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춘추전국시대/인물]] [목차] == 개요 == [[진나라]] 말기의 인물. [[유태공]]의 첫아들이며 [[유중(전한)|유중]], [[고제(전한)|유방]], [[유교(전한)|유교]]의 형이다. 이름은 [[백중숙계]]에서 따온 유백(劉伯). == 상세 == 젊어서 요절하여[* 결혼하고 자식도 보긴 했다.][* 유방이 가족 잔치 중 한 말에 따르면 [[유태공]]은 큰 형인 유백은 언급하지 않고 둘째 형인 유중처럼 노력하지 않는다고 유방을 꾸중한적이 있다는 걸로 봐서는 상당히 젊을 때 죽은 모양] 큰 기록은 남기지 못했지만 그의 가족들은 영 좋지않은(...) 의미에서 재밌는 기록을 남겼다. [[고제(전한)|유방]]이 젊을적 양아치 노릇을 할 때 사고를 치고 자기 집에 들어가지 못하고 패거리를 유백의 집에 끌고 온 적이 있었다. 당연히 유백의 마누라는 이런 꼴을 좋아하지 않았고 국 한그릇 달라는 유방 무리한테 들으랍시고 솥바닥을 긁는 소리를 냈다. 유방 패거리는 화를 내면서 다 나가 버렸는데 유방이 나중에 보니 국이 있었던 것이다. 이 일로 유방은 큰 형수한테 섭섭한 마음을 가지게 됐다.[* 유백이 이 때 살아 있었는지는 불명] 이 때의 일을 가슴에 계속 품은 유방은 유백의 아들이자 자기 조카인 유신(劉信)에게는 작위를 주지 않았다.[* 아주 못난 인물은 아니었는지 [[한왕 신]]의 반란 진압에 종군한 경력은 있다.] 이에 [[유태공]]이 하도 부탁하니 작위를 주긴 했지만 작위의 이름은 갱갈후(羹頡侯). '''"국 긁는 제후"'''(...)라는 뜻이니 어지간히 뒤끝이 오래 간듯. 다만 유백 본인은 한왕 5년(기원전 202년) 정월, 무애후(武哀侯)로 추봉됐고, 고후 8년(기원전 181년) 5월에 [[진평]] 등의 상소를 통해서 무애왕(武哀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유방 생전 왕 호칭을 안 달아준 것을 보면 유방과 살아생전 사이가 껄끄러운게 아닌가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