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Don't Starve/캐릭터)] ||<-2>
<:> '''{{{+2 윌슨(Wilson)}}}'''[br]'''신사 과학자(The Gentleman Scientist)'''|| ||<-2><:>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Wilson.png|width=60%]] || ||<-2><:> '''{{{+3 "내 정신력으로 모든 걸 정복하겠어!"}}}'''|| ||<:> '''체력''' ||<:> 150 || ||<:> '''허기''' ||<:> 150 || ||<:> '''정신력''' ||<:> 200 || ||<:> '''공격력''' ||<:> 100% || ||<-2><:> '''특성''' || ||<-2><:> {{{#48A8FF 주기적으로 수염이 자람}}} || ||<-2><:> '''특수 아이템''' || ||<-2><:> 없음 || [목차] [clearfix] == 개요 == 게임 <[[Don't Starve]]>의 캐릭터. == 특징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ilson_Beard_Growth.jpg|width=100%]]}}} || ||<#8B0000> '''{{{#fff 윌슨의 수염이 자라는 과정}}}''' || Don't Starve에서 제일 처음부터 고를 수 있는 기본 캐릭터이다. 풀네임은 '''윌슨 퍼시벌 힉스버리(Wilson Percival Higgsbury)'''. 위트있고 말쑥한 옷을 차려 입은 과학자 캐릭터. 독특한 헤어 스타일이 인상적이며 자기 헤어 스타일을 굉장히 아끼는지 밀짚모자를 조사하면 헤어 스타일을 망친다거나, 투게더에서 우산을 조사하면 머리가 젖는 것을 싫어하는지 비를 맞으면 머리카락이 축축한 똥 모양이 된다고 표현할 정도다. 나이는 제작자 공인으로 30대라고 한다. 기본 캐릭터인 만큼 '''특별한 장점이 없으며, 그에 따른 단점도 없다.''' Don't Starve의 모든 캐릭터들은 장점이 있으면 반드시 단점도 있기 마련인데, 윌슨은 그 단점이 없기 때문에 초보자가 부담없이 선택할 수 있는 캐릭터이다. 윌슨의 유일한 특징은 4일, 7일, 15일마다 한 단계씩 수염이 자라 단계별로 15초, 45초, '''135'''초[* 2단계의 방한 효과가 120초이므로 결코 약한 방한 효과가 아니다.]의 방한 효과를 가지며 면도칼로 깎으면 정신력이 10 회복되며 제거된다. 초보자가 보통 제일 처음 맞이하는 위협인 겨울의 추위를 잘 견디게 해주는 특성이다. 그러나 거인의 군림에 추가된 더위는 그만큼 더 잘 타게 하므로, 여름이 시작되기 전에 반드시 깎아야 한다. 수염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것도 나름 좋다. 남들이 정신력 낮춰서 토끼 잡을 때 훨씬 수월하게 고기 우상을 세울 수 있다. 부활 수단이 적고 제한적인 오리지널에서 더욱 와닿는 장점이다. 기본 캐릭터인 만큼 다른 캐릭터의 능력치는 윌슨을 기준으로 매긴다. 내부 파일에서는 캐릭터의 이동 속도를 비롯한 자잘한 수치부터 아이템 스탯이 모두 'Wilson' 키워드로 묶여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예로 도끼의 공격력은 윌슨 공격력의 0.8배인 27, 창은 1.0배인 34이다. [clearfix] == 투게더 == [include(틀:Don't Starve Together/캐릭터)] ||
<-2>
<:> '''{{{+2 윌슨(Wilson)}}}'''[br]'''신사 과학자(The Gentleman Scientist)'''|| ||<-2><:> [[파일:Wilson_DST.png|width=60%]] || ||<-2><:> '''{{{+3 "내 정신력으로 이 세상을 정복하겠어!"}}}'''|| ||<:> '''체력''' ||<:> 150 || ||<:> '''허기''' ||<:> 150 || ||<:> '''정신력''' ||<:> 200 || ||<:> '''공격력''' ||<:> 100% || ||<-2><:> '''좋아하는 음식''' || ||<-2><:> [[Don't Starve/아이템/식품#Bacon and Eggs|[[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Bacon_and_Eggs.png|height=30pt]]'''베이컨 앤 에그''']] || ||<-2><:> '''특성''' || ||<-2><:> {{{#48A8FF 주기적으로 수염이 자람}}} || ||<-2><:> '''특수 아이템''' || ||<-2><:> 없음 || {{{#!folding 배경 이야기 [펼치기] > 어느 늦은 밤, 자택의 연구실에서 고된 연구를 이어나가던 윌슨은 라디오에서 말을 걸어오는 것을 듣고는 소스라치게 놀랐습니다. 처음에는 밤을 하도 새고 화약약품을 잘못 들이키는 바람에 미쳐버린 줄 알고 걱정했지만, 그 어느 것 하나 환상이 아니라는 말에 설득당했습니다. [[맥스웰(Don't Starve)|목소리]]는 윌슨에게 제안을 하나 했습니다. 자기가 원하는 사양대로 기계를 만들겠다면 그에게 지금껏 누구도 알지 못했던 감춰진 지식을 내주겠다는 것이었습니다. 판단력을 잃은 ''(실체 없는 수수께끼의 목소리와 막연히 거래한다고 무슨 해를 입겠느냐마는)'' 윌슨은 목소리가 말한 기계를 만들기 위해 모든 힘을 쏟았습니다. 마침내 기계가 완성되자, 우리의 신사 과학자는 잠시 망설였습니다. 그 순간 조금이라도 마음을 다잡았다면 곧 닥쳐올 운명을 피할 수 있었을 겁니다. 하지만 다그치는 목소리에 윌슨은 스위치를 내려 피조물을 작동시켰고... 그 순간 이후로 아무도 그를 볼 수 없게 되었습니다. > > [[Don't Starve Together|'''적어도 이 세상에서는 말이죠.''']] > ---- > ''- 배경 이야기, "감춰진 지식"'' }}} 투게더에서도 그 특유의 클래식 함은 변치 않았다. 리프레시를 통해 많은 개편을 받았음에도 유일하게 전용 아이템조차 존재하지 않는 캐릭터. 그 대신 스킬 포인트를 모아 스킬을 찍어 자신의 생존 및 다른 플레이어들과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다는 개성이 생겼다. 투게더에서는 봄 중반 부터 가을 초까지 추위를 방지해주는 일부 수단들이 작동 우선순위가 낮아지기 때문에 수염으로 인해 무더위를 앓을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된다. 원한다면 쭉 수염을 깎지 않은 채로 다녀도 좋다. 더불어 본작에서는 부활 수단이 많이 늘어났고, 야생(Wilderness) 모드를 제외하면 죽음에 대한 페널티가 영구적이지 않기 때문에 고기 우상의 존재감이 많이 낮아졌다. 따라서 안정적인 수염 수급원이라는 장점도 그닥 쓸모없어진 편. 파티에 윌로우가 있다면 버니를 양산할 재료로 제공할 수는 있다. 베이컨 앤 에그를 좋아하여, 섭취 시 15의 허기 보너스가 부여된다. 깨알같이 모토가 '모든 것'에서 '이 세상'으로 바뀌었다. === 특징 === * '''수염이 자람''' * 윌슨은 16일에 걸쳐 수염이 자란다. 각 단계별 수염 성장에 필요한 시간은 4일/8일/16일로, 최종 단계(16일)까지 성장을 마치면 더는 성장하지 않는다. * 수염은 단계별로 15 / 45 / 135의 방한력을 갖는다. 윌슨의 상징인 수염은 투게더에도 그대로 남아있으며, 능력 또한 오리지널과 완전히 동일하다. 또한 온도 계산 공식이 바뀌어 더는 수염을 깎지 않는다고 더위를 더 타진 않는다. 방한력은 온도가 내려가는 속도를 늦춰줄 뿐이다.[* {{{초당 하락 온도 = -30 / (30 + 총 방한력)}}}] === 스킬 트리 === ||<-9>
