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윌리엄 로원 해밀턴}}}[br]Sir William Rowan Hamilton''' || ||<-2> [[파일:William_Rowan_Hamilton_portrait_oval_combined.png|width=100%]] || ||<|2> '''출생''' ||[[1805년]] [[8월 4일]]||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더블린]]|| ||<|2> '''사망''' ||[[1865년]] [[9월 2일]] (향년 60세)||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더블린]]|| || '''국적'''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 '''직업''' ||수학자|| || '''학력'''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 '''소속'''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 '''수상''' ||로열 메달 {{{-2 (1835)}}}|| || '''종교''' ||[[개신교]]([[복음주의]])[* C. M. Ingleby, “[[https://www.maths.tcd.ie/pub/HistMath/People/Hamilton/BritCon/BritCon.html|Modern Metaphysicians. THE LATE SIR WILLIAM ROWAN HAMILTON, LL.D., M.R.I.A., HON. F.R.S.E, &c.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School of Mathematics - Trinity College Dublin, 1869년.]|| [목차] [clearfix] == 개요 == [[아일랜드]] 출신의 [[수학자]]. [[해밀턴 회로]]와 [[케일리-해밀턴 정리]]를 통하여 익히 알고 있는 그 수학자이다. 가히 "[[선형대수학]]의 아버지"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선형대수학의 개척에 크게 기여했다. == 주요 업적 == 업적으로는 동역학과 광학의 통합, [[그래프(이산수학)|그래프 이론]]에 [[해밀턴 회로]]라는 문제를 제기한 것, [[사원수군]]의 도입 등이 있다. 동역학에 있어서 [[고전역학|뉴턴 역학]]과 [[조제프루이 라그랑주|라그랑주]]의 결과를 정리해서 [[해밀턴 역학]]을 만드는 업적을 남겼다. 해밀턴 역학은 이후 [[양자역학]]을 전개하는 역학적인 기본이 된다는 점에서 해밀턴이 현대물리학에 끼친 영향력은 매우 막대하다. 그 외에도 [[벡터]]의 미분인 [[델(연산자)|델]](나블라, [math( \nabla)] ) 연산자를 정의하기도 했다. 또한 동료 수학자인 아서 케일리와 함께 [[행렬(수학)|행렬]]을 발명하기도 했다. 물리학에서 매번 등장하는 [[해밀토니안]]([math(\mathcal{H})])은 바로 '''이 학자의 이름에서 나왔다.''' [[역학]] 좀 배운 후에는 [[양자역학]]이고 뭐고 모조리 해밀토니안이 안 나오는 데가 없으므로 [[물리학과]]는 전부 이 학자의 먼 제자. 수학 쪽이라고 예외는 아닌데 고등수학에 선형대수학이 안 쓰이는 곳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 개인사 == 고전과 문학에 심취하였고 시 쓰기를 즐겨했다. 다만 해밀턴이 쓴 시들은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당시 노시인이었던 [[윌리엄 워즈워스]]와 친분을 쌓고 그에게 시들을 보내곤 했지만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분류:더블린 출신 인물]][[분류:1805년 출생]][[분류:1865년 사망]][[분류:영국의 수학자]][[분류:영국의 개신교 신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