디오 해설위원을 거쳐 1994 시즌 [[강병철]] 감독 부임과 함께 한화의 코치로 영입되다. 1999년에는 [[이희수(야구)|이희수]] 감독이 심판 폭행 사건으로 12경기 출장 정지 징계를 받는 사이 감독대행으로 한화를 이끈 바 있다. 2000년에는 2군 감독을 지냈고, 2001년 [[이광환]] 감독 부임과 동시에 [[미국]]으로 2년 간 연수를 떠났다. 2003년에 복귀하여 2년 간 [[한화 이글스]] 감독을 맡게 된다.[* '''[[한화 이글스|빙그레-한화 이글스]] 선수 출신 지도자가 이글스 감독에 오른 최초의 사례.''' 이 때문에 당시의 감독 선임 건이 [[한화 이글스]] 구단 역사상으로는 상당히 의미 있는 일이었다.] 2008년 말부터 [[김용철(야구)|김용철]]의 뒤를 이어 해체할 때까지 [[경찰 야구단]]의 2대 감독으로 재직했다. [[PC통신]] 시절부터 팬들과 활발하게 교류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 초고속 인터넷이 대중화 되기 전부터 이미 도메인을 보유하고 개인 홈페이지를 운영하고 있었을 정도로 시대를 앞서간 면도 있었다.[* eagles.co.kr 도메인이 그의 소유였다. 인터넷 아카이브에서 당시의 흔적을 열람해볼 수 있다.] 해외 연수 시절 당시 감독이던 [[이광환]]의 용병술을 유승안 본인의 홈페이지에서 간접적으로 까기도 했는데, 이미 후임 감독이 유승안으로 사실상 내정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던 [[이광환]] 감독은 2002 시즌 후반에는 거의 [[태업]]에 가까운 팀 운영을 했으며 시즌이 끝나자마자 [[김성근]]의 뒤를 이어 [[LG 트윈스]]로 자리를 옮기게 된다. 그리고 그 후임자인 유승안이 이끄는 한화는 2003년 이광환의 LG에게 11승1무7패의 우위를 보이며 아깝게 포스트시즌을 놓치기는 했지만, 5위로 2계단 상승하며 LG의 윗자리를 차지하였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529&aid=0000011655| 한화 감독 선임, '모그룹 최종 승인만 남았다' ]] 2017년 시즌 중 [[한화 이글스]]의 [[김성근]] 감독의 퇴단 이후 차기 감독 하마평에 오르기도 했지만 [[빙그레 이글스|이글스]] [[한화 이글스|프랜차이즈]] [[원 클럽 맨]]이자 [[두산 베어스]] 코치였던 [[한용덕]]이 감독으로 선임되면서 없던 일이 됐다. 그리고 한용덕이 물러나고 최원호는 정식감독 승격이 어려운 상황에서 다시 하마평에 [[수베로]]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가 2군 감독인 [[최원호]]가 감독이 되었다. 전반적으로 지도자들의 세대가 70년대생으로 변화해가는 추세인 만큼, 칠순을 바라보는 유승안의 1군 감독 복귀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2003 시즌 === 2003 시즌 2년 계약으로 야심차게 감독 자리에 올랐으나, 감독 부임 후 첫 스프링캠프를 구단의 독단으로 해외가 아닌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치르는 곤욕을 겪었다. 당연히 훈련 효과는 미미했고 쌀쌀한 날씨 탓에 부상 선수가 속출하는 등 출발부터 삐그덕거리기 시작했다. 여기에 [[정민철]], [[송진우(야구)|송진우]]의 부진까지 겹쳤지만 [[FA로이드|FA]]를 앞둔 [[이상목]]이 커리어 하이인 15승을 올렸고, [[김태균]]이 전년도의 [[소포모어 징크스]]를 완벽히 극복하며 대활약을 펼쳤다. 팀은 초반에 부진한 여파로 인해 시즌이 끝나갈 때까지 6위에 머물렀으나[* 당시 7, 8위인 [[두산 베어스|두산]]과 [[롯데 자이언츠|롯데]]는 시즌 초반부터 2할대~3할대 초반 승률을 기록하는 등 팀이 완전히 풍비박산나버렸다. 짠돌이로 악명 높은 두 구단이라 언론에서는 두 구단의 행보를 하루가 멀지 않고 질타했다.], DTD한 LG를 제치고 5위로 올라섰고 시즌 막판 11승 1패라는 무서운 상승가도를 달리며 SK에 단 하루동안 앞선 4위를 했다. 