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m.chuing.net/218990947401.png]] [목차] == 개요 == [[애니메이션]] [[학교괴담(애니메이션)|학교괴담]] 17화에 등장하는 소녀다. 원본명은 시로가네 유키(白金ゆき)다. [[성우]]는 [[카와타 타에코]]/[[여민정]]/레슬리 테쉬다. == 행적 == 미야노시타 사츠키([[나해미]])의 먼 친척이 경영하는 [[료칸|여관]]에서 마주친 [[소녀]]다. 등장할 때 방울 소리가 흘러나오며 상당히 예쁜 얼굴과 목소리인 미소녀로 "'''네가 미유키(미희)니?'''" 라고 물어보는 사츠키에게 "'''미유키는 우리 언니고 내 이름은 유키'''"라면서 등장한다. 조용하나 했더니 갑자기 자신의 언니인 미유키가 붉은 호수에 빠져 [[익사]]하여 설녀가 되었다며, 설녀가 된 사람은 새로운 사람을 [[길동무]]로 끌어들이기 위해 다시 등장한다면서 사츠키 일행과 함께 여관으로 들어오려는 미유키를 제지하고, 잠잠해지자 뒷문으로 간 게 분명하다며 일행에게서 모습을 감춘다. 그것을 보고 아오야마 하지메([[장영빈]])가 쫓아가지만 이미 그녀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고 하지메는 우연히 들어간 창고에서 오래된 신문지를 발견하게 되지만 곧 그곳의 자물쇠가 잠기며 꼼짝없이 갇혀버린다. 이후 나타난 유키는 하지메가 없다는 사츠키 일행의 말에 미유키가 데려갔다고 설명하고 설녀인 미유키를 저 세상으로 보내기 위한 의식을 일행과 함께 행한다. [include(틀:스포일러)] 그런데 미유키를 뒤따라 하지메가 등장하고 사실 설녀는 유키였고 '''무려 40여 년이나 전인 먼 옛날'''에 이미 [[익사|호숫가에 빠져 숨졌다는 것]]이 밝혀진다. 이후 무릎을 꿇고 아무도 자신을 찾아와주지 않았기 때문에 줄곧 누군가와 같이 있고 싶었다며 중얼거리며 일행 및 시청자들에게 안타까움을 '''[[페이크다 이 병신들아|선사하는가]]''' '''[[내가 무릎을 꿇었던 건 추진력을 얻기 위함이었다|했다.]]''' >'''나 혼자 죽었기 때문에... 아무도 날 찾으러 와 주지 않았기 때문에... 그래서 난 누군가와 같이 있고 싶었어... 난... 난 너무 외롭단 말이야... 그러니까...[* 이때부터 태도가 돌변한다.]''' [[파일:ybjBELA.jpg]] >'''미유키, 넌 나와 함께 가줘야 겠어!''' >'''자! 나와 함께 가는 거야!!''' 눈 깜짝할 사이에 태도가 180도로 바뀌더니[* 이때 얼굴이 역대급으로 혐오스러운 모습의 시체형으로 변하고 붉은 안구에 창백한 귀신형으로 본격 2단 변신한다. [[http://photos1.blogger.com/blogger/4542/1096/1600/kaidan18_03.jpg|사진이 혐오스러우니 보기 전에 주의해야 한다.]]][* 오프닝 부분에서 나왔던 설녀가 바로 유키다.] 눈보라를 일으켜 미유키를 호수에 떨어뜨리려 하고, 그때까지 만났던 그 어떤 요괴나 원령보다도 잔혹하게 주인공 일행을 몰아붙였다. 일행 다들 겹겹이 눈에 휩싸여 '''[[동사#s-2|동사(凍死)]]'''하기 일보직전의 [[절체절명]]의 상황이었으나, 사츠키가 하지메가 손에 쥐고 있던 유키의 사망을 알렸던 기사가 실린 [[신문]]에 봉인 매개체인 그녀의 [[사진]]이 실려있음을 깨닫고, 그녀가 미유키를 설녀로 만들기 위해 알려주었던 퇴치 방법을 일행과 함께 실행해서 상황을 역전시켜 간신히 봉인시킨다.[* 원판에서 봉인당할 때 목소리가 점점 아이의 목소리로 변해가는 장면이 슬픈 느낌이 든다. 게다가 브금으로 [[눈물 흘린 후에]]가 사용되었다. 국내 더빙판의 경우, 봉인당할 때의 목소리가 끝까지 귀신형이 된 후의 목소리 그대로라서 그런 슬픔이 반감된 점이 있다.] 퇴치되면서 미유키의 사진에 있던 피와 방울은 사라졌다. 방울이 도대체 어떤 의미였는지는 불명이다. 