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2 {{{#fff '''윌버 웨이틀리'''}}}}}}[br]{{{#fff '''Wilbur Whateley'''}}}[* 황금가지판 러브크래프트 전집에서는 이 애매한 철자의 이름이 윌버 '휘틀리'로 표기되었다.]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Wilbur_whateley_by_mscorley-d2y6u1e.jpg|width=100%]]}}}|| ||<-2> {{{#fff {{{-2 출처 : [[https://lovecraft.fandom.com/wiki/Wilbur_Whateley|H.P.러브크래프트 팬덤 위키]] / [[https://villains.fandom.com/wiki/Wilbur_Whateley|빌런 팬덤 위키]]}}} }}} || [목차] [clearfix] == 개요 == [[크툴루 신화]]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 처음 등장한 것은 러브크래프트의 소설 <[[던위치의 공포]]>. == 작중 행적 == 웨이틀리 일족은 [[던위치]]에 사는 저주받은 일족으로, [[매사추세츠]] 문장을 붙일 자격을 가진 [[세일럼]]의 명가였지만 대대로 [[근친혼]]을 거듭하고 마도에 빠져 타락의 길을 걸었다. 윌버 웨이틀리는 이 일족의 주술사가 자신의 딸인 [[https://lovecraft.fandom.com/wiki/Lavinia_Whateley|러비니아 웨이틀리(Lavinia Whateley)]][* 참고로 윌버를 낳을 당시, 라비니아는 30대 중반의 추한 [[알비노]] 아줌마였다고 한다.]를 [[요그 소토스]]와 [[검열삭제]]시켜서 낳은 [[쌍둥이]] 중 한 명이다.[* 윌버 웨이틀리와 그의 이름없는 형제는 [[크툴루 신화]] [[세계관]]에 나오는 종족들 중에서 올드 원의 양자 혹은 [[요그 소토스]]의 자식으로 분류가 된다.] 러비니아는 자신이 낳은 윌버 웨이틀리에 대한 자랑이 유난히 대단했으며, 아이의 비범한 능력과 미래의 엄청난 성공에 대해 기묘한 예언을 들었다고 주변에 알렸다고 한다. 그리고, 윌버 웨이틀리가 태어나는 날 밤에, 일상적인 언덕의 소음과는 또 다른 끔찍한 비명소리가 일어났다고 하며, 던위치에서 윌버의 할아버지에 대한 악명이 악명이다보니, 윌버가 태어난지 1주일이 되는 시점에서 윌버의 할아버지가 마을로 내려와 횡설수설해서야 비로소 던위치에서 윌버가 태어난 것을 알았다고 한다. 즉, 윌버가 태어난 지 1주일이 되어서야 던위치에 윌버가 태어났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유년기부터 지능과 체격 양면에서 비정상적인 조숙함을 나타낸다. 그래서인지, [[던위치]]에서 공포의 대상이 되었던 윌버 웨이틀리의 할아버지가 무언가를 두려워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하는데, 아무래도 윌버 혹은 그의 이름없는 형제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피부색도 까무잡잡할 뿐더러 생김새 또한 [[염소]]처럼 생겼다고 한다. 나이 두어살 때는 보통 아이 10대 모습처럼 컸으며 10살도 되지 않았을 때에는 이미 키가 180이 넘었고, 18살도 안 되었을 땐 키가 무려 244cm에 이르는 거인이 되었다. 그리고, 옷을 입고 있는 한은 매우 짐승과 같은 인간이지만, 복부에는 빨갛기 이를데가 없는 흡판을 가진 회색의 긴 촉수들이 몇개나 늘어져있고, 꼬리같은 촉수나 퇴화된 듯한 눈 모양의 구체가 둔부에 달려있으며, 파충류 같은 다리가 검은 털로 덮여져있는 실로 인간을 벗어난 괴물과도 같은 외양을 하고 있다고 한다. 그리고, 윌버 웨이틀리 또한 [[아우터 갓]] [[요그 소토스]]의 아들이기 때문인지, [[그레이트 올드 원]]들의 언어를 말할 수가 있는 것으로 보여지고, 윌버 본인의 목소리 또한, 윌버 본인의 발성기관 또한 사람의 것이 아니기 때문인지, 이상할 정도로 공명을 일으키는 목소리라고 한다. 대대로 집안에 전해지는 마도의 연구에 몰두해 [[그레이트 올드 원]]의 소환을 꾀했지만, 그의 비정상적인 모습과 그가 [[네크로노미콘]] 라틴어판에서 복사해가려고 한 내용의 위험성에 경계심을 품은 [[헨리 아미티지]]가 거절한다. 윌버는 비릿한 웃음을 지으면서 다른 곳으로 떠났으나 경계를 품은 아미티지는 다른 대학 [[도서관]]에도 그에게 [[마도서]]를 대출해주지 말 것을 당부한다. 