{{{+3 '''투자 가능 [[파일:Insight.webp]]통찰력(스킬 포인트) : 15'''}}} || ||<-2> '''{{{+2 횃불}}}''' ||<-3> '''{{{+2 연금술}}}''' ||<-2> '''{{{+2 수염}}}''' ||<-2> '''{{{+2 친화}}}''' || || [[파일:Torch Longevity 1.png]][br]횃불 지속Ⅰ || [[파일:Torch Range 1.png]][br]횃불 범위Ⅰ ||<-3> [[파일:Transmutation.png]][br]변환 || [[파일:Beard Insulation 1.png]][br]수염 보온력Ⅰ || [[파일:Beard Growth 1.png]][br]수염 성장Ⅰ || [[파일:watㅇ.png]][br]12포인트[br]투자 시 해금 || [[파일:watㅇ.png]][br]12포인트[br]투자 시 해금 || || [[파일:Torch Longevity 2.png]][br]횃불 지속Ⅱ || [[파일:Torch Range 2.png]][br]횃불 범위Ⅱ || [[파일:Transmute Ore 1.png]][br]광물 변환Ⅰ || [[파일:Transmute Gems 1.png]][br]보석 변환Ⅰ || [[파일:Transmute Icky 1.png]][br]유기물 변환Ⅰ || [[파일:Beard Insulation 2.png]][br]수염 보온력Ⅱ || [[파일:Beard Growth 2.png]][br]수염 성장Ⅱ || [[파일:watㅇ.png]][br]'''고대의 연료직공[br]처치 시 해금''' || [[파일:watㅇ.png]][br]'''천상의 대변자[br]처치 시 해금''' || || [[파일:Torch Longevity 3.png]][br]횃불 지속Ⅲ || [[파일:Torch Range 3.png]][br]횃불 범위Ⅲ || [[파일:Transmute Ore 2.png]][br]광물 변환Ⅱ || [[파일:Transmute Gems 2.png]][br]보석 변환Ⅱ || [[파일:Transmute Icky 2.png]][br]유기물 변환Ⅱ || [[파일:Beard Insulation 3.png]][br]수염 보온력Ⅲ || [[파일:Beard Growth 3.png]][br]수염 성장Ⅲ || [[파일:Shadow Courtier.png]][br] 그림자의 권신🔒︎ || [[파일:Lunar_Innovator.webp]][br] 월광의 혁신가🔒︎ || ||<-2> [[파일:Torch Toss.png]][br]횃불 투척🔒︎ || [[파일:Transmute Ore 3.png]][br]광물 변환Ⅲ || [[파일:Transmute Gems 3.png]][br]보석 변환Ⅲ || [[파일:Transmute Icky 3.png]][br]유기물 변환Ⅲ ||<-2> [[파일:Beard Hair Storage.png]][br]수염 보관함🔒︎ ||<-2> || ||<-9> '''윌슨의 스킬 트리''' || 스킬 포인트에 관한 정보는 [[Don't Starve/캐릭터#s-3.1|해당 문단 참고]] ==== 횃불 ==== ||<-10>
'''{{{+1 횃불(TORCH)}}}''' || ||<-5> '''횃불 지속(Torch Longevity)''' ||<-5> '''횃불 범위(Torch Range)''' || || [[파일:Torch Longevity 1.png]][br]횃불 지속 시간[br]16% 증가 || → || [[파일:Torch Longevity 2.png]][br]횃불 지속 시간[br]32% 증가 || → || [[파일:Torch Longevity 3.png]][br]횃불 지속 시간[br]50% 증가 || [[파일:Torch Range 1.png]][br]횃불 반경[br]3 증가 || → || [[파일:Torch Range 2.png]][br]횃불 반경[br]4 증가 || → || [[파일:Torch Range 3.png]][br]횃불 반경[br]5 증가 || ||<-10> 횃불 트리에 통찰력 3포인트 이상 투자 시 '''횃불 투척''' 해금 || ||<-10> '''횃불 투척(Torch Toss)''' || ||<-10> [[파일:Torch Toss.png]][br]횃불을 던져 바닥에 설치한다 || '''횃불 지속'''은 횃불의 사용 시간을 늘려준다. 이 능력은 윌슨 본인이 사용 중인 횃불의 내구도 소모율을 줄이는 것이므로, 다른 캐릭터가 윌슨이 만든 횃불을 사용하는 것으로는 효과를 볼 수 없다. 레벨에 따른 증가 비율이 적용된 지속 시간은 다음과 같다. * 기본 횃불 : 75초 * 횃불 수명Ⅰ : 87초 * 횃불 수명Ⅱ : 99초 * 횃불 수명Ⅲ : 112.5초 '''횃불 범위'''는 횃불이 밝혀주는 범위를 늘려준다. 3레벨 기준으로 꽤 체감되는 편이다. 하지만 랜턴과 비슷한 수준에, 횃불의 용도 자체가 임시 광원이란 점을 생각해보면 큰 의미는 없다. '''횃불 투척'''은 지정한 위치로 횃불을 던져 설치하는 능력을 획득한다. 횃불은 포물선을 그리며 착지하며, 날아가는 동안에도 광원을 제공한다. 설치된 횃불은 꺼지지 않고 내구도가 다할 때 까지 빛을 낸다. --흙부름-- 설치 가능한 휴대용 광원은 호박등이나 랜턴 정도가 전부지만, 이 스킬을 찍은 윌슨은 그런 거 없이 간단하게 횃불을 던져 광원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윌슨이 설치한 횃불은 지속 시간이나 반경 스킬의 영향도 받기 때문에 쏠쏠한 시너지를 낸다. 극초반 밤 찰리에게 공격받지 않고 도구를 쓸 수 있는 점은 매력적이지만, 횃불 투척을 찍으려면 최대 통찰력 포인트 15 중에서 4포인트나 필요하다. 게다가 횃불은 극초기 광원으로 쓰이고 버려지는 물건이라 애초에 횃불 계열 스킬은 우선순위가 떨어진다. 연금 트리는 다른 생존자와 시너지를 낼 수 있으며, 수염 트리는 본인의 생존력과 편의성 강화를, 친화 트리는 딜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횃불 트리는 정말 광원 하나밖에 없다. 광원 쪽은 대체재도 많으니 [[왠지 등신같지만 멋있어|횃불 던지기가 정말 재밌어서 찍을 것]]이 아니면 채용은 고민해 봐야 한다. ==== 연금술 ==== 아이템 변환과 관련된 스킬 트리. 가장 많은 스킬 슬롯을 차지하며, 그만큼 윌슨의 메인 아이덴티티로 작용한다. 윌슨은 이 스킬 트리로 인해 다른 생존자와 시너지를 내는데 성공했으며, 본인의 편의성도 늘어났다. 특히 후반부 수급이 어려운 초석이나 부싯돌도 변환이 가능하기에 윌슨을 픽할 실용적인 이유가 '''드디어''' 생겨났다. 비록 [[위노나(Don't Starve)|일회성 캐릭터 변경]]이라 할지라도 수염밖에 없는 유사과학자 신세에서 취급이 크게 좋아졌다. ===== 변환 ===== ||
'''{{{+1 연금술(ALCHEMY)}}}''' || || '''변환(Transmutation)''' || || [[파일:Transmutation.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Twigs|[[파일:Twigs(DS).png|height=25pt]]]](잔가지) 3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Log|[[파일:Log(DS).png|height=25pt]]]](통나무)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Log|[[파일:Log(DS).png|height=25pt]]]](통나무)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Twigs|[[파일:Twigs(DS).png|height=25pt]]]](잔가지) 2개 || 나무와 잔가지를 서로 변환한다. 연금술 스킬 트리의 기초가 되는 스킬로 이 스킬을 배우지 않으면 다른 연금술 스킬도 배울 수 없다. 잔가지는 위커바텀의 책 없이는 순간적으로 불리기가 힘들고 통나무는 노동력과 도끼를 소모한다. 둘 중 수급이 더 잘되는 자원을 집중적으로 공략해 부족한 쪽을 윌슨이 보충해줄 수 있다. ===== 광물 변환 ===== ||<-5>