그러나 바로 다음 날 두산에 고추가루를 맞았고 5위로 굴러떨어졌고 SK와의 맞대결에 패배해 결정타를 맞았다. 결국은 안타깝게 5할 가까운 승률에 4위와 2게임 차 5위를 기록, 구단의 미비한 지원에도 불구하고 초보 감독 치고는 무난한 첫 시즌을 보냈다고 평가할 수 있겠으나... 문제는 이듬해였다. === 2004 시즌 === 이듬해에는 [[두산 베어스]]와의 경기에서 병살을 노려 내야에 5명을 세우고 외야에 두 명만 세우는 [[수비 시프트]]를 펼쳤다. 그러나 결과는 2루타로 인한 싹쓸이... 그래도 시즌 중반까지는 나름대로 5할 승부를 했으나, 투수진이 완전히 무너져버려서[* 정민철은 0승 7패 평균자책점 7.67을 찍으면서 최악의 한 해를 보내 은퇴해야 된다는 여론이 많았고, 문동환은 4승 15패를 했다.] 8월 이후 팀은 [[답이 없는 한화의 수비|야구 대신 개그를 하게 된다.]] 결국 4강 싸움을 하던 팀이 단 두 달만에 전설의 꼴데한테 단 반 경기차 앞선 7위로 떨어져버렸다. 롯데와의 상대 전적도 6승 1무 12패.[* 참고로 8888577시절 한화는 2004년만 빼고 롯데를 탈탈 털었다. 특히 [[김인식]]시절인 2005~07에는 '''38승16패'''를 기록하였다.] 박기혁한테 두 번이나 인사이드 더 파크 홈런을 허용한 건 덤이다. 결국 시즌 종료 후 계약이 만료되었고 재계약에 실패하면서 물러났다. 다만 성적은 7위였지만 1,2위팀인 현대와 삼성에게 각각 9승10패, 9승1무9패로 완벽하게 대등한 경기를 펼치기도 했다. 문제는 압도적인 우세를 점한 팀 없이 두산 KIA '''롯데'''한테 먼지나게 털렸다는 것. SK를 상대로 유일하게 10승9패로 우세했는데 이게 2016년 전까지 한화가 SK를 상대로 우세를 거둔 마지막 시즌이다. 이듬해 아들 [[유원상]]이 계약금 5억 5천만원에 [[한화 이글스]]의 1차 지명을 받아 입단하면서 아버지 퇴직금이라는 드립이 난무하기도 했다. 야심차게 영입했던 용병 [[엔젤 페냐]]가 3루에서 만족할 만한 활약을 보여주지 못했으며, 대체 용병으로 영입한 [[에디 디아즈]] 역시 전년도에 [[SK 와이번스]]에서 보여 주었던 만큼의 실력을 발휘하지 못한 채 [[멘도사 라인]]에서 허덕였다. 또한 전년도 실질적 에이스였던 이상목은 FA 계약으로 [[롯데 자이언츠]]로 떠났으며, 정민철은 1승도 올리지 못하는 최악의 시즌을 보냈고, 프랜차이즈 스타인 [[송지만]]을 [[현대 유니콘스]]에 내주면서까지 영입한 클로저 [[권준헌]]이 상반기까지는 만족할 만한 성적을 올리며 뒷문을 잠궈주었으나 7월 말 팔꿈치 부상으로 시즌 아웃당하고 선발 로테이션을 돌며 8승을 거둔 신인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도 8월에 팔꿈치 부상으로 시즌아웃이 되는 등 전반적으로 전력이 약화되어 순위가 추락하고 말았다. 9월에는 프로야구판을 뒤흔든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에 주축 선수들이 다수 연루되는 사태를 겪으며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7위로 시즌을 마감하여 결국 재계약에 실패했다. ~~그러나 그 댓가로 [[류현진]]을 2차 1순위 전체 2순위로 지명할 수 있었다~~ 첫 부임 때의 패착에서 교훈을 얻은 듯, 이번에는 구단에서 스프링캠프도 제대로 보내주고 [[송창식(야구선수)|송창식]], [[김창훈(1985)|김창훈]] 등 거물 신인들을 영입하였으며, 계약 마지막 해로 팬들의 성적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진 상황에서 생각만큼 성적이 나오지 않자, 감독의 선수 기용을 비난하는 여론이 구단 홈페이지와 팬카페에 들끓기 시작한다. 