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BBC 선정 최악의 영국인)] ||<-2> '''컴벌랜드 공작[br]{{{+1 윌리엄 어거스터스 }}}[br]Prince William Augustus, Duke of Cumberland'''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mw01660.jpg|width=100%]]}}} || || '''이름''' ||윌리엄 어거스터스[br](William Augustus)|| || '''출생''' ||[[1721년]] [[4월 26일]][br][[잉글랜드]] [[런던]] 레스터 하우스|| || '''사망''' ||[[1765년]] [[10월 31일]] (향년 44세)[br][[잉글랜드]] [[런던]]|| || '''장례식''' ||[[1765년]] [[11월 10일]][br][[잉글랜드]]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 || '''아버지''' ||[[조지 2세]]|| || '''어머니''' ||[[안스바흐의 카롤리네]]|| || '''형제''' ||[[프레더릭 루이|프레더릭]], 앤, 아멜리아, 캐롤라인, 조지 윌리엄, 메리, [[영국의 루이자|루이자]]|| [목차] [clearfix] == 개요 == [[영국]] [[하노버 왕조]]의 왕자이자 컴벌랜드 공작.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과 [[7년 전쟁]]에서 활약했다. == 작위 == || [[파일:Coat_of_Arms_of_William_Augustus,_Duke_of_Cumberland.svg.png|width=250]] || || 문장 || * 윌리엄 왕자 전하 His Royal Highness Prince William (1721년 4월 26일 ~ 1726년 7월 27일) * 컴벌랜드 공작 전하 His Royal Highness The Duke of Cumberland (1726년 7월 27일 ~ 1765년 10월 31일) == 생애 == === 초기 경력 === 1721년 4월 26일 하노버 선제후 겸 영국 국왕 [[조지 2세]]와 [[안스바흐의 캐롤라인]] 사이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1726년에는 컴벌랜드 공작에 올랐다. 그는 우수한 교육을 받았고 아버지에 의해 고급 제독의 직책을 맡게 되었다. 1740년, 존 노리스 경의 지휘 아래 영국 함대에 가담했다. 그러나 그는 곧 해군 생활에 진절머리를 냈고 진로를 육군으로 변경했다. ===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 1742년 초, 어거스터스는 육군 경력을 시작해 12월에 소장이 되었고 1743년 6월 27일 아버지 조지 2세와 함께 [[데팅겐 전투]]에 참가해 영국군의 승리를 지켜봤지만 그 과정에서 부상을 입었다. 이 전투 후, 그는 중장으로 진급했고 얼마 후 영국 육군 대장으로 승진했다. 1745년, 영국, 하노버, 오스트리아, 네덜란드군으로 구성된 연합군의 총사령관이 되어 플랑드르 전선으로 향했다. 그해 5월 11일, 그는 [[프랑스군]] 원수 [[모리스 드 삭스]]에게 포위된 [[투르네]]를 구원하려 했지만 [[퐁트누아 전투]]에서 패배했다. 이때 어거스터스는 친히 영국군 군단을 이끌고 프랑스군 중심을 공격했으나 모리스 드 삭스 원수의 노련한 지휘로 인해 실패했다. 그래도 어거스터스는 군대를 질서정연하게 철수시켜 영국군이 괴멸되는 사태를 미연에 방지했다. 1745년 후반, 영국 북부를 침공한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제임스 2세]]의 손자.]가 지휘하는 [[자코바이트]] 반란군을 진압하는 임무를 맡고 플랑다르 전선을 떠나 영국으로 귀환했다. 어거스터스가 이끄는 영국군이 진군해오자 반란군은 더비에서 퇴각했다. 이에 어거스터스는 추격에 나섰으나 클리프톤 무어에서 적의 매복에 걸린 선봉대가 패배했고, 그는 이 책임을 지고 런던으로 소환되었다. 1746년 1월 어거스터스 대신 지휘를 맡은 헨리 하울리 장군이 이끄는 영국군이 폴커크 무어에서 자코바이트 반란군에게 패배했다. 이후 영국군 사령관으로 복직된 어거스터스는 1월 30일 에딘버러에 도착한 뒤 스코틀랜드인들의 기습에 대비하기 위한 훈련을 철저하게 실시해 병사들을 단련시킨 뒤 에버딘을 향해 진군했다. 1746년 4월 8일, 에버딘에 도착한 그는 다시 인버네스를 향해 출발했고 4월 16일 컬로덴에서 적과 마주쳐 정면 대결을 벌였다. 이 컬로덴 전투에서 어거스터스가 이끄는 영국군은 자코바이트 반란군을 궤멸시켰고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는 여장을 한 뒤 영국을 가까스로 빠져나와 프랑스로 망명했다.[* 이때 스튜어트 왕자를 인솔하여 같이 프랑스로 망명한 닐 맥도널드의 아들이 바로 [[나폴레옹]] 시기 [[대육군]]의 제국원수였던 [[자크 마크도날]]이다. 마크도날 원수는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스코틀랜드를 찾아 컬로든의 전장을 방문했고, 아버지의 고향인 헤브리디스 제도에서 가족들을 만난다.[[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sanghajwau&logNo=223093555887&referrerCode=0&searchKeyword=%EB%A7%88%ED%81%AC%EB%8F%84%EB%82%A0|#]] ] 이후 어거스터스는 3개월 동안 스코틀랜드에 남아서 반란에 가담한 자들을 모조리 잡아들여 총살형에 처했다. 그는 이 행동으로 "도살자 컴벌랜드"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된다. 1747년, 어거스터스는 연합군 사령부가 위치한 플랑다르로 돌아왔다. 7월 2일, 그는 [[라우펠트 전투]]에서 모리스 드 삭스 원수와 다시 한 번 격돌했으나 대패했다. 