'''{{{+1 연금술(ALCHEMY)}}}''' || ||<-5> '''광물 변환(Transmute Ore)''' || || [[파일:Transmute Ore 1.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Rocks|[[파일:Rocks.png|height=25pt]]]](돌) 3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Flint|[[파일:Flint.png|height=25pt]]]](부싯돌)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Flint|[[파일:Flint.png|height=25pt]]]](부싯돌) 2개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Rocks|[[파일:Rocks.png|height=25pt]]]](돌) 1개 || → || [[파일:Transmute Ore 2.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Nitre|[[파일:Nitre.png|height=25pt]]]](초석) 3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Gold Nugget|[[파일:Gold Nugget.png|height=25pt]]]](금)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Gold Nugget|[[파일:Gold Nugget.png|height=25pt]]]](금)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Nitre|[[파일:Nitre.png|height=25pt]]]](초석) 1개 || → || [[파일:Transmute Ore 3.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Cut Stone|[[파일:Cut Stone.png|height=25pt]]]](석재)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Marble|[[파일:Marble.png|height=25pt]]]](대리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Marble|[[파일:Marble.png|height=25pt]]]](대리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Cut Stone|[[파일:Cut Stone.png|height=25pt]]]](석재)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Marble|[[파일:Marble.png|height=25pt]]]](대리석)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Moon Rock|[[파일:Moon Rock.png|height=25pt]]]](월석) 1개 || 돌, 부싯돌, 금, 초석, 석재, 대리석, 월석을 변환한다. 본래 광물 자원들은 돌과 금을 제외하고는 수급 방법이 굉장히 제한적이어서 수요에 비해 공급이 매우 부족한 자원들이었는데, 변성이 가능해짐에 따라 파밍 난이도가 낮아졌다. 부싯돌은 보온석과 극초기 도구들의 재료로나 쓰이고 그 이후로는 그다지 볼 일이 없는 자원이지만, '''자갈 길'''을 깔 때 대량 필요하다. 메가 베이스를 꾸미는 유저들에겐 가뭄의 단비 같은 능력. 초석은 흡열불, 화약, 조명탄, 소금 덩어리 등의 재료로 지속적으로 소모되는 자원이라 귀한 대접을 받고 있었는데, 이 역시 양산이 가능해졌다. 특히 금은 돼지왕에게 트링킷, 육류를 교환하느 것으로 구하기가 쉽기 때문에 초석을 부담없이 대량 생산 할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위노나의 초석 발전기나 웨버의 퉤퉤 변신과자 등 초석을 잡아먹어 평소에 마음대로 쓰지 못했던 아이템들도 윌슨이 있다면 부담없이 사용할 수 있다. 대리석과 월석은 변성 효율이 나빠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수요는 충분한 자원이라 때때로 도움이 된다. 대리석 같은 경우엔 소량만 만들어도 씨앗으로 불릴 수 있고, 월석은 천상의 포탈을 제작한 후에는 캐릭터 변경에 하나씩 소모되는지라 많이 만들 필요도 없다. ===== 보석 변성 ===== ||<-5>
'''{{{+1 연금술(ALCHEMY)}}}''' || ||<-5> '''보석 변환(Transmute Gems)''' || || [[파일:Transmute Gems 1.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Red Gem|[[파일:Red Gem.png|height=25pt]]]](붉은 보석)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lue Gem|[[파일:Blue Gem.png|height=25pt]]]](푸른 보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lue Gem|[[파일:Blue Gem.png|height=25pt]]]](푸른 보석)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Red Gem|[[파일:Red Gem.png|height=25pt]]]](붉은 보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lue Gem|[[파일:Blue Gem.png|height=25pt]]]](푸른 보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Red Gem|[[파일:Red Gem.png|height=25pt]]]](붉은 보석) 1개[br]→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ple Gem|[[파일:Purple Gem.png|height=25pt]]]](보라 보석) 1개 || → || [[파일:Transmute Gems 2.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ple Gem|[[파일:Purple Gem.png|height=25pt]]]](보라 보석) 3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Orange Gem|[[파일:Orange Gem.png|height=25pt]]]](주황 보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Orange Gem|[[파일:Orange Gem.png|height=25pt]]]](주황 보석) 3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Yellow Gem|[[파일:Yellow Gem.png|height=25pt]]]](노란 보석) 1개 || → || [[파일:Transmute Gems 3.