일찌감치 개인 홈페이지를 운영했을 정도로 인터넷 문화에 익숙했던만큼 구단 홈페이지 채팅방에서 팬들과 대화를 나누기도 하였으나 쉽게 여론이 진정되지 않자, 비난 여론을 주도했던 몇몇 팬들을 직접 지목하며 오프라인에서 만나서 ~~현피~~대화의 자리를 갖자는 제안을 하기에 이르렀고, 급기야 5월 30일 대전구장 근처에서 스무명 가량의 팬 대표들과 비공개 만남이 성사되었다.[* 정작 그가 지명했던 사람들 상당수는 일방적으로 정해진 일정이라며 반발하여 불참하였고, 비교적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진행되었다는 후문.] 이 당시 팬들의 불만 중 상당 부분은 노장인 [[송진우(야구)|송진우]]를 혹사한다는 데에서 기인하였는데, 이에 대하여 그가 남긴 '송진우는 흑인같이 몸이 유연하다'(…)는 해명은 지금까지도 회자되는 ~~인종차별급~~ --이 아니라 인종버프 아니냐-- 명대사이다. === 지도자로서의 평가 === [youtube(nuKTgo0G4MI)] 일명 '[[유승안 시프트]]'라고 불리는 ~~전설의~~ 5내야수 [[수비 시프트]][* 개그 포인트는 어떻게 해서든지 포장을 해보려는 하일성 해설위원. ~~그렇게 전설로 묻히나 했지만 [[이만수/2013년#s-2.1|2013년에 또다시 등장했다]]~~] 내야수를 5명으로 포진시키는 [[수비 시프트]]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서도 [[마이크 소시아]]를 비롯한 몇몇 감독들이 실제로 행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 시프트는 9회 이기고 있는 상황에서 상대팀 주자가 출루했을 때 땅볼로 병살타를 유도해 경기를 끝내기 위해서 하는 것이지, 지고 있는 상황에서 추가점을 더 내주지 않게 하려고 쓰진 않는다. 이 시프트와 앞서 서술한 네티즌 놀이는 그를 감독계의 [[개그 캐릭터]]로 등극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유승안 본인은 자기가 시프트를 쓰고 난 뒤 유소년 야구에서 학습을 목적으로 이 시프트를 사용하는 등 긍정적인 효과도 있다고 주장했는데, 진실은 저 너머에(…). 다만 [[대한민국]]에서는 쓰이지 않던 새로운 시프트를 사용했다는 것에 대해선 높게 평가하는 인물들도 있다.[* [[이만수]] [[SK 와이번스]] 감독이 2013 시즌 시범경기 넥센 히어로즈 전에서 똑같은 수비시프트를 선보이기도 했다. 다만 그 경기는 투수 밀어내기로 패배... 시즌에 들어선 이후로도 이따금씩 선보였다만 어째 하나같이 결과가 영 좋지 않았다. 예를 들면 NC와의 경기에서 끝내기 스퀴즈 번트.] 감독으로 재임하고 있는 [[경찰 야구단]]에서도 이 시프트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2013년 3월 28일 [[LG 트윈스]]와의 연습경기에서도 똑같은 5인 내야 시프트를 선보였다. 한화 감독 시절 상술한 어이없는 작전을 종종 시전해 패배를 자초했고, 그로 인해 불로장생할만큼의 욕을 먹었지만 후임 --킬인식--[[김인식]] 감독이 팀을 노령화시킨 것과 [[한화 이글스]] 프런트의 고질적인 운영 미숙[* 신인지명 4라운드까지만 하기, 2군 구장 건립 지연, 투자 미비, 유망주 군대 안 보내기 등] 등이 참작되면서, 이글스 팬덤에서는 재평가의 조짐이 보이고 있다. [[문동환]]을 부활시키고, [[이범호]], [[최진행]], [[신종길]] 등을 발굴하는 등 [[백인천|고교 선배]]처럼 완전히 [[롯데 자이언츠|팀]]을 [[8888577|암흑의 구렁텅이]]로 처박지는 않았기 때문. 거기다가 라이벌 [[상무 피닉스 야구단]]에 비해 약체로 평가받았던 [[경찰 야구단]]의 감독을 맡은지 세 번째 시즌만에 [[한국프로야구 퓨처스리그|퓨처스리그]] 우승으로 이끌었으며, 또한 경찰청을 거쳤던 타자들, 특히 야수([[민병헌]]) 및 포수들이(가장 최근의 예로 [[양의지]]나 [[최재훈(야구선수)|최재훈]]) 전역 후 괴물같은 상승세를 보인 것 또한 재평가의 요인이기도 하다. 이로써 2009년부터 [[경찰 야구단]]의 사령탑을 맡은지 10년만에 역사속으로 사라지게 된다.