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개요 == 韋端 생몰년도 미상 [[후한]] 말의 인물이며 자는 보휴(甫休)로 [[위강]], [[위탄#s-2]]의 아버지. 옹주 경조군 두릉현 사람으로 같은 군 출신인 [[김상]], [[제오순]] 등과 함께 이름을 날려 삼휴(三休)라 불렸으며, 178년에 나란히 찰거로 선발되었다. 상계연을 지냈고 이후에는 양주목, 태복 등을 지냈다. 양주목을 지내면서 건안 초에 법률과 기강이 느슨해지고 [[마등]], [[한수(삼국지)|한수]] 등이 서로 원수가 되면서 관중의 세력들이 싸우자 [[종요]]와 함께 이들을 화해시켰으며, 조정에서 마등을 불러 괴리에 주둔하게 했다가 중앙으로 불러들여 위위로 삼았다. 주종사 [[양부(삼국지)|양부]]를 허도에 사신으로 파견했고 위단은 태복으로 승진해 중앙으로 들어갔으며, 위단의 후임으로 아들인 위강이 양주자사에 임명되었다. [[공융]]은 위단에게 편지를 보내 위단의 두 아들인 위강, 위탄의 성품과 능력에 대해 칭찬하면서 두 개의 진주와 같으니 근자에 보기 드문 진귀한 인물이라 했는데, 이는 명주방출태(明珠蚌出胎)라는 고사성어다. == 미디어 믹스 == 소설 삼국지 금수저 하후충전에서는 김위로부터 김상이 황제인 헌제와 함께 장안으로 진격한다는 소식을 받았으며, 제오순과 함께 [[이각]], [[곽사]]를 몰아내기 위해 장안에서 내통하는 것을 상의하고 아들 위강, 위탄을 시켜 병력을 모으게 하면서 마등, 한수를 찾아가 그들을 움직이도록 한다. [[삼국지: 한말패업]]에서 등장해 군사 53, 무용 39, 지모 65, 정무 59, 인사 69, 외교 74의 능력치로 155년생으로 나온다. [[분류:후한의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