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포트 마피아)]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Yumeno_pro.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external/otomens.com/Cwnxw_6UsAADt8Y.jpg|width=100%]]}}} || || 원작 || 애니메이션 || ||
<-2> {{{+1 '''프로필''' }}} || || '''이름''' ||유메노 큐사쿠(夢野久作)|| || '''나이''' ||13세|| || '''생일''' ||[[1월 4일]]|| || '''신장''' ||146cm|| || '''체중''' ||38kg|| || '''혈액형''' ||[[AB형]]|| || '''좋아하는 것''' ||[[나르시시즘|자신]], [[혼돈]], [[흑설탕]][* 흔히 아는 그 흑설탕이 아니다. 자세한 건 항목 참조.]|| || '''싫어하는 것''' ||[[자기혐오|자신]], [[평화]], [[사회]], [[병원]]|| || '''능력명''' ||[[도구라 마구라]][br]ドグラ・マグラ|| || '''성우''' ||[[쿠도 하루카(성우)|쿠도 하루카]]|| || '''배우''' ||쿠라치 아유카(倉知あゆか)|| [목차] === 개요 === [[문호 스트레이독스]]의 등장인물. 모티브가 된 인물은 일본의 작가 [[유메노 큐사쿠]]. 일명 [[Q]][* [[오다 사쿠노스케(문호 스트레이독스)|오다사쿠]]처럼 실제 문호의 애칭에서 따온 것.]라고 불리는 소년.[* 그런데 소년처럼 '보이는' 것이지 정확히는 [[성별 미상|Q의 성별은 명확히 정해지지 않았다]]고 한다. 일단 1인칭은 남성용인 [[보쿠]]고, 국내 정발판에선 하루노를 누나라고 부르는 것으로 번역되었다.] 평소에는 감금되어 있었으며 길드 항쟁전을 위해 풀려났다. === 성격 및 특징 === [[포트 마피아]] 금단의 [[최종병기]]에 가까운 존재로, 마피아 내에서 가장 이질적이고 위험한 이능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타인과 적을 구별하지 않는 타입의 성격. === 능력 === '''능력명 <[[도구라 마구라]] - ドグラ・マグラ>.''' 자신을 다치게 한 사람에게 저주를 건다.[* 일부러 팔에 면도날 같은 날붙이가 엮인 붕대를 감고 타겟에게 부딪쳐서 상대가 자신을 다치게 하는 상황을 쉽게 만들어낸다.] 이때 저주 대상자인 '수신자'에게는 손바닥 모양의 멍 같은 자국이 나타나게 되며, Q의 인형[* Q가 들고 있는 괴기한 인형. '소사체(燒死体, 불 타 죽은 시체)'를 형상화한 것으로, 인형 목에 있는 것은 머플러가 아니라 [[깁스]]이고, 머리에 감은 건 [[붕대]]라는 모양이다. 성우는 아이러니하게도 다자이 역을 맡은 [[미야노 마모루]]. 무대판에서도 다자이 역 배우 [[타와다 히데야]]가 목소리를 맡았다.]을 부수면 저주가 발동하게 된다. 이 저주에 걸린 사람은 눈에서 피를 흘리고, [[환각]]과 [[환청]]에 시달리면서 미쳐날뛰며 적 아군 가리지 않고 주변 사람을 공격한다. '저주를 건다' 자체가 이능력 부분인지라 유일한 카운터는 [[이능력 무효화]] 능력자 다자이뿐이다. --그 탓에 모리가 다자이한테 Q를 떠넘겼다..-- 작중 인간 중에 Q를 상처입혀도 아무 영향이 없는 유일한 사람이며, 다자이가 이 인형에 능력을 발동하는 것 외에는 이 저주를 어찌할 도리가 없다. 이능력자들 사이에서도 [[백안시]]되는 [[정신 조작]] 능력을 가진 것 때문에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해서 본인도 여러모로 고충이 있었던 모양.[* 길드에 붙잡혀 [[존 스타인벡(문호 스트레이독스)|스타인벡]]과 대화할 때 이런 능력은 원하지 않았다며 한탄한다.] 하지만 큐사쿠가 그저 우연히 타고난 이능력 때문에 이용만 당하는 불쌍한 아이냐면 그건 전혀 아니올시다. 