[* 2019년 6월 30일 [[벽제 야구장]] [[두산 베어스]] 홈 경기를 마무리를 끝으로 2019년 7월 9일 [[서산 야구장]] [[한화 이글스]] 경기를 통해 막을 내렸다.] 반면 [[김인식]]에 대한 반감으로 인해 주목받기는 해도, 결과론적으로 그가 감독 시절 본인의 본분인 '성적'과 '팀 육성'의 균형을 잡는 데에 실패한 건 사실이라 지나친 띄워주기란 시각도 있으며, 어찌보면 재임 시절이 워낙 프로야구 인기가 바닥을 칠 때였고 그 중에서도 특히 비인기 구단이었던 한화의 당시 막장 상황을 모르는 초보 팬들이 많아졌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즉, 성적을 내는 것에 있어서는 호불호도 갈리고 비판도 많지만 육성에 있어서만큼은 입을 모아 좋은 평가를 받는 감독. 후에 경찰 야구단을 다녀와서 만개한 선수들이 쌓여감에 따라 이런 평가는 더욱 강화되었다. 아울러, 엽기적이고 이상한 아집, 늙은 선수들을 좋아하지 않는 점, 경동고, 포수, MBC 출신, 서북식 발성과 발음 등은 [[백인천]] 감독과 똑같은데, 늙은 선수들을 좋아하지 않는 점, 한일은행 출신 등에서 [[강병철]] 감독과도 비슷하다. 다른 점이 있다면, [[강병철]] 감독의 경기 운영이 너무 뻔하고 틀에 박혀 있었던 것에 비해 흥미와 볼거리를 확실히 줬다는 점에서 [[백인천]] 감독의 경기 운영과 거의 비슷하다. '''사실 까이던 이유는 [[유원상|따로]] 있다(…)'''. == 여담 == * 감독 해임 후 KBO 경기운영위원으로 임명되어 활동하던 중, 2006년 5월 [[하일성]]이 KBO 사무총장으로 임명되고 후임자인 [[이용철(야구)|이용철]]이 카메라에 대고 [[뻑큐|손가락 욕설]]을 하는 사건으로 출연을 못하게 되는 바람에 갑자기 KBS 지상파 해설자 자리가 공석이 되자, 과거 KBS 라디오 해설을 했었던 인연으로 5월 21일 두산-한화 잠실 경기([[류현진]] 선발 경기)에 땜방을 맡게 되었다. 허나 심판들의 관리감독을 해야하는 [[하라는 공부는 안 하고|경기운영위원이 하라는 감독관 일은 안 하고]] 자리를 비우고 부업을 했다는 이유로 언론으로부터 까이면서 개그 이력서에 한 줄을 더 추가하게 된다. * [[KBO 리그]]에서 처음으로 [[노히트 노런]]을 2번 경험한 포수이기도 하다.[* 이후 두 명의 포수가 이 기록을 다시 한번 작성하는데, 1997년 [[정민철]], 2000년 [[송진우(야구)|송진우]]의 노히트 노런때 호흡을 맞춘 [[강인권]], 그리고 [[유네스키 마야]]와 [[마이클 보우덴]]의 노히트 노런때 호흡을 맞춘 [[양의지]]다. 재밌는 점은 이 둘 모두 선수시절 중간에 지도자로 재직하던 유승안에게 가르침을 받은 적이 있다.] 1984년 5월 해태의 [[방수원]]이 프로 1호 노히트 노런을 기록할 때 유승안이 마스크를 썼었고, 1988년 4월 빙그레 [[이동석(야구선수)|이동석]]의 노히트 노런때도 선발 포수였다. 이때 상대팀 선발이 다름아닌 해태의 [[선동열]]. 그런데 유승안이 그날 경기 전에 선수들에게 "오늘 ([[선동열]] 나오는데) 질 게 뻔하다. 만약 오늘 이기면 내가 집을 팔아서라도 너님들한테 10만원씩 돌리겠다"라고 했다가 그냥 이긴 것도 아니고 노히트 노런으로 이기는 바람에 실없는 사람으로 몰릴 지경에 이르렀다. 결국 코치이던 [[강병철]]이 "상조회에 10만원 내는걸로 퉁치자"고 중재해 주긴 했지만. 참고로 유승안은 선동열에게 통산 첫 만루홈런을 치는 등 선동열에게 강했다. * 은퇴 직후 [[대전광역시|대전]] 지역 교수, 사업가들과 함께 억대 도박 사건에 연루되어 수배자 명단에 올랐던 [[흑역사]]가 있다.