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Yellow Gem|[[파일:Yellow Gem.png|height=25pt]]]](노란 보석) 3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Green Gem|[[파일:Green Gem.png|height=25pt]]]](초록 보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Red Gem|[[파일:Red Gem.png|height=25pt]]]]+[[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Orange Gem|[[파일:Orange Gem.png|height=25pt]]]]+[[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Yellow Gem|[[파일:Yellow Gem.png|height=25pt]]]]+[[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Green Gem|[[파일:Green Gem.png|height=25pt]]]]+[[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lue Gem|[[파일:Blue Gem.png|height=25pt]]]]+[[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ple Gem|[[파일:Purple Gem.png|height=25pt]]]][br](모든 보석 1개씩)[br]→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Iridescent Gem|[[파일:Iridescent Gem.png|height=25pt]]]](무지갯빛 보석) 1개 || 모든 종류의 보석을 변환한다. 1레벨부터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붉은 보석과 파란 보석은 계절에 따라 몰리는 경우가 많은데 약간의 손해를 보며 비율을 맞춰준다. 보라 보석 교환은 기존의 마법 테크에도 있는 제작법이라 큰 의미는 없다. 반면 2레벨은 효율이 너무 낮아 사용처가 극히 제한적이다. 노란 보석 자체는 유용하나 유적을 털지 않고 변성만으로 노란 보석을 만들려면 붉은 보석과 푸른 보석이 각각 9개씩 필요하다. 보석 파밍장을 차려둔게 아니면 엄청나게 부담스럽다. 그저 3레벨을 찍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찍는 스킬이다. 3레벨부터는 모든 보석을 1개씩 사용해 '''무지갯빛 보석'''을 연성할 수 있다. 여러모로 파격적인 능력으로 게임 플레이 성향에 따라 활용도가 무궁무진해진다. 귀찮은 달 부름 지팡이 이벤트를 보지 않고도 무지갯빛 보석을 획득할 수 있고, 용파리를 잡는다면 첫 보름 이전에 유적 파밍도 없이 바로 기록 보관소를 가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천상의 대변자]] 준비 가속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2인 이상 스피드런 기록 단축에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스피드런이 아니라도 무지갯빛 보석은 '''[[위커바텀/책(Don't Starve Together)#s-14|월광의 서]]''' 제작에 쓰인다. 무지갯빛 보석 뽑기가 그리 어렵지 않고, 동굴을 킬 수 없을 정도로 컴퓨터가 사양이 낮은 유저는 많지 않지만[* 주로 일본 유저들이 동굴을 끄고 플레이한다. 그쪽은 PC보다 콘솔이 더 보편화되어 있다. 굶지마 자체도 PC가 아닌 스위치로 하는 편.] 그럼에도 동굴을 끄고 플레이 하는 소수의 유저들에게는 희소식. 기록 보관소에 꽂힌 무지갯빛 보석을 이용한 2권 외에 추가적으로 월광의 서를 만들고 싶을 때에도 유용하다. 별부름이 없거나, 있지만 빨리 만들고 싶을 경우 윌슨의 도움을 받아 재료를 구할 수 있다. 그래도 가능하면 달부름 이벤트를 보는게 보석을 절약하는데 낫다. 이렇듯 3레벨은 스피드런이나 위커바텀을 위해서 찍는 경우가 많기에, 이 두 상황이 아닌 경우엔 찍지 않아도 플레이에 무리는 없다. 하지만 숙련될수록 게임 템포가 빨라지고 서버 인원이 많을수록 위커바텀이 반쯤 고정적으로 출현하기에 이 스킬의 존재감은 결코 낮지 않다. 여담으로, 파티원은 해당 캐릭터의 프로필을 클릭하지 않고선 어떤 스킬을 찍은지 모른다. 고로 3레벨을 찍었다면 or 찍지 않았다면 들어갈 때 미리 알려두는 것이 좋다. ===== 유기물 변성 ===== ||<-5>
'''{{{+1 연금술(ALCHEMY)}}}''' || ||<-5> '''유기물 변환(Transmute Icky)''' || || [[파일:Transmute Icky 1.png]][br][br][[Don't Starve/아이템/식품#Morsel|[[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Morsel.png|height=25pt]]]](고깃조각) 3개 → [[Don't Starve/아이템/식품#Meat|[[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Meat.png|height=25pt]]]](고기) 1개 ---- [[Don't Starve/아이템/식품#Meat|[[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Meat.png|height=25pt]]]](고기) 1개 → [[Don't Starve/아이템/식품#Morsel|[[파일:external/img1.wikia.nocookie.net/Morsel.png|height=25pt]]]](고깃조각) 2개 || → || [[파일:Transmute Icky 2.png]][br][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eard Hair|[[파일:Beard Hair.png|height=25pt]]]](수염)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eefalo Wool|[[파일:Beefalo Wool.png|height=25pt]]]](비팔로 털)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eefalo Wool|[[파일:Beefalo Wool.png|height=25pt]]]](비팔로 털)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eard Hair|[[파일:Beard Hair.png|height=25pt]]]](수염) 1개 || → || [[파일:Transmute Icky 3.png]][br][br][[Don't Starve/아이템/식품#Rot|[[파일:Rot.png|height=25pt]]]](부패물) 6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Manure|[[파일:Manure.png|height=25pt]]]](거름)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Hound's Tooth|[[파일:Hound's Tooth.png|height=25pt]]]](사냥개 이빨)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one Shards|[[파일:Bone Shards.png|height=25pt]]]](뼛조각)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Bone Shards|[[파일:Bone Shards.png|height=25pt]]]](뼛조각)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Hound's Tooth|[[파일:Hound's Tooth.png|height=25pt]]]](사냥개 이빨) 1개 || 고기류와 털류, 이빨과 뼈를 변환한다. 1레벨부터 매우 유용하다. 