이렇듯, 자신이 [[유키온나|설녀]]라는 사실을 교묘히 숨긴 채 스스로는 여관 주인의 딸인 미유키의 동생임을 자처하면서, 미유키를 조난시키고 설녀라 몰아세우는 치밀함을 발휘하여 미유키를 자신과 같은 설녀로 만들어 길동무로 삼고자했던 행적을 보면, 그야말로 [[복흑]] [[기믹]]의 소유자다. 원판보다 국내 더빙판 귀신 목소리가 훨씬 더 무섭다. 원판에서는 처음부터 목소리가 복선적으로 약간 귀신 같은 느낌이 든다. === 복선 === 사실 유키가 설녀임이 밝혀지기 전에도 이를 암시하는 복선이 존재했다. 우선 사츠키 일행이 여관에 들어서는 장면에서 [[말이 씨가 된다|설녀 전설을 언급한]] 카키노키 레오([[오경태]])의 옆에 유키가 왔을 때 레오가 춥다고 하더니[* 국내판 더빙은 "갑자기 '''찬바람'''이..."라고 말한다.] 이내 옆으로 고개를 돌려 유키를 보고는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설녀라고 착각 아닌 착각을 하여]] 크게 놀랐는데[* 국내판 더빙은 "으아아아악! '''귀신'''이다!"라고 말한다.] 이것이 유키의 정체가 설녀임을 암시하는 첫 복선이었다. 첫 등장 때 밖에서 신발을 신고 나온 유키가 후반에 사츠키 일행과 함께 밖으로 도망쳤을 때[* 사츠키 일행과 미유키를 유인한 것이다.] 맨발임에도 불구하고 눈이 쌓인 땅바닥에서 발이 시려운 모습을 전혀 보여주지 않았다. 이후 유키 혼자서 먼저 봉인 주문을 외우자마자 눈보라가 몰아치기 시작했다. == 상세 정보 == [[파일:external/96ad42545ee706a2e3b94ddc6ba85e4004ba3eb63efc24c785c84cbd1296ecd0.png]] 유키는 40년 전 피투성이의 호수에서 익사한 여관 종업원의 10살 난 딸이었다. 어머니는 어린 외동딸 유키를 여관에 혼자 남겨두고 어디론가 사라졌지만, 홀로 남겨진 유키는 항상 엄마를 기다리며 호숫가에서 놀다가 망연자실했다. 그가 미유키를 젊은 여자로 만들려 했던 이유는 40년 동안 홀로 피로 물든 호수를 지키며 외로움을 느꼈기 때문이다. [[요괴]]와 언데드들은 물론이고 다른 모든 등장 캐릭터들을 통틀어서도 손꼽히는 미소녀, 원령으로서 보여준 강력한 힘, 가슴 아픈 비하인드 스토리, 뒤통수를 치는 [[반전]], 그리고 이런 캐릭터에게 흔히 부여되기 쉬운 인간미를 배제시키고 의외의 잔혹함을 보여준 것 등등 여러 가지 요소가 맞물려, 학교괴담의 역대 요괴/언데드 중에서도 단연 인기 순위권을 달린다. 인기 1위는 [[다크시니|물론]] 따로 있다. 또한 이 에피소드는 최종화를 불과 2화 앞둔 클라이맥스 단계였기 때문에, 그 이전까지 꾸준히 등장해온 음침하고 오싹한 요괴와 언데드에 식상해진 시청자들에게 의외의 화사함을 어필했던 점도 한 몫을 할 것이다. == 봉인법 == 고위 원령인 설녀이기 때문에 조건이 꽤 까다롭다. '''설녀화하기 이전의 모습의 [[고인]]'''이 찍혀있는 [[사진]]을 준비하여 정신을 집중하고 '''"눈과 함께 가거라! 눈과 함께 사라져라!"[* 원판에서는 '''"눈과 함께 가고, 눈과 함께 간다."'''다.]'''라는 주문을 반복해 외쳐야만 한다. 이 에피소드에서 퇴마에 성공했던 것은 그야말로 [[기적]]이라 할 수 있었던 것으로, 물론 긴장감 유발을 위한 극적 장치였겠지만 어쨌든 만약 그 위기 상황에서 하지메가 조금만 늦었다면[* 사츠키 일행 중에서 하지메가 창고에 갇혀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오히려 유키의 묘책에 보기 좋게 걸려들 구실을 만들어줬다. 다만 하지메가 창고를 부수고 나올 것은 예상치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사츠키 일행은 그 자리에서 꼼짝 없이 전원 동사(凍死)하고 말았을 것이다. 덧붙여 봉인법을 소개한 것은 다름 아닌 원령 본인이다. 본래 목적대로라면 미희를 자기의 길동무로 삼기 위해 소개한 의식이었으나, 역으로 자신이 그 [[방법]]으로 봉인되었다. 