[[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10900209223010&edtNo=2&printCount=1&publishDate=1992-01-09&officeId=00020&pageNo=23&printNo=21702&publishType=00020|당시 기사 1]][[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2010900289115006&edtNo=4&printCount=1&publishDate=1992-01-09&officeId=00028&pageNo=15&printNo=1127&publishType=00010|당시 기사 2]] [[http://gangnam.joins.com/news/article/Article.aspx?total_id=2676460|당시 기사 3]] 경찰 야구단 감독을 맡았던 게 참 아이러니하다. --그 때 경찰 관계자들 한테 눈도장 찍은 듯-- * 2019년을 끝으로 [[경찰 야구단]]이 해체되어 야인이 되었고, [[충청남도]] [[계룡시]]에서 카페를 운영중이다. * 차남 유민상의 증언에 의하면 평소 요리하는 것을 좋아하며 요리 실력도 꽤 좋은 편이라고 한다. * 2020년 10월 31일 창단한 여자경찰야구단의 명예감독을 맡았다. * 2021년 1월 6일 사단법인 한국리틀야구연맹의 6대 회장으로 당선되었다. 약 14년 동안 재임한 전임 한영관 회장[* 3~5대 회장 연임. 프로 골퍼 [[한희원(골프선수)|한희원]]의 아버지이며 [[손혁]]의 장인이다.]의 뒤를 이어 1월 14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 * 본인 SNS에 롯데의 팀 밸런스가 안맞는건 단장책임이라고 올렸는데,[[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410&aid=0000777368|#]] 단장이 선수기용에 관해 감독에게 직접 말하지 않고, 팬들을 앞세워 시빗거리를 만들었다고 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불화에 관해 언론플레이를 하고 오히려 논란을 키운건 [[허문회]]였으며, 애초에 공인인 리틀야구연맹 회장이 타팀에 대한 의견을 제시 한거 자체가 부적절하게 보고있다. * 2021년 10월 [[전설의 타이거즈]] [[방수원]] - [[송유석]] 편에 전화로 출연하였다. [[방수원]]의 KBO 최초 [[노히트 노런]] 당시 9이닝 내내 공을 받았으며 [* 당시 방수원은 고정적인 [[선발투수]]가 아니라 [[땜빵]] 선발, [[중간계투]], [[패전처리 투수]], [[롱릴리프]]등 역할을 가리지 않는 원조 [[마당쇠]]였다. 해태에서 그를 잇는 마당쇠는 [[송유석]]과 [[강태원(야구선수)|강태원]]이 있었다. 노히트 노런 당시 스토리는 [[방수원]] 문서 참조.] 방수원을 잘 리드하였다. * 2022년 5월 6일 빙그레-한화 이글스 레전드 시리즈로 초대받아 국내 '''1호''' 언더핸드 투수 [[한희민]],연습생 신화를 쓴 [[장종훈]], [[송진우(야구)|송진우]], [[이강돈]]과 함께 초청을 받아 레전드 4명과 함께 시구를 했다. * 2023년 1월 5일, MBN의 시사교양 프로그램인 현장르포 특종세상 564회에 출연했다. 뇌졸중으로 거동이 불편했던 옛 스승 겸 경동고 선배 [[백인천]]을 찾아갔는데 1982년 원년 개막전부터 불거진 악연에 대해 서로 웃으며 이야기한 것을 보면 세월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관계가 풀린듯 하다. == 가족 == * 1984년에 드라마 [[수사반장(드라마)|수사반장]]의 여형사로 명성을 떨쳤던 배우 [[이금복]] 씨와 결혼했다. [[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4120800329202010&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4-12-08&officeId=00032&pageNo=2&printNo=12063&publishType=00020|당시 기사]]. 이후 [[이금복]] 씨가 [[백혈병]]으로 투병하자 혈액형이 O형인 임직원들이 헌혈에 동참하고 [[김승연|청계산 회장님]]까지 나서서 위로금을 전달하며 투병을 격려했지만, 안타깝게도 1999년 11월 타계했다.[* 이후 유승안은 재혼해 늦둥이 딸을 얻었다. 유원상, 유민상 형제에게는 이복 여동생.] 