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유리 포들라치코프}}}[br]Iouri Podladtchikov''' || || '''본명''' ||유리 유리비치 포들라치코프[br]Iouri Iourеvich Podladtchikov[br]Юрий Юрьевич Подладчиков || ||<|2> '''출생''' ||[[1988년]] [[9월 13일]] ([age(1988-09-13)]세) || ||[[소련]]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RSFSR]] [[모스크바]]||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스위스)] || || '''신체''' ||180cm, 82kg || || '''종목''' ||[[스노보드]] || || '''주종목''' ||수퍼파이프, 하프파이프 || || '''SNS''' ||[[https://www.instagram.com/iouripodladtchiko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4]]]]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위스]]의 [[스노보드]] 선수다. == 선수 경력 == === 유년 시절~[[2009년]] === 여러 나라를 옮겨다니면서 공부했던 부모 때문에 유럽 각국에서 유년시절을 보냈다. 4살 때 러시아를 떠나 [[네덜란드]]와 [[스웨덴]]에서 2년씩 지냈고, 1997년에 부모가 교수직을 얻은 [[스위스]] [[취리히]]로 옮겼다. 포들라치코프 가족은 이후 취리히에 정착했고, 이중국적을 허용하는 스위스의 국적을 얻었다. 2006년까지는 러시아 국적으로 국제대회에 출전했으나 이후부터는 스위스 국적으로 국제대회에 출전했다. 코치와의 불화와 전반적인 러시아의 훈련 체계에 대한 불만이 그 이유라는 설과 스위스에서 오래 살아 옮겼다는 설이 있다. === [[2010년]] === 2010년 동계 X-게임에서 당시 대회 역대 2번째 최고 점수인 98.00점을 받았다.[* 1위는 만점을 기록한 [[숀 화이트]]다.] 특히 신기술을 향한 집념이 남달라 수천 번 눈밭을 구르고, 온몸에 멍이 들면서 기술을 완성했다. === [[2014년]]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결선에서 선보인 '1440도 캡 더블 콕'[* 공중에서 몸을 2번 진행 방향을 비틀면서 4바퀴 회전하는 기술]은 수퍼파이프[* X게임 종목으로 하프파이프보다 크기가 크다.]에서나 가능하다고 여겨진 기술이었다. [[숀 화이트]]가 따라하려다 포기했을 정도의 기술이었다. 본인은 "나는 이 기술을 'YOLO(You Only Live Once의 각 단어 첫 글자를 합한 말)'라고 부른다. 이 말에는 내 인생 철학이 담겨 있다"고 말했다. 이후 캡 더블콕 1440도는 YOLO플립이라 불리웠다. 참고로 경기 후 리액션이 과감한데 기분이 좋으면 보드도 이리저리 던져버리고 심지어 관중에게 헬맷과 각종 몸에 붙은 악세사리, 보드까지 전부 던져 선물했다. == 수상 기록 == ||<-3>
{{{#white 올림픽}}} || || 금메달 || [[2014 소치 동계올림픽|2014 소치]] || 하프파이프 || ||<-3> {{{#white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2013 스톤햄 || 하프파이프 || || 은메달 || 2011 라 몰리나 || 하프파이프 || || 은메달 || 2017 시에라 네바다 || 하프파이프 || ||<-3> {{{#white 엑스 게임}}} || || 은메달 || 2010 애스펀 || 수퍼파이프 || || 은메달 || 2012 애스펀 || 수퍼파이프 || || 은메달 || 2016 오슬로 || 수퍼파이프 || || 동메달 || 2015 애스펀 || 수퍼파이프 || == 기타 == * 스노보드계에선 그를 이름(Iouri)과 성(Podladtchikov)의 앞 철자 등을 따 'IPOD(아이팟)'이라는 애칭으로 부른다. [각주] [[분류:스위스의 스노보드 선수]][[분류:모스크바 출신 인물]][[분류:1988년 출생]][[분류:스위스의 올림픽 메달리스트]][[분류: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분류: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참가 선수]][[분류:2014 소치 동계올림픽 메달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