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서고트 국왕)] ||<-3><#676767> '''{{{#FFF 서고트 왕국 반왕}}}''' [br] {{{+2 {{{#FFF '''Iudila | 유딜라'''}}}}}} || ||<|2><#676767> '''{{{#FFF 제호}}}''' ||<#676767> '''[[한국어|{{{#FFF 한국어}}}]]''' ||유딜라 || ||<#676767> '''[[라틴어|{{{#FFF 라틴어}}}]]''' ||Iudila || ||<-2><#676767> '''{{{#FFF 생몰 년도}}}''' ||미상 ~ 미상 || ||<|4><-2><#676767> '''{{{#FFF 재위 기간}}}''' ||631년 ~ 633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고트 왕국]] 반왕. [[시세난드]] 왕에 대항하여 반란을 일으켰지만 진압당했다. == 행적 == 1891년 카르모나 교회를 수리하던 중 서고트 왕국 시대 동전 더미가 발견되었다. 그 중에는 "Iudila Rex(유딜라 왕)"이란문구가 새겨진 금화 2개가 있었는데, 하나는 메리다에, 다른 하나는 그라나다에서 제작되었다. 유딜라는 왕관과 왕홀 등 왕실 휘장을 갖춘 모습으로 묘사되며, "Pious(평화)"라는 별칭이 부여되었다. 주화의 연대는 630년대이며, [[수인틸라]] 및 [[시세난드]] 시대의 주화와 주조 방식이 비슷하다. 학자들은 이 인물의 기원을 놓고 여러 가설을 제시했다. 일부 역사가들은 그가 서고트 귀족이었으며 세비야나 코르도바에 재산을 갖춘 귀족 가문에 속했다고 본다. 반면 또다른 학자들은 이름의 발음을 고려했을 때 유딜라는 '작은 유다'를 의미하며, 그의 조상은 [[유대인]]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스페인 역사가 가라키아 모레노는 유딜라가 수인틸라의 측근이며, 동로마 제국군을 이베리아 반도에서 완전히 축출한 수인틸라의 명령을 받들어 이베리아 반도 남반부의 수비를 맡았을 거라고 추정한다. 학계에서는 그가 수인틸라의 폐위와 시세난드의 즉위에 반발하여 반란을 일으키고 왕을 자칭했다고 본다. 그의 동전이 만들어진 두 도디는 베티카와 루시타니아 지방에 속하는데, 이로 볼 때 그의 영향력은 서고트 왕국의 남부 지역 상당수를 포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의 반란은 633년경 진압된 것으로 보인다. 633년 12월 5일에 열린 제4차 톨레도 공의회에서, 시세난드의 왕위 계승을 확정짓고 시세난드의 적들을 파문하고 재산을 박탈하기로 했다. 이때 파문당한 이들 중에는 유딜라의 반란에 참가한 자들도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분류:서고트 국왕]][[분류:폐위된 군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