쪼개기는 주로 요리에서 쓸모가 많다. 고기 하나로 금이나 알 2개를 얻을 수 있으며, 요리를 할 때 고기 하나로 두 칸을 사용할 수 있다. 미트볼처럼 요구 고기값이 1 미만인 요리를 할 때에도 효율적이며, 특히 피에로기를 만들 때엔 고기 하나로 고기와 알 조건을 모두 챙길 수 있다. 합치기는 식용으로는 효율이 좋지 않으나, 작은 고기만으로도 햄 몽둥이를 만들 수 있게 해 준다. 2레벨은 제한적인 상황에서 쓸모가 있다. 수염이 필요하거나, 반대로 수염이 넘치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기에 자주 변성을 하진 않지만, 윌로우에게 버니 재료로 수염을 공급할 수 있고, 동굴 원숭이를 많이 잡았다면 넘쳐나는 수염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3레벨은 1레벨만큼은 아니지만 종종 쓰인다. 바느질 도구를 양산하느라 뼈만 남았다거나, 뼛조각의 수요가 클 때[* 주로 완다와 왈리.] 자원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부패물은 아보카돌과 새작 등으로 굉장히 많이 쌓이기에, 주로 웜우드를 위해 바꾸게 된다. ==== 수염 ==== ||<-10>
'''{{{+1 수염(BEARD)}}}''' || ||<-5> '''수염 보온력(Beard Insulation)''' ||<-5> '''수염 성장(Beard Growth)''' || || [[파일:Beard Insulation 1.png]][br]수염 방한 효과[br]20% 증가 || → || [[파일:Beard Insulation 2.png]][br]수염 방한 효과[br]40% 증가 || → || [[파일:Beard Insulation 3.png]][br]수염 방한 효과[br]70% 증가 || [[파일:Beard Growth 1.png]][br]수염 성장까지[br]3일 / 7일 / 15일 || → || [[파일:Beard Growth 2.png]][br]수염 성장까지[br] 3일 / 6일 / 12일 || → || [[파일:Beard Growth 3.png]][br]수염 성장까지[br] 2일 / 5일 / 10일 || ||<-10> 수염 트리에 통찰력 3포인트 이상 투자 시 '''수염 보관함''' 해금 || ||<-10> '''수염 보관함(Beard Hair Storage)''' || ||<-10> [[파일:Beard Hair Storage.png]][br]수염 내부에 식품 저장 가능 || 기존 윌슨 고유 능력이였던 수염을 강화하는 스킬 트리. 수염 보온력은 겨울을 보다 쉽게 날 수 있게 해주며, 수염 성장은 수염이 최종 단계까지 자라는 시간을 최대 6일 단축해준다. 수염 성장의 경우 자주 깎아야 할 일이 적은 투게더의 특징상 크게 부각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자주 죽는다면 죽을 때 리셋되는 수염을 좀 더 빨리 복원할 수 있다. 증가 비율이 적용된 방한력과 성장 속도 비교는 다음과 같다. * 기본 수염 : 15 / 45 / 135 * 단열재 수염Ⅰ : 18 / 54 / 162 * 단열재 수염Ⅱ : 21 / 63 / 189 * 단열재 수염Ⅲ : 25.5 / 76.5 / '''229.5''' * 기본 성장 : 4일 / 8일 / 16일 * 수염 성장Ⅰ : 3일 / 7일 / 15일 * 수염 성장Ⅱ : 3일 / 6일 / 12일 * 수염 성장Ⅲ : 2일 / 5일 / '''10일''' 수염 보온력 3레벨의 경우 방한력 229.5의 절륜한 수치를 보인다. 방한력이 240인 부푼 조끼와 비팔로 모자를 끼면 무려 '''700'''을 넘기는 수치. '''수염 보관함'''은 말 그대로 수염의 단계별로 1/2/3칸짜리 인벤토리가 생긴다. 별도의 인벤토리 UI가 추가되며, 수염에 보관한 고기 음식은 토끼 인간이 감지하지 못한다. 신선도 보너스 같은 건 없지만 추가 인벤토리는 매력적인 옵션이다. UI를 포함해 컨셉이 좀 더럽긴 하지만 플레이의 편의성을 높여주는 요소. 어차피 수염 스킬이 모두 좋다 보니 기왕 수염에 투자할 거 수염 보관함까지 같이 찍는 경우가 많다. ==== 친화 ==== ||<-2>
'''{{{+1 친화(AFFINITY)}}}''' || || 통찰력 12포인트 투자[br]'''고대의 연료직공을 퇴치'''[br]두 조건 만족 시 '''그림자의 권신''' 해금 || 통찰력 12포인트 투자[br]'''천상의 대변자를 퇴치'''[br]조건 만족 시 '''월광의 혁신가''' 해금 || || [[파일:Shadow Courtier.png]][br]'''그림자의 권신[br]Shadow Courtier''' || [[파일:Lunar_Innovator.webp]][br]'''월광의 혁신가[br]Lunar Innovator'''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Dreadstone|[[파일:Dreadstone.png|height=25pt]]]](공포석) 1개[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e Horror|[[파일:Pure Horror.png|height=25pt]]]](순수한 공포)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e Horror|[[파일:Pure Horror.png|height=25pt]]]](순수한 공포) 3개[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Dreadstone|[[파일:Dreadstone.png|height=25pt]]]](공포석)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e Horror|[[파일:Pure Horror.png|height=25pt]]]](순수한 공포) 1개[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Nightmare Fuel|[[파일:Nightmare Fuel.png|height=25pt]]]](악몽 연료) 2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Infused Moon Shard|[[파일:Infused Moon Shard.png|height=25pt]]]](충전된 달 파편) 3개[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e Brilliance|[[파일:Pure Brilliance.png|height=25pt]]]](순수한 광휘) 1개 ---- [[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Pure Brilliance|[[파일:Pure Brilliance.png|height=25pt]]]](순수한 광휘) 1개[br]→[[Don't Starve/아이템/기초 자원#Infused Moon Shard|[[파일:Infused Moon Shard.png|height=25pt]]]](충전된 달 파편) 2개 || ||<-2> '''{{{+1 특이사항}}}''' ---- 반대 진영 스킬 선택 불가 || || 달 진영의 생물에게 가하는 피해량이 10% 증가[br]그림자 진영 생물에게 받는 피해량 10% 감소 || 그림자 진영의 생물에게 가하는 피해량이 10% 증가[br]달 진영 생물에게 받는 피해량 10% 감소 || > [[찰리(Don't Starve)|여왕]]이 당신의 충성에 대한 보답으로 그림자 변환의 비밀을 하사합니다.