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4654cb74fe498ca96b4fcd12e8e38e3cfc4d4770.jpg|width=60%]] [목차] == 개요 == Ouija. 보드를 판매하는 [[해즈브로]]의 주도 아래 제작됐으며, 국내에는 2015년에 개봉됐다. 친구 데비의 죽음에 충격을 받은 레인(올리비아 쿡)이 친구의 죽음에 [[위저 보드]]가 관련되어 있다는걸 알게되고, 친구들을 불러모아 강령술을 하다가 자신들이 불러선 안 될 악령을 불러냈다는 것을 깨닫고 고군분투한다는, 전형적인 강령술 소재 호러 영화. 평론가와 관객 모두에게 혹평 받았으나 흥행에는 상당히 성공해서, 500만~800달러의 저예산으로 제작되었으나 전 세계에서 1억 360만 달러의 수익을 거둔데 힘입어 속편이 제작되었다. 2016년 본작의 등장 인물인 도리스와 그녀의 가족에 얽힌 이야기를 다룬 프리퀄 [[위자: 저주의 시작]]이 개봉되었다. == 시놉시스 == >''' “무서울 것 없어. 게임일 뿐이야" ''' >'''보드를 움직이는 순간, 어둠 속 친구가 나를 부른다''' 둘도 없는 친구 ‘데비’의 갑작스런 죽음에 혼란스러워하던 ‘레인’(올리비아 쿡)은 그녀의 카메라에서 혼자 해서는 안 된다는 룰을 어기고 ‘위자게임’을 홀로 시작하는 ‘데비’의 모습을 발견한다. 그녀의 죽음에 위자게임이 관련되어 있음을 직감한 ‘레인’은 진실을 밝혀내기 위해 친구들과 함께 위자게임을 시작하고, 곧 돌이킬 수 없는 위험과 맞닥뜨리게 되는데… == 예고편 == ||[youtube(F6AtatSYOb4)]|| ||
<:> {{{#ffffff 메인 예고편}}}|| == 평가 == ||||
<:>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http://www.metacritic.com/movie/ouija/critic-reviews|'''스코어 38점''']] ||<:>'''[[http://www.metacritic.com/movie/ouija/user-reviews|유저 점수 7.8]]''' |||| ||||
<:> '''[[로튼 토마토|[[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width=100]]]]''' || ||<:>[[https://www.rottentomatoes.com/m/ouija_2014|'''신선도 6%''']]||<:>'''[[https://www.rottentomatoes.com/m/ouija_2014|유저 평점 24%]]''' || ||
<:> '''[[IMDb|[[파일:IMDb 로고.svg|width=50]]]]''' || ||<:> '''[[https://www.imdb.com/title/tt1204977/|유저 평점 4.5/10]] ''' || >Slowly, steadily, although no one seems to be moving it in that direction, the Ouija planchette points to NO. >천천히, 꾸준히, 비록 아무도 그 방향으로 그것을 움직이는 것 같지 않지만, 위자 Plancette[* 플랑셰트: 2개의 작은 고리와 연필이 하나 달린 심장 모양의 판; 손가락을 얹어 생긴 모양이나 글자로 잠재의식·심령 현상 등을 읽어 내는 데 쓰임]는 NO를 지적한다. >[[로튼 토마토]] 총평 >'''코미디가 호러의 너울을 쓰면''' > - [[박평식]] (★) 흥행도 개봉 첫주에 제작비를 뽑았으나 영화 자체에 대한 평가는 좋지 않다. 이 영화를 본 사람들의 평은 대부분 주인공의 답답한 행동 때문에 애먼 사람만 죽어나간다면 상당히 짜증스럽게 느낀다고 한다고 한다. 일단 이 영화의 문제점은 공포 영화에 나오는 답답한 행동의 등장인물에 대한게 너무 많다는 것인데, 특히나 주인공이 내용상 가만히 있지 못하고 자꾸 삽질만 해대서 보는 사람을 짜증나게 만든다고 한다. [[분류:미국 공포 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