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공단기 9급 전문과목 강사)] [include(틀:공단기 7급 전문과목 강사)] |||| {{{+2 '''위계점[br]魏啓點'''}}} || |||| [[파일:위계점.jpg|width=100%]] |||| || '''본관''' ||[[위(성씨)|장흥 위씨]](長興 魏氏)[* 판서공파 31세 계(啓) 항렬. 족보명은 위계점(魏啓点).] || ||<|2> '''출생''' ||[[1963년]] [[8월 7일]] ||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면]] 신월리 초당마을 || || '''학력''' ||대덕초등학교 {{{-2 (졸업 / 49회)}}}[br]대덕중학교 {{{-2 (졸업 / 25회)}}}[br][[파일:포항제철공고.png|width=25]]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2 (졸업)}}}[br][[파일:방통대.png|width=25]]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 ([[행정학]] / [[학사]])}}}[br][[파일:½É¹ú_N.gif|width=25]]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 ([[행정학]] / [[석사]][*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2059199|行政機關 提案制度의 活性化 方案에 관한 硏究 : 行政機關과 浦項綜合製鐵株式會社의 提案制度의 比較硏究를 中心으로]](행정기관 제안제도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행정기관과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의 제안제도의 비교연구를 중심으로).]·[[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2050870|民營化政策이 기업의 經營成果에 미치는 影響 : 銀行産業을 中心으로]](민영화정책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은행산업을 중심으로).])}}} || || '''소속''' ||[[공단기|[[파일:h1_logo.png|width=20%&bgcolor=#fff]]]] || [목차] [clearfix] == 개요 == [[공단기]] 소속의 [[공무원 시험]] [[행정학]] 강사. == 생애 == 1963년 8월 7일 전라남도 장흥군 대덕면 신월리 초당마을에서 아버지 위병필(魏柄弼, 1906. 5. 3 ~ 1970. 11. 12)과 어머니 [[변(성씨)|장연 변씨]](長淵 邊氏) 사이의 4남 5녀 중 셋째 아들, 여덟째로 태어났다.[* 어머니 장연 변씨는 아버지의 둘째 부인이며, 첫째 부인 [[선산 김씨]] 김재후(金在厚)의 딸은 슬하에 맏형 위계춘(魏啓椿)과 누나 2명을 둔 뒤 1952년 1월 29일 별세하였다.] 고향의 대덕초등학교와 대덕중학교를 졸업한 후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당시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는 3년 동안 기숙사 생활, 학비 감면, 그리고 졸업 후 포항종합제철 입사 보장 등의 혜택이 있던 특성화 고등학교였다.]에 진학하였으며, 졸업 후에는 [[포항종합제철]](현 [[포스코]])에 입사하였다. 포항제철공업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유능한 기능인으로서의 삶을 꿈꾸었던 그는 처음에 직장생활에 만족했으나, 1년 정도 된 어느 날, 고졸 출신으로 최상급 지위에 있는 50대 초반의 주임이 대졸 출신의 30대 초반의 계장으로부터 호된 질책을 받는 모습을 보면서 마음 고생을 한 것을 계기로 대학 진학을 결심하게 되었다.[* 원래 사업과 공부 중 고민을 했다고 한다. 그런데 자신의 업무분야가 압연 분야인데 그 분야에서는 사업을 단독으로 하기 어려워 공부로 결정했다고 한다.] 이후 포항종합제철에서 직장생활을 하면서 1983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에 입학했고, 졸업 후에는 사직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에 진학하여 1992년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에 조교로 2년 간 근무하다가 1996년에는 '[[민영화]]정책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은행산업을 중심으로'라는 학위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후 [[원광보건대학교]] 공무원행정과에 출강하면서 2000년에 서울 신림동 고시촌에서 행정고시와 경찰간부 시험을 준비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원 강의를 시작했다. PSAT 도입 전 [[합격의 법학원|한국법학원]]에서 행정고시 1,2차 강의를 했다고 한다. 이후 [[김중규]]와 마찬가지로 행시 강의를 하다 노량진으로 옮겼다.[* 특히 1차 전공 객관식이 없어지고 공직적격성능력평가가 도입되자 파이가 줄어들어 신림동 강의를 그만두고 노량진으로 옮긴 것으로 추정된다][* 2005년에 진짜 강의 시간이 많았다고 한다. 