마피아에서도 감방에 넣어둘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그 어린 나이에도 자신의 이능력을 악용해 무수한 희생자를 냈기 때문이다. 그를 감금하는 과정에서 엄청난 인명피해가 났다고. 절대로 무고한 존재가 아니다. 능력명의 유래는 작가 [[유메노 큐사쿠]]의 소설 제목이다. === 작중 행적 === 포트 마피아 내에선 위험인물 중 하나로, 아군 적군 안 가리고 능력을 써서 죽여댄 탓에 작중 시점에는 봉인까지 되어 있었다. 허나, 보스가 길드와의 항쟁 때 써먹을 패로써 풀어주면서 밖에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나온 첫 등장에서 아츠시에게 능력을 써서 동료를 공격하게 해 [[멘붕]] 상태로 몰아가게 하고, 다자이 역시 이 녀석이 풀려났다는 사실을 듣고 기겁하는 등 강적으로서의 이미지를 내비쳤다. 허나, 하필이면 그 다음 화에서 길드를 상대하러 나섰을 때 저주를 걸 적을 '''러브크래프트'''로 잡은 탓에, 저주가 그냥 씹히고 본인이 공포에 질린 채로 끌려갔다(...). 저주는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인간에게 통하는 것이라 아예 인간이 아닌 러브크래프트에게는 오히려 [[역효과]]를 일으킨 탓.[* 애초에 해당 캐릭터의 원형인 [[러브크래프트]]는 [[코스믹 호러]]를 주로 다루면서 인간은 어찌할 도리도 없는 공포와 광기를 그 안에 담아낸 작가다. 그리고 그 중에서도 특히 이 작품 러브크래프트의 직접적 모티브가 된 [[그레이트 올드 원]]은 그 이름을 부르거나 그 모습을 보기만 해도 미치거나 죽어버린다는 설정이 있다. 그야말로 광기의 화신한테 능력을 썼으니 무사한게 이상하다.][* 여담이지만 많고 많은 인물들 중에서 하필 매치업을 이렇게 잡은 건, 이 인물의 원형인 [[유메노 큐사쿠]]의 대표작 [[도구라 마구라]] 또한 러브크래프트의 소설과 마찬가지로 추리물을 가장한 광기로 가득한 미스테리물에 가득해서인 듯 하다.] 그리고 그를 붙잡은 길드는 그 능력을 역이용해서 수많은 시민들을 미치게 하며 도시를 대혼란에 빠뜨린다. 이후 다자이, 츄야 콤비에게 구출된다. 이때 츄야는 기절해있던 큐사쿠를 보며 "보스는 살려서 데려오라고 했지만 나는 이 녀석 때문에 죽은 부하들의 얼굴이 떠오른다."라고 말하며 모리의 명령 때문에 손댈 수 없는 자신 대신 다자이에게 죽일 것을 권하지만 다자이는 Q를 죽이지 않았다. 츄야가 위선 떤다며 혀를 차자, 다자이는 Q가 살아있어야 유일하게 Q의 능력을 막을 수 있는 자신을 포트 마피아는 더 죽일 수 없게 될 거라며 어디까지 합리적인 이유로 죽이지 않은 거라고 답한다. 이후 등장은 없지만, 모리가 살려서 데려오라고 한 만큼 무사히 포트 마피아로 돌아갔을 것으로 추정된다. === 여담 === 지금도 상당히 어린 나이인데 7년 전부터 이미 조직에 속해 있었다. 극장판 [[DEAD APPLE]] 특전으로 처음 나온 뒤 소설판 6권으로 정식 출판된 '다자이, 추야, 15세'편 에필로그에 의하면 모리가 지인의 병원에서 '같은 방의 아이를 다치게 하는 아이'의 이야기를 듣고 거둬왔다고 하며, 그 때가 대여섯 살 정도의 외견이라고 묘사된다.[[https://twitter.com/bungosd_anime/status/1122017531261112321?s=19|#]] 모리가 요사노의 불사부대를 후쿠자와&란포에 의해서 실패하자 그걸 대신할 수 있는 비장의 수로 큐사쿠를 영입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는 다자이와 큐사쿠를 세트로 해서 써먹으려고 했지만 다자이가 이탈을 해버려서 써먹지 못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모리가 다자이의 자리를 계속 공석으로 두고서 돌아오길 기다리고 있는 것도 그런 이유일 듯. [[분류:문호 스트레이독스/등장인물/포트 마피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