이로 인해 모든 대학에서 마도서 대출을 거절당하자 윌버는 결국 미스카토닉 대학의 도서관에서 몰래 [[네크로노미콘]]을 훔치려고 시도했으나, 경비견에게 물려서 반인반수의 모습을 드러낸 채 사망했다.[* 무려 아우터 갓과 인간의 혼혈씩이나 되는 괴물이 고작 개한테 물려죽었다는게 황당할 수 있는데, 크툴루 신화에서 개는 [[미고]]를 죽이고 물어오는(!) 활약을 하기도 할 정도로 신화 내 부정한 존재를 상대하는 데 있어 강하다고 묘사되며, 무엇보다도 세계관 내에서 인간에게 헌신적인 존재는 개밖에 없다고 한다.] 그리고, 그의 시체는 끈적끈적하기 이를데가 없는 백색의 덩어리로 분해되었으며, 골격구조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고 한다.[* 아마 러브크래프트가 생전에 혐오하던 해산물 중 오징어의 이미지를 가져온것 같다.] 그의 형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거대한 괴물로, 가축들로 먹이를 주던 웨이틀리가 죽은 뒤 우리를 부수고 나와 던위치를 공포로 몰아넣는다.[* 지독한 악취를 풍기는 괴물로서 발자국의 크기가 드럼통만하며, 집을 부술 정도로 컸다. 아미티지의 말에 따르자면 윌버보다 아버지(요그 소토스)를 더 많이 닮았다고. 그리고, 이 이름없는 형제의 존재로 인해, [[던위치의 공포]]가 시작되었다가 끝난 시기인 [[1928년]]까지 줄기차게 가축(정확히는 소)들을 사들였다고 한다.] 이쪽도 끝내는 네크로노미콘 라틴어판과 [[이븐 가지의 분말]]을 사용한 아미티지 교수 일행의 주문에 의해 퇴치되었다. 소름끼치는 것은 마지막 순간 모습을 드러낸 이 괴물이 집채만한 [[인간]]의 머리를 달고 인간과 흡사한 절규를 내지르고 있었다는 것. 참고로 '퇴치했다'고는 했지만 사실 저 형제 괴물은 '''죽은 게 아니다. 요그 소토스가 있는 아우터 갓의 [[우주]]로 추방당한 것이다.''' 1970년에 만든 [[영화]]에선 딘 스톡웰이 연기했다. [[파일:external/pds19.egloos.com/e0006522_4e22a976c14fb.jpg]] 이 영화에선 윌버가 무사히 도서관에서 네크로노미콘 책을 훔쳐가는 데 성공한다. 여기에선 원작과 달리 그냥 평범하게 생긴 몸. 이 영화는 [[로저 코먼]]이 제작하고 커티스 핸슨이 공동 각본을 쓰긴 했지만, 원작 팬들에게 욕을 꽤나 얻어먹었다. 그러나 2009년에 나온 리 스콧 감독의 영화는 더 엉망이다. 정말 웬만해선 안 보는 걸 권한다. 여담으로, 윌버 웨이틀리와 그의 이름없는 형제의 존재는 '''[[크툴루 신화]]에서 [[인간]]과 [[그레이트 올드 원]](혹은 [[아우터 갓]])과의 사이에서 [[교배]]가 가능하다라는 증거 중 하나가 된다.''' === [[참마대성 데몬베인]]의 윌버 웨이틀리 === [include(틀:스포일러)] [[다이쥬지 쿠로]]가 미스카토닉 대학 부설 도서관에서 마도서를 열람할 때 습격한 괴물의 정체. 이 사건으로 쿠로는 음비학과를 나왔으며, 여기서 쿠로가 살 수 있었던 것은 [[알 아지프]]가 도와줬기 때문(본인은 잘 몰랐지만). 루리 루트에선 쿠로에게 빙의한 괴물로 나와서 하도우 루리를 검열삭제할 뻔 했지만...([[이하생략]]) 이후 도주하지만 원작과 비슷하게 검은 개에게 물려 살해당했다.[* 검은 개는 사실 [[에셀드레다]]이며, [[마스터 테리온]]이 이 사건에 관여하고 있었다.] 참마대성 알 루트에선 [[아이온]]에 의해 퇴치당한 듯한 회상장면이 있지만, 기신비상에선 쌍둥이 형제 웨이틀리는 일전에 [[헨리 아미티지]], 프렌시스 모건, 워렌 라이스 이 3명에게 퇴치되었다. 소설에선 아미티지가 홀로 퇴치하려고 마도서까지 챙겨서 던위치에 갔으나 실제로 보고 난 안 될 거야 아마하자 아이온이 나타나서 원턴킬해버렸다. [[어나더 블러드]]에 의해 '피의 괴이'로 출연, [[데몬베인 투소드]], [[암브로시우스(동음이의어)#s-3|암브로시우스]] 등을 위기에 몰아넣는 데 성공하지만 [[아이온]], [[데몬베인]]에게 발렸다. [[파괴로봇]]을 마운트 자세로 두들겨패는 장면도 나온다. 참고로 이 쌍둥이는 같은 [[아버지]](요그 소토스)를 둔 [[마스터 테리온]]과는 배다른 형제가 된다. '염소를 닮고 키가 2m를 넘었다'는 윌버 웨이틀리 및 그의 형제와 마스터 테리온을 비교해보면 같은 아버지라도 어머니에 따라서 얼마나 외모의 차이가 심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각주] [[분류:크툴루 신화/등장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