이후 더 안타깝게도 장남 [[유원상]]의 아내 김보경 씨도 2022년 7월 별세하면서 부자가 아내와 너무 이른 때에 사별하고 말았다. * 장남 [[유원상]]은 잠신중-북일고를 거쳐 한화 이글스에 1차 지명되면서 계약금 5억 5,000만원을 받고 입단했으나 데뷔 시즌부터 리그를 씹어먹다시피한 2차 1라운더 [[류현진]](계약금 2억 5000만원)과 내내 비교당했고 결국 LG 트윈스, NC 다이노스, KT 위즈 등을 전전하다가 2021년 시즌을 끝으로 방출됐다. * 차남 [[유민상(야구선수)|유민상]]은 잠신중-서울고-연세대를 거쳐 두산 베어스에 지명됐고 KT 위즈, KIA 타이거즈를 거쳐 2021년 시즌을 끝으로 방출됐다. 둘 다 아버지가 뛰었던 팀은 하나씩 거쳤으며[* 유원상-한화,LG(前 MBC), 유민상-KIA(前 해태)] 모두 [[2차 드래프트]]를 통해 이적한 적이 있다. * [[2020년]] 5월 26일 KIA와 KT의 경기에서 [[유원상|첫째]]와 [[유민상(야구선수)|둘째]]가 맞대결을 펼치며 이들의 아버지라는게 다시금 알려지며 자식 농사 잘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참고로 형이 이겼다. 이 후 한 번 더 붙었는데 역시 이 때도 형이 이겼다.][* 1군 한 번 올라가기도 어려운 프로에서 오랜 시간 살아남았다는 것 자체가 분명히 성공한 선수라고 볼 수 있다.] * 그 외에 조카 [[유재상(야구선수)|유재상]]과 [[유근상]]도 프로야구에 신고선수로 입단했지만 얼마 못가 은퇴하였다. == 성씨 == 참고로 실제 성은 '[[류(성씨)|류]]'씨(버들 류)라고 한다. 그래서 원래는 류씨로 하는게 맞지만 우리나라 행정상 공문서에 류씨를 유씨로 기록하던 관례로 학교다닐 때부터 성인된 이후까지 유씨로 계속 등록되어 와서 본인도 그냥 유씨로 살았다고 한다.[* 실제로 한국에는 많은 류씨들이 행정상 유씨로 살고 있다. [[류현진]]의 경우에도 과거 데뷔 초 언론에서 '유현진'이라고 표기한 적이 많았다. 2007년 법이 개정되어 [[대법원]]이 호적예규 변경을 통해 [[두음법칙]]을 적용하는 성(姓)에 예외를 둠에 따라 '류'씨로 정정신청을 할 수 있게 되어서 신청한 사람들이 있지만 실제로 신청할 때 아버지 호적까지 류씨로 바꿔야 하는 규정이 있어 행정상 복잡한 부분도 있고 하기에 대부분의 류씨들이 안 하는 걸로 알려져 있다. 류현진의 경우에는 이를 신청하여 이후 언론에서 유현진이 아닌 류현진으로 표기되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류지현(야구)|류지현]]도 뒤늦게 유지현이 아닌 류지현으로 쓸 수 있게 되었다. 자세한 사항은 [[류(성씨)|류]] 문서 내에 관계된 내용을 찾아 보면 알 수 있다. ~~이게 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윗 동네]] 때문이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5> {{{#ffffff 역대 기록}}}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4사구}}} || {{{#ffff00 장타율}}} || {{{#ffff00 출루율}}} || || 1982 ||<|2> [[MBC 청룡]] || 57 || 142 || .254 || 36 || 5 || 0 || 9 || 29 || 23 || 2 || 21 || .479 || .350 || || 1983 || 65 || 140 || .236 || 33 || 3 || 0 || 1 || 10 || 8 || 2 || 17 || .279 || .318 || || {{{#ffff00 연도}}} || {{{#ffff00 소속팀}}} || {{{#ffff00 경기수}}} || {{{#ffff00 타수}}} || {{{#ffff00 타율}}} || {{{#ffff00 안타}}} || {{{#ffff00 2루타}}} || {{{#ffff00 3루타}}} || {{{#ffff00 