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가 존재하는 V1엔진 스피드 카트바디)] [include(틀:윈드 엣지 시리즈)] [목차] || [[파일:WINDEDGE V1.png]] || || 카트바디 설명 || || [[파일:윈드엣지 부스터 이펙트.gif]] || || 트랜스폼 || [[파일:카트 패스 챕터 2 시즌 7 프로모션.jpg]] >'''바람과 같이 사라지다, 윈드 엣지 V1''' == 개요 == 2022년 11월 3일, [[캐논 V1]]과 같이 중국 서버에 먼저 출시된 세 번째 V1 엔진 바이크 카트바디이자 윈드 엣지 시리즈의 V1 엔진 버전 카트바디. 한국 서버에서도 11월 3일 패치 예정이었으나 [[이태원 압사 사고]]에 따른 [[국가애도기간]]에 의해 11월 3일 패치가 취소되고 11월 10일에 패치되어 출시되었다. 대만은 동년 11월 4일 출시. == 국가별 획득 경로 == === 한국 === || '''카트 명칭''' ||<(>윈드 엣지 V1 || || '''획득 방법''' ||<(>카트 패스 시즌2 챕터7 프리미엄 패스 최종 보상 || === 중국 === || '''카트 명칭''' ||<(>风刃 V1 (풍인 V1) || || '''획득 방법''' ||<(>카트 패스 시즌2 챕터7 프리미엄 패스 최종 보상 || === 대만 === || '''카트 명칭''' ||<(>風刃 V1 (풍인 V1) || || '''획득 방법''' ||<(>카트 패스 시즌2 챕터7 프리미엄 패스 최종 보상 || == 성능 == ||<-4> '''성능 수치''' || || {{{#000,#fff '''서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6]] || [[파일:중국 국기.svg|height=16]] || [[파일:대만 국기.svg|height=16]] || || '''드리프트''' ||<-3> 1025 || || '''가속력''' ||<-3> 1020 || || '''코너링''' ||<-3> 985 || || '''부스터 시간''' ||<-3> 750[*🔒 부스터 파츠 잠금] || || '''부스터 충전량''' ||<-3> 920 || ||<-4> '''속도''' || || '''직선 속도''' ||<-3> 203km/h || || '''부스터 속도''' ||<-3> 289km/h || || '''출발 부스터''' ||<-3> 303km/h || || '''헤어핀 감속''' ||<-3> 114~126km/h || ||<-4> '''익시드 시스템''' || || '''최고 속도''' ||<-3> 속도km/h || || '''부스터 속도''' ||<-3> 속도km/h || || '''지속 시간''' ||<-3> 1.5초 (Type C) || || '''충전 시간''' ||<-3> 시간초 || ||<-4> '''주행 물리''' || || '''안정성(바이크)''' ||<-3> 상 || || '''접지력''' ||<-3> 상 || || '''몸싸움''' ||<-3> 중 || || '''무게중심''' ||<-3> 중간 || ||<-4> '''발동 조건''' || || '''자동 변신''' ||<-3> '''100km/h''' || || '''익시드''' ||<-3> '''15%''' || || '''크래시 게이지''' ||<-3> '''210km/h''' || 윈드 엣지 라인업 고유의 높은 부스터 충전량과 밸런스 잡힌 스텟으로 초보자들이 바이크에 입문하기 좋은 밸런스형 바이크. [[렉키 V1]]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 차량의 기본기를 가지고 있어 취향에 따라, 혹은 미세한 트랙별 유불리를 고려해가며 취사선택해서 탑승하면 된다. ---- '''{{{+1 강점}}}''' * '''높은 부스터 효율''' 윈드 엣지 라인업의 모티브인 오프로드 바이크의 특성을 본따 험난한 구역에서도 빌드 유지가 쉽도록 게이지 충전량이 높은 것이 시리즈 고유의 장점이었는데, [[렉키 V1]] 보다 40 높은 게이지 충전량으로 시리즈의 개성을 어느 정도 계승하였다. [[윈드 엣지 9]]과 [[윈드 엣지 X SE]]가 개성이 죽어버려서 나쁜 평가를 받았었지만 이번엔 이에 대해 평가가 굉장히 좋다. 따라서 렉키 V1에 비해 1mm 현상을 덜 볼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어비스 스카이라인, 카멜롯 팬드래건 캐슬처럼[* '''부스터 지속시간'''이 중요한 트랙과는 다르다. 대표적으로 WKC 투어링 랠리가 있는데, 원래 부스터 관리가 빡센 트랙이지만 부스터를 모을 수 있는 구간이 적고 긴 직선도로가 많아서 게충보다는 지속시간의 메리트가 조금 더 크다. 따라서 뉴커팅/커팅 빈도를 줄이기 위해 긴 부지가 절실한 것. 그래서 [[아이스 플라즈마 V1]]과 [[파이어 마라톤 V1]]이 이런 트랙들에서 오히려 유리하다.] 