[br][[찰리(Don't Starve)|The Queen]] will reward your loyalty with the secrets of Shadow Transmutation. > ---- > 그림자의 권신 선택 문구 > [[와그스태프|비밀스러운 창립자]]가 당신의 호기심에 대한 보답으로 달 변환의 비밀을 선물합니다.[br][[와그스태프|The Cryptic Founder]] will reward your curiosity with the secrets of Lunar Transmutation. > ---- > 월광의 혁신가 선택 문구 2023년 3월 17일 윌슨 리프레쉬로 모든 스킬과 함께 '그림자의 권신'이 추가되었고, 곧이어 2023년 4월 27일 굶지마의 10주년과 함께 시작된 "From Beyond" 업데이트로 '월광의 혁신가' 스킬이 추가되었다. 그림자와 달이 충돌하는 콘셉트로 보이며, 이는 개발자들이 10주년 기념 스트리밍에서 밝힌 [[https://forums.kleientertainment.com/forums/topic/147449-rhymes-with-play-tidbits-on-future-content/|반영구적 진영 선택]]에 대한 선도입으로 보인다. 그에 따라 한 진영의 스킬을 선택하면 포인트 유무에 관계없이 반대 진영의 스킬을 배울 수 없다. 공통적으로 해당 진영의 생물에게 받는 피해량이 감소하고, 반대 진영의 생물에게 입히는 피해량이 증가한다. 단, 인게임에서는 설명문으로 넌지시 암시할 뿐 정확한 효과를 알려주지 않는다. '''그림자의 권신'''은 악몽 아이템을 변성하며 그림자 친화적 능력을 얻는다. 해당 스킬을 배우면 스킬창이 그림자 손으로 뒤덮이는 효과가 있다. 순수한 공포와 공포석은 리프레쉬와 함께 추가된 보스인 악몽화된 늑대돼지를 잡으면 얻을 수 있고 이후 연료직공을 잡은 이후 열 수 있는 그림자 균열이 활성화 하면 지하에서 추가적으로 얻을 수 있다. 공포석으로는 공포석 방어구 세트나 벽, 기둥을 제작할 수 있고 순수한 공포는 공포석 방어구 세트, 공허의 장비를 제작하는데 사용되며 악몽연료로 충전이 가능한 아이템을 충전하는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월광의 혁신가'''는 달(''Lunar'') 아이템을 변성하며 달 친화적 능력을 얻는다. 해당 스킬을 배우면 스킬창이 게슈탈트로 뒤덮이는 효과가 있다. 피해량 증가에 있어선 그림자의 권신보다 고평가를 받는 스킬이다. 그림자 진영 생물은 대표적으로 '''그림자 생물'''이 있으며 이들은 초반부터 생각보다 자주 만나게 되는 적대적 몬스터다. 기어다니는 공포의 체력은 300, 공포부리의 체력은 500으로 햄몽둥이 최고 신선도 기준 6대, 9대를 공격해야 죽지만, 해당 스킬을 찍으면 5대, 8대로 줄어든다. 필요 공격 횟수를 줄여주기에 악몽 파밍 등을 노린다면 최우선으로 고려해 볼만하다. 유적에서 만날 수 있는 망가진 체스 기계병들도 그림자 진영이라 유적 탐사에도 유용하다. 순수한 광휘는 "From Beyond" 업데이트로 추가된 빛말풀 장비의 재료로 쓰인다. 장비들의 성능은 몹시 뛰어나지만, 문제는 재료로 빛말풀 거죽을 함께 요구한다는 것이고, 빛말풀 거죽은 '''천상의 대변자 토벌 이후''' 맵 곳곳에 생기는 '치명적인 빛말풀'을 제거해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도 바로 생기는 게 아니라 균열 확장을 모두 기다린 다음 일반 식물에 깃드는 빛말풀을 제거해야 한다. 즉 극후반부에 진입하고도 며칠을 소모해야 한다. 장기 서버가 아닌 이상에야 이를 제대로 활용하기는 어렵다. === 평가 === 리프레쉬를 받은 이후 드디어 특색이 생겼다. 다른 캐릭터와 비교하면 아직 아쉬운 수준이지만, 능력과 컨셉이 모두 나사가 빠진 윌로우나 패널티가 너무 강해 장점을 모두 상쇄하는 웨버, 월터와 비교하면 확실히 좋아진 것이 맞다. 윌슨이 누군가와 비교해 우위에 선다는 것 자체가 감격스러운 부분. 어떤 스킬을 찍느냐에 따라 캐릭터 운용 방식이 달라지는 것도 특이 사항이다. 물론, 바닐라 컨셉을 계승한듯 능력의 대부분이 수염과 재료 변환에 치중되어 뭘 찍든 비슷한 운용을 보이지만, 세부적인 차이점이 있다. '''횃불 트리'''의 경우 평가가 좋지 않다. 횃불이라는 아이템 자체는 랜턴을 얻기 전까지만 쓰다 버리는 물건이다. 횃불 투척 자체는 쓸만하지만, 선행 스킬의 가치가 낮아서 4포인트씩이나 들이기에는 효용성이 낮다. '''연금 트리'''는 윌슨의 아이덴티티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유연성이 뛰어난 스킬들이다. '''초석'''과 대리석, '''무지갯빛 보석'''을 만들 수 있는 건 말할 것도 없고, 연금 트리의 대부분이 하다 보면 꼭 일어나는 '재료의 불균형'을 해소해주어 멀티 플레이의 편의성이 크게 증가했다. 멀티 방에서 윌슨이 있다면, 위커바텀 못지 않게 불려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수염 트리'''는 원래도 좋았던 윌슨의 겨울 생존 능력을 한껏 끌어올려주고 편의성을 제공한다. 단열재 수염을 마스터한 윌슨은 겨울 내내 비팔로 모자 하나를 들고 다니는 것과 같으며, 방한력 240의 아이템[* 비팔로 모자, 부푼 조끼.]을 하나만 갖춰도 '''469.5'''의 방한력을, 둘을 갖추면 '''700'''이 넘는 방한력을 보유할 수 있다. 400만 넘겨도 보온석 없이 플레이가 가능할 정도인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유지력. 3칸의 공짜 인벤토리는 덤이다. '''친화 트리'''는 체력과 피해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줌으로 찍을 가치는 충분하다. 선행 조건이 통찰력 12점 투자와 지상과 지하에 해당하는 최종보스 잡기지만, 둘 다 어떻게든 달성하기만 한다면 포인트 소모 없이 해금된다. 사실상 통찰력 1점만 투자하면 파격적인 능력을 누릴 수 있다는 뜻이다. 종합하자면 윌슨은 굶지마에서 '''가장 겨울 친화적인 캐릭터'''이며, 연금 트리에서 오는 유연성을 이용, 협동시 가려운 부분을 긁어주는 감초 역할을 톡톡히 해낼 수 있게 되었다. == 작중 행적 == [include(틀:스포일러)] === 과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N0QhvmisGWU)]}}} || ||<#8A2908> '''{{{#ffffff Don't Starve Cinematic Trailer: Forbidden Knowledge}}}''' || >신사 과학자 윌슨은 금단의 지식을 발견합니다... Don't Starve 세계로 오기 전에는 외진 산 속에 있는 오두막에서 연구를 하고 있었던 과학자였다.[* 오두막에서 연구하는 이유는 투게더의 로딩화면 툴팁에 따르면 원래 대학에서 연구하다가 화학 실험실을 박살내 막대한 청구비를 떠안은 것을 계기로 대학을 떠나서 홀로 연구했다고 한다.(...)] 집에 박혀 하루하루 실험에만 몰두하고 있었으나 실험이 죄다 실패하여 좌절하고 있던 도중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이상한 소리에 이끌려 금단의 지식을 얻고, 그 지식으로 맥스웰의 세계와 이어지는 기계장치를 만든다.[* 맥스웰의 웃는 얼굴을 닮은 기계이며, 맥스웰 언락을 위해 필요한 [[Don't Starve/어드벤처 모드|게임 내 이벤트]]로도 등장한다.] 윌슨도 만들어 놓고 보니 뭔가 수상쩍었는지 망설이지만 이상한 목소리의 압력에 못 이겨 결국 기계를 작동시켜 버리고, 윌슨은 Don't Starve의 세계에 빨려 들어가고 만다. 