홈런}}} || {{{#ffff00 타점}}} || {{{#ffff00 득점}}} || {{{#ffff00 도루}}} || {{{#ffff00 4사구}}} || {{{#ffff00 장타율}}} || {{{#ffff00 출루율}}} || || 1984 ||<|2> [[해태 타이거즈]] || 41 || 118 || .263 || 31 || 9 || 0 || 5 || 21 || 13 || 2 || 24 || .466 || .387 || || 1985 || 63 || 151 || .272 || 41 || 6 || 0 || 8 || 18 || 20 || 0 || 14 || .470 || .333 || || {{{#ffffff 연도}}} || {{{#ffffff 소속팀}}} || {{{#ffffff 경기}}} || {{{#ffffff 타수}}} || {{{#ffffff 타율}}} || {{{#ffffff 안타}}} || {{{#ffffff 2루타}}} || {{{#ffffff 3루타}}} || {{{#ffffff 홈런}}} || {{{#ffffff 타점}}} || {{{#ffffff 득점}}} || {{{#ffffff 도루}}} || {{{#ffffff 4사구}}} || {{{#ffffff 장타율}}} || {{{#ffffff 출루율}}} || || 1986 ||<|6> [[빙그레 이글스]] || 79 || 256 || .238 || 61 || 5 || 0 || 7 || 23 || 24 || 2 || 32 || .340 || .321 || || 1987 || 97 || 328 || .308 || 101 || 15 || 1 || 12[br](7위) || '''59'''[br](4위) || 30 || 1 || 24 || '''.470'''[br](5위) || .351 || || 1988 || 103 || 297 || .263 || 78 || 14 || 2 || 15[br](6위) || 55[br](9위) || 42 || 3 || 46 || .475[br](10위) || .358 || || 1989 || 115 || 370 || .281 || 104[br](9위) || 15 || 0 || '''21'''[br](2위) || '''{{{#red,#ff0000 85}}}'''[br](1위) || 46 || 0 || 51 || '''.492'''[br](2위) || .363 || || 1990 || 110 || 293 || .256 || 75 || 12 || 0 || 14[br](7위) || 54 || 29 || 3 || 40 || .440 || .338 || || 1991 || 57 || 94 || .170 || 16 || 1 || 0 || 0 || 5 || 3 || 0 || 5 || .181 || .212 || ||<-2> '''[[KBO 리그|KBO]] 통산''' [br] (10시즌) || 787 || 2189 || .263 || 576 || 85 || 3 || 92 || 359 || 238 || 15 || 274 || .431 || .341 || == 관련 문서 == * [[한화 이글스/선수단]]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1956년 출생]][[분류:1975년 데뷔]][[분류:1991년 은퇴]][[분류:여주시 출신 인물]][[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대한민국의 야구감독]][[분류:한일은행 야구단/은퇴, 이적]][[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분류:우투우타]][[분류:포수]][[분류:진주 류씨(토류)]][[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역대 감독]][[분류:해태-KIA 타이거즈/은퇴, 이적]][[분류:MBC 청룡-LG 트윈스/은퇴, 이적]][[분류:KBO 타점왕]][[분류:경동고등학교 출신]][[분류:대한민국의 개신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