부스터를 모으기 어려운 트랙에서는 렉키 V1보다 주행 편의성 더 좋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렉키보다 부스터 지속시간이 미세하게 더 짧은 750 이므로 장기전으로 갈수록 렉키 V1이 유리하기 때문에 모든 변수를 고려하고 싶다면 트랙에 따라 바꾸어 가며 타는 것을 추천한다. * '''뛰어난 인코스 주파 및 역전 능력''' [[프로토 바이크 V1]]과 공유하는 장점. 후술할 안으로 파고드는 드립감은 호불호가 갈리지만, 코너에서 상대방을 역전하는 데에는 유리하게 작용한다. 바이크 고유의 익시드의 210km/h 급발진 상한은 4륜에 비해 코너 탈출 속도를 빠르게 해주고, 특유의 오버스티어 드립감과 민첩한 코너링은 다른 카트바디들보다 드리프트 시 빠르게 방향전환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공동묘지 마왕의 초대, 공동묘지 해골성 대탐험, 빌리지 운명의 다리같은 빡빡한 연속 코너가 나올 시 다른 카트바디들은 드리프트 후 방향전환을 기다리느라 바쁜데 윈드 엣지 V1은 여유롭게 코너링을 하며 인코스를 공략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4륜에 비해 몸싸움이 약해 뒷순위로 밀리면 치고 올라오기가 어려운 게 일반적인 바이크지만, 고효율의 익시드를 탑재한 V1에 들어서는 충분히 4륜을 공략해보는 게 가능해졌으며 윈드 엣지 V1은 특히 이 부분에 강점을 보인다고 보면 된다. ---- '''{{{+1 약점}}}''' * '''비교적 낮은 부스터 지속시간''' 4륜 카트바디라면 부스터 파츠를 보강해서 단점을 상쇄할 수 있지만, 바이크류는 그럴 수가 없기 때문에 4륜보다 큰 단점으로 다가온다. 바이크에게 부스터 지속시간이 낮다는 것은 4륜에게는 부스터 충전량이 낮다는 것이라고 비유해도 된다. 따라서 장기전으로 갈수록 [[렉키 V1]]보다 미세하게 불리해진다. 타임어택 길이가 1분 초반~중반대 트랙이라면 크게 느끼기는 어려우나 그 길이가 2분대까지도 치솟는 님프 바다 신전의 비밀, 올림포스 하늘의 신전 같은 트랙을 달리다 보면 가끔 뉴커팅, 커팅을 하는 빈도가 존재할 수 있으며 매쉬업 트랙들은 렉키에 비해 거의 부스터 반 개~ 한 개 차이까지 벌어지게 된다. 큰 단점은 아니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불리해질 수 있는 요소이니 이에 민감한 유저들이라면 참고해보자. * '''레어등급 차량들과 비교되는 속도''' 4륜 카트바디/바이크에 비해 최고속도가 낮은 편이다. 이로인해 마지막 직진싸움에서 속도차이로 패배를 할 수 있는 경우가 생길수도 있다. ---- '''{{{+1 호불호 요소}}}''' * '''오버스티어 드립감''' [[프로토 바이크 V1]]과 똑같이 드리프트 시 방향전환이 빨라 안으로 파고든다. 다른 드립감의 카트를 타고 왔으면 코너 끝에서 이리저리 치일 수 있어 초기 승차감이 많이 불편하고 진입각 적응을 해야 하겠지만, 상술했듯 이를 유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도 존재하며 바이크 특유의 드리프트 시 밀리는 감도 어느 정도 잡아주기 때문에 적응하고 나면 선호하게 되는 사람들도 있다. 특히나 최적화된 드리프트를 도와주기 때문에 바이크가 활약하기 좋은 하드 트랙에서의 메리트를 강화시켜주기에도 좋은 드립감이다. == 여담 == * [[파일:shot_20221120_0124_001.jpg]] 부스터 색상은 녹색으로, 윈드 엣지 시리즈의 메인 컬러이기도 하다.[* 파란색인 Z7을 제외하고 모두 녹색이 메인이 되었다.] 코튼 시리즈 이외에 녹색 부스터가 사용된 것은 최초. * 디자인은 윈드 엣지 HT를 베이스로 V1에 맞게 현대화시킨 디자인으로, 세대마다 윈드엣지의 디자인 평가가 나빠지고 있는 상황에서 오랜만에 볼 만한 외형이 나와 호평이 많다. 산악자전거 아니냐며 조롱을 당한 [[윈드 엣지 X]]보다는 훨씬 낫다는 반응. * 듀얼 부스터가 수평에서 15° 정도 위를 향해 사출된다. V1엔진 중에선 이러한 기믹은 최초이며, [[플라즈마 X PT]] 이후로 약 2년 9개월 만에 등장한 기믹이다.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국내 서비스 종료 사건|카트라이더가 서비스 종료를 확정짓게 되면서]] 스톰 블레이드 V1(가칭), 골든 스톰 블레이드 V1(가칭) 등 바이크 카트바디가 더 나오지 않는 이상 윈드 엣지 V1이 마지막 바이크 카트바디가 될 것으로 보였으나 2023년 1월 11일 패치로 [[베이스 V1]]이 발매되었고 이후에 [[스플릿 윈드 V1]]이 출시되었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카트패스 역대 프리미엄 패스 최종 보상 리스트)] [[분류:2022년 출시된 카트바디]][[분류: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카트바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