劉璝 생몰년도 미상 [목차] == 개요 == [[후한]] 말의 인물로 [[유장(삼국지)|유장]]의 수하 장수다. 유씨인 것으로 보아 유장의 일족으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사실관계는 불명이다. == [[삼국지(정사)|정사 삼국지]] == [[유비]]가 군사를 돌려 익주를 공격하자, 유장의 명령을 받고 [[장임]], [[등현#s-1]], [[냉포]]와 함께 부성을 점령한 유비와 싸웠으나 끝내 패해 면죽으로 후퇴했다. 이후 형세가 불리해지자 장임과 함께 [[유순(삼국지)#s-1|유순]]을 모시고 낙성으로 들어가 지켰으나 214년, 낙성 역시 격파되었다. 이후 행적은 알려지지 않았다. == [[삼국지연의]] == ||[[장익(삼국지)|장익]] : 장군님, 우리는 더 이상 이길 가능성이 없습니다. 항복하는 게 최선입니다! 유괴 : 네 이놈! 그 입 다물지 못할까!! 장익 : 장군의 고집 때문에 우리 모두 죽을 수는 없소이다! 유괴 : 아니, 이놈이?! 장익 : 용서하십시오, 장군!! 유괴 : 컥!!! ---- - 이문열ㆍ이희재의 만화 삼국지에서 발췌|| [[장로(삼국지)|장로]]의 침공을 무서워한 [[유장(삼국지)|유장]]이 유비에게 구원을 요청했을 때 장임과 함께 반대했다. [[방통]]에게 명령받은 [[위연]]이 칼춤을 구실로 유장을 베려고 했을 때도 장임 등과 함께 저지했다. 유비가 부수관을 빼앗아 유장의 영내에 바싹 쳐들오자 장임, 냉포, 등현과 협력해 낙성에서 방어한다. 아군의 항복이 잇따르나 끝까지 싸우려 한다.[* [[엄안]] : 이제 장임도 죽었으니, 그만 항복하라![br]유괴 : 닥쳐라! 적군의 쓸개에 붙어먹은 놈들이 뻔뻔하구나![br] 엄안 : 너 혼자서 뭘 하겠다는 거냐? 공연히 목숨을 버리지 마라!![br]유괴 : 내가 죽어 귀신이 된다고 해도 끝까지 네놈들과 싸울 것이다!![br]▪️이후는 상단의 대화로 이어진다.▪️] 그러나 부하 [[장익(삼국지)|장익]]에게 베여 낙성은 유비군에게 함락당했다. == 미디어 믹스 == || [[파일:external/kongming.net/497-Liu-Gui.jpg]] || || 삼국지 9, 10,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861.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유장군의 부장스러운 능력치를 가지고 있다. 유비군에 맞서 끝까지 저항하려 했으나 싸워보지도 못하고 부하에게 죽임을 당했고 기록도 적어서 능력치는 평균적으로 어중간하다. [[삼국지 1]]부터 [[삼국지 3]]까지 등장하고 출연이 없었다가 [[삼국지 8]]에서 다시 복귀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4/지력 50/정치력 43으로 지력은 낮지만 삼국지 9 시스템상 극복할 수 있고, 연사가 있어서 부장으로 그럭저럭 써먹을 수 있는 장수다. 분전만 있고 분투가 없는 게 조금 아쉽다. 나머지 병법으로는 매도가 있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5/무력 72/지력 66/정치력 49/매력 63에 특기는 보수, 화시, 고무, 반격, 나선 5개. 유장군축에서도 좋다고 말하긴 애매하나, 그래도 [[양회(후한)|양회]], [[고패]]보다는 낫다. [[삼국지 12]]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1/무력 73/지력 67/정치력 44에 전방어강화라는 매우 좋은 전법을 부여받았다. 지력도 낮은 편이 아니라서 지속 시간도 괜찮다. 일러스트는 팔짱을 낀 채 입을 삐쭉거리고 있는데 가장 가능성이 높은 추측은 낙성이 완전히 포위당하고 항복 권유를 받자 들은 척도 안 하겠다는 의사를 겉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보인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훈련 1 단 하나. 전수특기도 당연히 훈련으로 전법은 소침공작이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3, 무력 72, 지력 66, 정치 44, 매력 63으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2 상승한 대신 무력과 지력이 각각 1 하락했다. 개성은 산전, 견뢰, 주의는 할거, 정책은 장사강화 Lv 3, 진형은 어린, 장사, 전법은 연노, 철벽, 매성, 친애무장은 [[유순(삼국지)|유순]], 혐오무장은 없다. [[파일:전략유괴.png]]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에도 등장하는데, 여기서는 장임, 냉포, 등현에게 명령을 내리는 등 넷 중에서 가장 높은 듯한 모습이다. 이후 먼저 유비에게 항복한 [[오의(삼국지)|오의]], [[엄안]], [[뇌동]], [[오란(삼국지)|오란]]이 항복을 권유하자 이들을 꾸짖으나 원작과 달리 장익이 아니라 병사에게 성벽 밖으로 밀려 떨어져 죽는다.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익주공략전 시나리오 초반부의 총대장을 맡았다. 장임이 무력 87로 [[안량]](85)을 능가하는데 비해 유괴의 무력은 장임보다 30 이상 낮은 51에 불과하다. 일러스트도 어쩐지 문관 느낌이 나며 그래도 꼴에 총대장이라고 레벨은 제일 높다. [[삼국지 공명전]] 익주 공방전을 전투 1회로 대충 때워버리는 바람에 대사만 나오고 전투엔 등장도 못한다. 그런데 windows95판에서는 일러스트가 난데없이 [[유기(삼국지)|유기]]의 얼굴이다. [[삼국전투기]]에는 [[베르세르크]]의 [[보이드#s-7]]로 등장한다. 임팩트 있는 이름과는 달리 의외로 임팩트 없다고. 강주 전투 (1)편의 타이틀 컷을 차지하기도 했다. 낙성 전투 편에서 처음 등장. 유장이 소집한 익주 5명장 중 하나로 언급되며 장임과 함께 낙성을 수비하고 있었다. 낙성 앞에 영채를 세워 둔 냉포와 등현이 당하고 [[방통]]의 신출귀몰한 용병술에 제대로 말려 1달만에 제대로 털리며 성을 빼앗길 위기에 처한다. 그러나 방통이 유시에 맞아 죽은 덕분에 강주 전투 편에서는 장임과 함께 브레인을 잃은 유비군을 일시적으로 몰아내는 데 성공한 것으로 묘사된다. 기 전투 편에서는 오의와 더불어 유순에게 유비군을 영격하자고 주장했고, 유순이 이를 채택하면서 제일 먼저 출격했지만 위연에게 1방에 썰리면서 사망했다. [[분류:후한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