이것이 게임의 시작. Don't Starve 세계에 온 계기가 정확하게 밝혀진 몇 안되는 캐릭터이다. 그 외엔 위노나, 위그프리드, 월터, 웨스, 완다가 있다. === 투게더 === * 자세한 것은 [[Don't Starve/어드벤처 모드]] 참고. 게임상으로는 어드벤처 모드를 어떤 캐릭터로 플레이해도 무방하지만, 공식 스토리상에서는 윌슨이 [[맥스웰(Don't Starve)|맥스웰]]을 찾아간 것으로 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tAjbOJBfk5U)]}}} || ||<#8A2908> '''{{{#ffffff Don't Starve Together - A New Reign Cinematic}}}''' || 맥스웰을 찾아내 왕좌에서 풀어준 윌슨은, 오히려 그림자 손에 의해 자신이 왕좌에 묶이고 만 상태이다. 이때 불이 하나둘 꺼지더니 '''[[찰리(Don't Starve)|찰리]]가 찾아온다.''' 찰리는 윌슨을 왕좌에서 풀어주자마자 그림자 인격에 사로잡혀 윌슨에게로 넘어갔을 그림자 군주의 힘을 빼앗고, 정신을 잃은 윌슨을 어딘가로 보내버린다. [[https://dontstarve.fandom.com/wiki/Cyclum_Puzzles?file=Page_2_2.png|다시 Don't Starve 세계로 돌아온 윌슨은 어느 날 밤 맥스웰과 재회한다.]] 후술하겠지만, 당연하게도 윌슨은 자신을 속인 맥스웰을 좋게 볼 리 없었고, 둘은 치고 박고 싸우다가 모닥불의 불이 꺼지자 겨우 다시 불을 피운 뒤[* 이 상황은 실제 게임 내에서 심심찮게 일어나는 일들이다. 정신력이 어느 정도 낮은 수준이면 그림자 괴물에게 쫓기고 모닥불을 향하여 손이 불을 꺼뜨려서 죽을 뻔 한다거나.], 서로의 안부를 묻는다. 윌슨이 마지막으로 본 맥스웰의 모습은 먼지가 되어 사라지는 모습이였기에 그가 죽은 걸로 착각한 듯 하다. 맥스웰은 윌슨에게 어떻게 왕좌에서 풀려났느냐고 묻고, 윌슨은 찰리에게 힘을 빼앗기고 풀려났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이후 윌슨의 청사진과 맥스웰의 본영의 고대서를 이용해 게이트를 만들어 탈출하려 하나 [[Don't Starve Together|찰리의 개입으로 포탈이 변형되면서 다른 캐릭터들이 끌려오게 된다.]][* 이때 윌슨과 맥스웰이 만든 게이트는 '''임시로 급하게 만들어진 포탈'''로, 투게더 베타 버전 때 실제 인게임에서 쓰였던 포탈이다. 정식 출시되면서 코믹스에서 찰리가 바꾸어 놓은 것처럼 '''화려한 포탈'''로 바뀌게 된다.] 맥스웰의 싱크 탱크 조사 대사[* 맥스웰: "힉스버리의 아이디어가 말이 되는지 보자고."]에 따르면, 달 섬이 만들어지고 바다의 형태가 바뀐 후 배를 타고 탐험하자는 건 윌슨의 의견이었던 모양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A9RM0jdwo)]}}} || ||<#8A2908> '''{{{#ffffff Don't Starve Together: Interference [Wilson Animated Short]}}}''' || >새로운 시작과 주변 환경의 변화란 커다란 과학적 발견을 추구하는 이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것입니다. 그러나 윌슨에게는 주변 환경이 예상 이상으로 급격하게 바뀌는 불운이 찾아오고 있었습니다. 어느 날부터 콘스탄트 세계 곳곳에 장미덩굴들이 자라나는 현상이 발발하자 윌슨은 직접 현장에 나가 조사하는 중이었다. 그러는 도중 한구석에서 와그스태프의 홀로그램이 새로운 인조 포탈로 보이는 구조물을 건설하는 현장을 우연히 목격한다. 구조물의 설계에 감탄할 틈도 없이 와그스태프는 윌슨에게 자신의 작업을 도와달라 부탁해오고 윌슨은 흔쾌히 손을 빌려준다. 들뜬 마음으로 작업을 시작하려는 찰나, 윌슨은 와그스태프의 자료가 담긴 폴더를 열어보다가 어딘가 익숙한 물건을 보게 된다. 때는 윌슨이 아직 현실 세계에 있던 시절의 이야기. 대학에서 나와 짐을 싸들고 도착한 새로운 집은 윌슨이 전단지에서 본 것과 달리 굉장히 낡아 빠진 오두막이었다. 이를 따질 틈도 없이 차는 곧장 떠나버렸고 윌슨은 하는 수 없이 오두막에 들어선다. 먼지와 거미줄은 기본에 쥐까지 들끓는 오두막 내부를 보며 윌슨은 안색이 더 나빠진다. 하지만 이 오두막의 다락방에는 누군가 실험에 쓴 듯한 제대로 된 실험기구들이 있었고 이를 보자마자 윌슨은 바로 표정이 환해진다.[* 돋보기 안경을 보면 윌슨 이전 집 주인은 [[와그스태프]]였을 가능성이 높다.] 집기들을 둘러보던 윌슨은 책상 서랍에서 웬 열쇠를 발견한다. 이 열쇠를 꽂을 구멍이 집 어딘가에 있을 것이라 짐작한 윌슨은 집 구석구석을 뒤져본다. 이때 비교적 멀쩡한 붉은 소파나 마룻바닥에 숨겨져 있던 해골 등, '금단의 지식'에서 윌슨의 집에 있던 물품들도 오랜만에 재등장한다. 그렇게 샅샅이 뒤적이면서 마침내 책장 뒤에 있는 숨겨진 금고를 발견하고 곧장 열쇠를 끼워 열어본다. 그 안에는 웬 라디오가 하나 있었다. 훗날 '''윌슨이 맥스웰의 목소리를 들었던 바로 그 라디오'''였다. 그런데 그 라디오의 설계도가 와그스태프의 자료에 끼어있었던 것. 윌슨은 놀란 마음에 와그스태프를 쳐다본다. 곧이어 와그스태프는 윌슨에게 빨리 작업을 도와달라며 손짓을 하고 윌슨은 석연찮은 마음으로 당장은 별 말 없이 와그스태프의 작업을 보조해주러 발걸음을 옮긴다. 그런데, 바로 다음 나타나는 장면에서 '''현실 세계의 윌슨의 오두막에 지금 누군가가 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작업용 장갑을 끼고 있다는 것 외에는 누군지 드러나지 않은 채로, 그 누군가가 라디오를 조정하는 것으로 영상은 끝이 난다. == 스킨 == ||
[[파일:Wilson_Guest_of_Honor_Skin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_Mad_Scientist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_Magmatic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_Rose.png|width=100%]] || ||<#999> '''Guest of Honor'''[br]Tuxedo || {{{#8738A4 '''Hallowed Nights'''[br]Mad Scientist}}} ||<#FF932E> {{{#FFF82E '''Magmatic'''[br]Obsidian}}} ||<#D03636> {{{#FFDEDE '''Roseate'''[br]Gardenrose}}} || || [[파일:Wilson_Shadow_Skin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_Snowfallen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_Survivor_Skin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_Verdant_Portrait.png|width=100%]] || ||<#000> {{{#D78B8B '''Triumphant'''[br]Shadow Suit}}} ||<#BCE1E1> {{{#fff '''Snowfallen'''[br]Hoarfrost}}} ||<#605252> {{{#ddd '''Survivor'''[br]Rumpled Outfit}}} ||<#84A989> '''Verdant'''[br]Botanist || || [[파일:Wilson_Victorian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_Warrior_Skin_Portrait.png|width=100%]] || [[파일:Wilson-Halloween.png|width=100%]] || - || ||<#73557E> {{{#D2C7D6 '''Victorian'''[br]Physician}}} ||<#9E6B6B> {{{#EDEAC6 '''Gladiator'''[br]Forge}}} ||<#5D6666> {{{#C7D2D2 '''Halloween Costumes'''[br]Guardian Pig}}} || - || 과학자라는 캐릭터답게 스킨 또한 이에 맞춰서 나오고 있다. 