그런데 이런 방법을 어떻게 알아냈는지에 대한 것은 에피소드에 나타나 있지 않아 미지수이다.[* 사츠키가 원령한테 소개받은 의식을 역이용한 것에 가깝다. 여담이지만 요괴일기에 적혀있는 요괴/언데드는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미야노시타 카야코([[윤희숙(학교괴담)|윤희숙]])가 한 번 봉인한 적이 있기 때문에 해당 요괴/언데드는 그 순간을 기억하여 인간들이 자신을 봉인하는 방법을 눈치챌 수밖에 없다. 특히 카야코의 선조들이 봉인할 때마다 스스로 힘을 길러서 부활을 되풀이한 오우마([[대요마]])라면 봉인된 횟수도 많은 만큼 자신을 봉인하는 방법이 자신의 머릿속에 거의 [[트라우마]] 수준으로 각인되었을 것이다. 이를 감안하면 유키 본인 또한 누군가에 의해 한 번 봉인되었다가 모종의 이유로 부활한 것이 아닌가 싶다.] 게다가 미유키는 멀쩡히 살아있는 인간이라서 원래대로라면 원령을 봉인하는 의식이 통하지 않을 게 분명하며 그 때문인지 유키가 정체를 들킨 후 미유키를 호수에 떨어뜨려 설녀로 만들려 할 때도 더 이상 주문을 외우지 않고 곧바로 자신의 설녀 능력[* 눈보라를 일으킨다.]을 썼는데 왜 굳이 나해미 일행과 함께 주문을 외웠는지 의문이다. 어쩌면 사츠키 일행이 자신이 있는 여관에 온 상황에서 아무도 속이지 않고 누구의 도움도 없이 자기 혼자 미유키를 찾아내 호숫가로 유인할 경우, 그 과정에서 사츠키 일행에게 자신의 정체를 들킬 수도 있었기 때문에 이를 막기 위해 사츠키 일행을 속여 자신의 정체를 끝까지 숨기면서도 무사히 미유키를 호숫가로 유인한 뒤 호수에 빠뜨려 설녀로 만들기 위해 일부러 봉인법을 알려준 것 같다. 이미 오래 전에 설녀화된 유키 본인의 사진이 근처에 없는 한 아무리 주문을 외워도 자신에겐 통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정체를 들킨 뒤 미유키만 죽이려 한 게 아니라 사츠키 일행 전원을 동사시키려 한 것도 입막음의 일환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창고에 들어간 하지메를 그 자리에서 바로 죽이지 않고 그저 창고에 가두는 정도에 그친 것은 그 안에 자신의 사진이 실린 신문이 있다는 사실을 혹은 그 신문에 자신의 사진이 실려있다는 사실을 몰라서 방심했기 때문으로 보이며 만약 알았다면 입막음을 위해 그 자리에서 하지메를 자신의 능력으로 동사시키고 이후 신문에 실린 자신의 사진을 훼손하여 봉인의 매개체로 쓸 수 없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 북미판 == 북미판 더빙에서는 '''뜬금없이 [[흑인]]이 [[히스패닉|멕시코인]]이나 동아시아인보다 [[대물(신체)|대물]]이라고 [[섹드립]]+[[인종차별]] 대사를 날리며, 피의 호수를 설명할 때 [[텍사스주]]의 [[공화당(미국)|공화당]] 몰표 성향에 비유해서 [[지역드립|설명해 버린다.(...)]]'''[* 물론 요즘 택사스는 당시에 비하면 [[민주당(미국)|민주당]]의 득표율이 올랐으며 차후에 스윙 스테이트로 변환될 것이라는 예측도 많은 편이다. 참고로 방영 당시에도 휴스턴, 포스워츠, 댈러스는 텍사스에서 민주당 텃밭으로 꼽혔다. 2010년대 후반에 이게 더빙이 되었다면 텍사스보다도 공화당 몰표현상이 심한 [[오클라호마]]나 [[와이오밍]]등이 나왔을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깨알같이 '''[[고라니|으악↗!]]''' 비명을 시도 때도 없이 지르는 것은 덤이다. 그리고 진실이 드러났을 때는 본인이 한때 유명했다고 화를 낸다. [[분류:학교괴담(애니메이션)/등장 캐릭터]] [include(틀:포크됨2, title=유설희, d=2022-07-08 18:4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