그후 1748년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이 종식되었고, 어거스터스는 영국으로 돌아와 영국 육군 대장에 복직했다. === 7년 전쟁 === 1757년 7년 전쟁이 발발한 후 하노버 궁정은 어거스터스에게 영국-하노버-헤센-브라운슈바이크 연합군을 이끌어달라는 제의를 해왔다. 어거스터스는 이 제의를 받아들이고 프랑스군의 하노버 침공을 저지하려 했다. 그러나 7월 26일, 그는 [[하스텐벡 전투]]에서 프랑스군에게 패했다. 이후 하노버 영토 대부분을 상실하고 퇴각하던 그는 9월 8일 하노버 측이 프랑스군과 클로스터르제벤 협약을 체결해 전쟁에서 이탈하는 걸 받아들이고 군대를 해산시키기로 했다. 아들의 이같은 결정을 전해들은 조지 2세는 격노하며 아들을 즉각 경질하고 클로스터르제벤 협약의 무효를 주장했다. 그 후 [[로스바흐 전투]]에서 대패한 프랑스군이 퇴각하기 시작하자, 조지 2세는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페르디난트]]에게 연합군 총사령관을 맡기기로 했다. 한편 어거스터스는 영국으로 돌아와 아버지를 알현했다. 이때 조지 2세는 주위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를 망치고 스스로에게 망신을 준 내 아들이 여기 있다. 이후 어거스터스는 모든 공직에서 사퇴하고 윈저 궁의 개인 별장에 은거했다. 그러다가 1760년 10월 25일 조지 2세가 붕어한 뒤 조카 [[조지 3세]]가 즉위하면서 그는 정계에 다시 복귀할 수 있었다. 어거스터스는 조지 3세의 매우 영향력 있는 조언자가 되었고[* 조지 3세의 유일한 숙부였다. 어거스터스의 바로 윗 형은 태어난 지 1년만에 죽었다.] 전장에 다시 뛰어들어 1761년 7월 16일 [[빌링하우젠 전투]]에서 영국군 지휘관을 맡았다. === 이른 죽음 === 전쟁이 끝난 후 [[뇌졸중]]으로 고통받다가 1765년 10월 31일 런던에서 사망했다. 향년 44세. 그는 생전에 결혼하지 않아서 자식이 없었고, 그의 모든 작위는 단절되었다. == 가족 관계 == ||<#FFA3A5,#5c0001> 본인 ||<#FFDBAE,#512c00> 부모 ||<#FFFFAE,#505100> 조부모 ||<#AEFFC6,#005118> 증조부모 || ||<#FFE4E1,#330500><|13> 컴벌랜드 공작 윌리엄 어거스터스[br]{{{-2 (Prince William Augustus,[br]Duke of Cumberland)}}} ||<#FFF3E4,#331c00><|6> [[조지 2세]][br]{{{-2 (George II)}}} ||<#FFFFE4,#323300><|3> [[조지 1세]][br]{{{-2 (George I)}}} || ||<#E4FFEC,#00330f> [[하노버]]의 선제후[br]에른스트 아우구스투스[br]{{{-2 (Ernest Augustus, Elector of Hanover)}}} || ||<#E4FFEC,#00330f> [[팔츠의 조피]][br]{{{-2 (Sophia, Princess Palatine of the Rhine)}}} || ||<#FFFFE4,#323300><|3> [[첼레의 조피 도로테아|첼레의 공녀 조피 도로테아]][br]{{{-2 (Princess Sophia Dorothea of Celle)}}} || ||<#E4FFEC,#00330f>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 공작[br]게오르크 빌헬름[br]{{{-2 (George William, Duke of Brunswick-Lüneburg)}}} || ||<#E4FFEC,#00330f> 엘레오노르 마리 드미에 돌브뢰즈[br]{{{-2 (Éléonore Marie Desmier d'Olbreuse)}}} || ||<#FFF3E4,#331c00><|7> [[안스바흐의 카롤리네|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공녀 카롤리네]][br]{{{-2 (Princess Caroline of Brandenburg-Ansbach)}}} || ||<#FFFFE4,#323300><|3>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변경백 요한 프리드리히[br]{{{-2 (John Frederick, Margrave of Brandenburg-Ansbach)}}} || ||<#E4FFEC,#00330f> 브란덴부르크안스바흐의 변경백 알베르트 2세[br]{{{-2 (Albert II, Margrave of Brandenburg-Ansbach)}}} || ||<#E4FFEC,#00330f> 외팅엔외팅엔의 공녀 조피 마르가레테[br]{{{-2 (Sophie Margarete of Oettingen-Oettingen)}}} || ||<#FFFFE4,#323300><|3> 작센아이제나흐의 공녀 엘레오노레 에르드무테[br]{{{-2 (Princess Eleonore Erdmuthe of Saxe-Eisenach)}}} || ||<#E4FFEC,#00330f> 작센아이제나흐 공작 요한 게오르크 1세[br]{{{-2 (John George I, Duke of Saxe-Eisenach)}}} || ||<#E4FFEC,#00330f> 자인비트겐슈타인 여공작 요한나[br]{{{-2 (Countess Johanna of Sayn-Wittgenstein)}}} || [[분류:영국의 군인]][[분류:1721년 출생]][[분류:1765년 사망]][[분류:웨스트민스터 출신 인물]][[분류:컴벌랜드 공작]][[분류:하노버 가문]][[분류:가터 훈장]][[분류:웨스트민스터 사원 안장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