특히 할로윈 스킨 중 [[매드 사이언티스트]]는 아예 미친 과학자에 딱 맞춰 나와서 인기가 많다. 검투사(Gladiator) 스킨의 좌안 적색 문양은 [[크레토스]]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용암불꽃(Magmatic) 스킨의 의상 디자인은 [[애니메이션 아바타 시리즈]]의 [[불의 제국]] 갑주와 유사하다. 할로윈 코스튬에서 변장한 몬스터는 근위병 [[돼지(Don't Starve)|돼지]]. 세트마다 수염 스킨이 존재한다. 수염 스킨 추가 당시 접속 보상으로 당시에 나와 있던 모든 세트의 수염 스킨을 지급했다. 현재는 번들로 구매하지 않았다면 별도 획득해야 한다. == 캐릭터 조사 대사 == {{{#!folding '''캐릭터 조사 대사''' 펼치기 접기 > [[윌슨(Don't Starve)|윌슨]]: 항성과 원자이시여! 너 내 도플갱어인거야? > [[윌로우(Don't Starve)|윌로우]]: 안녕 [플레이어 이름]! > [[볼프강(Don't Starve)|볼프강]]: 작은 헛똑똑이 남자, [플레이어 이름]! 안녕! > [[웬디(Don't Starve)|웬디]]: 잘 지내시나요, [플레이어 이름]? > [[WX-78]]: 탐색중... [플레이어 이름]! > [[위커바텀]]: 반갑구나, [플레이어 이름] 얘야! 요즘 네 논리적 명제는 어떠니? > [[우디(Don't Starve)|우디]]: [플레이어 이름]! 어이 친구! > [[맥스웰(Don't Starve)|맥스웰]]: 윽, 반갑네, [플레이어 이름] 군. > [[위그프리드]]: 지혜가 그대를 인도하리라, [플레이어 이름]! > [[웨버(Don't Starve)|웨버]]: 안녕, [플레이어 이름]! 정말 좋은 날씨에요! > [[위노나(Don't Starve)|위노나]]: 어이, [플레이어 이름]! 어떻게 지내? > [[왈리(Don't Starve)|왈리]]: 반가워요, [플레이어 이름]! > [[워톡스]]: 노는게 더 재밌는데 누가 과학을 하고 싶어해? > [[웜우드(Don't Starve)|웜우드]]: 안녕, 과학 사람! > [[워트(Don't Starve)|워트]]: 안녕, 웃긴머리 남자! > [[월터(Don't Starve)|월터]]: 안녕하세요, [플레어이 이름] 아저씨! > [[완다(Don't Starve)|완다]]: [플레이어 이름]! 너에게 하려던 말이 있었는데, 뭐였더라...}}} == 기타 == * 게임 내 목소리로 사용된 악기는 하몬 뮤트를 장착한 [[트럼펫]]. --덕분에 유튜브 댓글창에서는 트럼펫 소리가 나오면 세계의 굶붕이들이 윌슨을 찾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 [[파일:external/images4.wikia.nocookie.net/Wilson_Shovel.png|width=200]] 밝은 표정의 일러스트와 달리 게임 내에서는 항상 눈살 찌푸린 표정을 짓고 있으며, 말장난[* 얼음을 조사하면 "Ice to meet you."라고 하고 비를 어느 정도 맞아 젖기 시작하면 "Oh, H2O."라고 하는 등.]을 자주 하지만 시니컬한 대사도 종종 보인다.[* 해골을 발견하면 "내가 저리 되는 것보단 낫지."("Better you than me.")라고 한다. 이 문장은 무관심 혹은 떠맡기기 등의 뜻을 나타내는 부정적 숙어인데, 쉽게 말해 '나만 아니면 돼'라는 느낌이 강하다. 허나 의외로 공식 영상에서 덜렁거리는 모습을 보면 맥스웰에게 속아서 본래의 서글서글한 인격에 비관적인 면모가 생긴 듯하다. 여담으로 자신의 해골을 조사하면 "내가 저리 되는 것보다는... 잠깐만!" 이라고 한다.] 또한 맥스웰에게 받은 지식 덕분인지 아이템이나 물체와 상호 작용을 할 때 공돌이스러운 발언을 자주 한다. * [[https://youtube.com/watch?v=Hu5kecKz-RA|클레이의 크리스마스 기념 영상]]에선 윌로우, 웨버와 함께 평소의 악기로 내는 목소리 대신 클레이 엔터테인먼트의 개발자가 성우를 맡아서 직접 캐롤을 불렀다. * 윌슨의 이명인 '신사 과학자(Gentleman Scientist)'는 [[르네상스]] 시대에 취미로 과학 연구를 했던 귀족 남성, 즉 르네상스 시대에 살았던 '''재야 과학자(혹은 독립 과학자)'''를 의미한다. * DST의 Guest of Honor 스킨 설명에 따르면 격식을 차리는 파티를 싫어한다고 한다. [[월터(Don't Starve)|월터]]의 모자를 조사할 때도 어렸을 적에 야외 활동을 좋아하지 않았다고 하니, 별로 사교적인 성격은 아니고 내향적이었던 모양이다. * 투게더에서 포지 특수 능력이 아군을 2배 빨리 살려내고 더 많은 체력을 지니고 부활하게 하는 것인 점, 고지 스킨 컨셉이 내과 의사인 점, 난파선에서 의족을 조사하면 절단 수술을 할 줄 안다는 등의 면모로 보아 어느 정도의 의학 지식도 있는 모양이다. --제일 평범한 등장인물이다-- --월터는?-- --뽀빠이 개를 데리고 있으니까-- * 타이틀은 과학자지만, 정작 과학기계 테크 상승 효과는 사서인 [[위커바텀]]에게 붙어있는 능력이라서 사서보다 못한 과학자, 헛똑똑이라고 까이기도 한다.~~그래서 연금술사로 전항했다.~~ === [[Don't Starve Together/무대|무대]] 즉흥극 === ||
'''{{{#fff 윌슨}}}''' ||I am the very model of a modern Major-General 내가 바로 이 시대의 지식인의 참 모범 || || '''{{{#fff 윌슨}}}''' ||I've information vegetable, animal, and mineral 식물이든 동물이든 광물이든 다 알지 || || '''{{{#fff 윌슨}}}''' ||I'm very well acquainted, too, with matters Mathematical 수학이면 뭐가 되든 못 푸는게 없다지 || || '''{{{#fff 윌슨}}}''' ||I understand equations, both the simple and quadratical 선형이든 이차이든 방정식은 다 풀지 || 그야말로 자뻑으로 점칠된 내용 주제에 제대로 라임을 갖추고 있다는게 포인트다. 원곡은 [[https://ko.m.wikipedia.org/wiki/%EA%B8%B8%EB%B2%84%ED%8A%B8%EC%99%80_%EC%84%A4%EB%A6%AC%EB%B2%88|길버트와 설리번]]의 희극 오페라(comic opera) '펜잔스의 해적들(Pirates of Penzance)' 중 '[[https://en.m.wikipedia.org/wiki/Major-General%27s_Song|소장의 노래(Major-General's Song)]]'.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title=Don't Starve/캐릭터,version=1786)] [[분류:Don't Starve/캐릭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