신림동 한국법학원, 성균관대, 서울시립대 강의를 다 소화했다고 한다][* 사실 2004년에 [[공직적격성평가|PSAT]] 자료해석 강의를 시도했으나 성공적이지는 않아서 빨리 발을 뺐다.] 공단기로 오기 전 [[KG에듀원|웅진패스원]] 학원, 윈플스에 있었으며 웅진패스원 시절 [[김재정]]-[[신성일(강사)|신성일]]-박민주-[[박준철(강사)|박준철]]-위계점 라인으로 선택과목 도입 이전에 1타였던 적이 있다. == 강의 == 강의 부분에서는 호불호가 다소 갈리는 면이 있다. 두문자어도 잘 따주고 박사 출신인 만큼 [[김중규]], [[신용한(강사)|신용한]]보다도 배경설명을 풍부하게 해줘서 이해에서는 거의 원탑이다.[* 사실 김중규, 신용한도 배경설명이 그리 부족하지는 않다. 그러나 이해에 있어서는 신림동의 [[박경효]]와 비슷한 성격을 지닌다.] 다만 PPT와 교재와의 괴리가 심해서 정리가 어려운 점, 말빨이 2% 부족하다는 점이 아쉬운 것으로 보인다. 억센 사투리와 억양(전라도 사투리와 경상도 사투리가 섞임[* 본인이 밝힌 바로는 전라도에서 15년, 경상도에서 10년을 살았다고 한다. 배우자 역시 경상도 출신이라고 한다.])[* 사실 말 자체는 [[김중규]]보다는 잘 하는 편인데 아무래도 [[신용한(강사)|신용한]]과 비교해서 그런가보다.] 이 강사의 진가는 교재라고 할 수 있는데 예상문제를 책으로 출간한 게 나름대로 유명하다. 1,500문제 정도로 기출을 포함한 온갖 잡다한 행정학 이론들을 문제화하였는데 매우 어렵지만 국회직 8급 등 난이도가 높은 시험에서도 상당히 좋은 적중률을 자랑하며 요약서인 핵심체크 역시 440페이지 안팎으로 행정학의 이론을 풍부하게 수록하고 있다. 7급 수험생들 사이에선 2타 강사, 특히 요약서 등 교재 면에서는 오히려 구매 비율이 높은 강사로 통한다. 박사 출신답게 행정학 각 파트에서 저명한 교수들의 논문과 교과서를 참고하여 문제를 만든다. 기본서는 기본적으로 교수들 책을 바탕으로 해서인지 타 강사들이 도표나 그림으로 이해를 돕는 것을 자제하고[* 대신 수업 때는 PPT로 그런 도표나 그림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데 그 내용은 네비게이션 행정학이라는 필기노트 교재에 수록되어 있다. 네비게이션 행정학에 든 PPT 내용은 기본강의 뿐 아니라 핵심체크 강의, 문제풀이 강의 때도 활용하는데 이를 모르고 기본 강의를 듣지 않고 핵심체크 강의나 문제풀의 강의부터 수강하는 수강생들은 교재에 없는 방대한 PPT로 멘붕을 맛보기도 한다. 따라서 강사의 어느 수업을 듣든 간에 그러한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네비게이션 행정학은 꼭 구비하도록 하자.], 텍스트가 90% 이상이다. 여러모로 초심자보다는 어느 정도 배경지식이 있는 사람들이 접근하기에 좋은 강사다. 7급 지방자치론 강의도 실시하고 있는데 예상문제집 등 방대한 이론을 잘 정리할 수 있는 교재가 강점인 행정학과는 달리 꽤나 콤팩트하게 정리할 수 있는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론과 단원별 문제를 모두 포함해서 240쪽에 불과하고 뒤에 수록된 시행처별 기출까지 포함해도 300쪽이 채 안 된다. 행정학 과목과 지방자치론 과목를 가르칠 때의 특징이 정반대인 강사이다...라고 하기는 뭣한게 사실 7급 지방자치론은 행정학과 별개의 내용이 아니며, 어느 강사의 행정학강의 및 교재에서도 지방행정론 파트가 있다. 특히 위계점 강사 본인은 행정학 강의와 교재에서 행정학 강의와 교재의 지방행정론 파트는 7급 지방자치론의 80%를 차지한다고 강조하는데, 7급 지방자치론 강의와 교재는 그 남은 20%를 보충하는 성격이 강하다. 아무래도 [[신용한(강사)|신용한]]과 달리 지방자치론을 따로 공부하는 수험생보다는 기존의 행정학 수강생들을 의식하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 그게 맞는게 시험과목 성격상 지방자치론만 시험치고 행정학을 시험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김중규]]는 따로 7급 지방자치론 강의를 하지 않고 교재도 내지 않지만, 자기 수강생들이 행정학 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론도 고득점한다고 자랑한다] == 여담 == * 고향 선배 [[김중규]]와 이력이 은근 비슷하다. 출신 지역도 동일하고 신림동 행시 강의와 노량진으로 넘어온 시기도 비슷하다. * 신림동 5급 행정학 1타 [[박경효]]와 함께 책을 쓰려고 했으나 무산되었다는 썰이 있다.[* 원래 박경효는 7/9급 시장에 진출하려고 했다가 5급 시장으로 돌렸다는 썰과 신림동에서 가장 많이 보는 <재미있는 행정학>이 원래는 7/9급용 책이였다는 썰이 있다] * 위계찬(魏啓贊, 1966. 11. 6 ~ ) [[한양대학교/대학원#s-3.1.5.|한양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3살 연하의 남동생이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공단기/강사진, version=81)] [[분류:인터넷 강사/공단기]][[분류:장흥군 출신 인물]][[분류:장흥 위씨]][[분류:1963년 출생]][[분류: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신]][[분류:한국외국어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