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00,#ddd '''{{{+1 유관순}}}''' (1959)[br]''Yu Gwan-Sun''}}} || || '''{{{#000,#ddd 장르}}}''' ||{{{#!wiki style="margin: 0px 10px" 역사, 전기}}} || || '''{{{#000,#ddd 감독}}}''' ||{{{#!wiki style="margin: 0px 10px" [[윤봉춘]]}}} || || '''{{{#000,#ddd 각본}}}''' ||{{{#!wiki style="margin: 0px 10px" [[유치진]]}}} || || '''{{{#000,#ddd 기획}}}''' ||{{{#!wiki style="margin: 0px 10px" 방예정}}} || || '''{{{#000,#ddd 제작}}}''' ||{{{#!wiki style="margin: 0px 10px" 송유천}}} || || '''{{{#000,#ddd 출연}}}''' ||{{{#!wiki style="margin: 0px 10px" [[도금봉]], [[고설봉]], [[한은진]], [[이해룡(1937)|이해룡]], 윤태병 등}}} || || '''{{{#000,#ddd 촬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강위}}} || || '''{{{#000,#ddd 조명}}}''' ||{{{#!wiki style="margin: 0px 10px" 함완섭}}} || || '''{{{#000,#ddd 편집}}}'''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희수}}} || || '''{{{#000,#ddd 음악}}}'''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대현}}} || || '''{{{#000,#ddd 미술}}}''' ||{{{#!wiki style="margin: 0px 10px" 박석인}}} || || '''{{{#000,#ddd 소품}}}''' ||{{{#!wiki style="margin: 0px 10px" 전대준}}} || || '''{{{#000,#ddd 분장}}}''' ||{{{#!wiki style="margin: 0px 10px" 정철}}} || || '''{{{#000,#ddd 음향}}}''' ||{{{#!wiki style="margin: 0px 10px" 최칠복, 심재훈}}} || || '''{{{#000,#ddd 스틸}}}'''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찬영}}} || || '''{{{#000,#ddd 현상}}}''' ||{{{#!wiki style="margin: 0px 10px" 김창수}}} || || '''{{{#000,#ddd 스크립터}}}''' ||{{{#!wiki style="margin: 0px 10px" 오덕환}}} || || '''{{{#000,#ddd 제작사}}}'''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동보영화사}}} || || '''{{{#000,#ddd 개봉일}}}''' ||{{{#!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1959년 5월 21일}}} || || '''{{{#000,#ddd 화면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1.33:1}}} || || '''{{{#000,#ddd 상영 시간}}}''' ||{{{#!wiki style="margin: 0px 10px" 102분}}} || || '''{{{#000,#ddd 대한민국 총 관객 수}}}''' ||{{{#!wiki style="margin: 0px 10px" }}} || || '''{{{#000,#ddd 스트리밍}}}''' ||{{{#!wiki style="margin: 0px 10px" [[한국영상자료원|[[파일:한국영상자료원 로고.svg|width=90]]]] [[https://www.youtube.com/watch?v=XwgOequ9cM8|▶]]}}} || || '''{{{#000,#ddd 상영 등급}}}''' ||{{{#!wiki style="margin: 0px 10px" [[국민학생]]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1959년]] 영화. [[윤봉춘]]이 연출하였다. 윤봉춘은 [[유관순]] 영화를 [[1948년]], [[1959년]], [[1966년]] 세차례 만들었다. 이 영화는 두번째 영화이다. == 스트리밍 == ||[youtube(XwgOequ9cM8)]|| || '''영화 유관순'''([[한국영상자료원]]) || == 시놉시스 == > [[1919년]] [[3.1 운동|3.1독립운동]] 당시 16세의 어린 소녀로서 독립만세 대열에서 선봉에 섰다가 [[일본제국 경찰|일본경찰]]에게 잡혀 투옥되어 항일 투쟁 끝에 죽기까지 [[유관순]]의 순국정신과 짧은 생애를 영화화한 작품. 학생들의 독립운동이 심해지자 [[일본제국|일제]]는 휴교령을 내린다. 집에 내려온 유관순([[도금봉]])은 전국적으로 일어나는 독립운동에 참여하기 위해 동네 사람들을 비롯, 40여 부락을 돌아다니며 사람들을 설득시킨다. 아내 장터에서의 만세운동은 군중들의 참여로 성공적으로 이뤄지지만, 관순은 주모자로 일경에게 잡힌다. 관순은 지독한 고문을 견뎌내고 재판정에서도 [[일본인]]들에게 저항하며 감옥에서도 사람들을 독려하여 만세운동을 계속한다. 결국 관순은 일제에 의해 지하실에서 죽음을 당한다. >---- >출처: [[KMDb]] == 등장인물 == * [[도금봉]] - [[유관순]] 역 * [[고설봉]] - [[유중권]] 역 * [[한은진]] - 이씨 역[* 이소제] * 이해룡 - [[유우석|관옥]] 역 * 윤태병(아역) - 관복 역 * 이성진(아역) - 관석 역 * 남미랑 - 서영학 역 * 강양순 - 애덕 역 * 유춘 - 한 선생 역 * 이선경 - 변호사 역 * 윌슨(찬조출연) - 윌슨 역 * 고선애 - 사감선생 역 * 김수천 - 김구용 역 * 김희봉 - 구용의 처 역 * 정철 - 조인원 역 * [[강계식]] - 유병기 역 * 변일영 - 하야시 역 * 임운학 - 김목사 역 * [[김희갑]] - 고마도 역 * 석귀녀 - 고마도의 처 역 * 최삼 - 헌병대장 역 * 김칠성 - 전옥 역 * 김양 - 간수장 역 * 이업동 - 헌병 역 * 송훈 - 헌병 역 * [[조항(배우)|조항]] - 헌병 역 * 이기홍 - 헌병 역 * 조석근 - 헌병 역 * 이일선[*] - 판사 역 * [[이향(1914)|이향]] - 검사 역 * 백송 - 간수 역 * 고만길 - 배심판사 역 * 김미정 - 일녀 역 * 지방열 - 주막집 주인 역 * 최성 - 이종선 역 * 전세권 - 지게꾼 역 * [[복혜숙]][*uncredited 크레딧에는 나오지 않는다.] - 애덕의 모 역 * 박정임[*uncredited] - 서명학 역 == 설정 == == 줄거리 == == 평가 == == 흥행 == == 기타 == [[분류:유관순]][[분류:한국의 역사 영화]][[분류:한국의 전기 영화]][[분류:1959년 영화]][[분류:퍼블릭 도메인/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