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from=웜(유희왕), other1=다른 카드군, rd1=웜(곤충족))] [include(틀:유희왕/OCG/테마)][include(틀:듀얼 터미널 1부 관련 카드군)] ||<:><-6> '''{{{#!html웜}}}''' || ||<-6><:>{{{#!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웜제로.png|width=100%]][br] ,,[[웜 제로|{{{#1C1D39,#4A4D89 웜제로}}}]],,}}}|| || '''{{{#!html한국어판 명칭}}}''' ||<-5> '''웜''' || || '''{{{#!html일어판 명칭}}}''' ||<-5> '''ワーム''' || || '''{{{#!html영어판 명칭}}}''' ||<-5> '''Worm''' || ||<-2> '''{{{#!html속성}}}''' ||<-2> '''{{{#!html종족}}}''' ||<-2> '''{{{#!html관련 카테고리}}}''' || ||<-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빛|빛]][* [[웜 드레이크]] 이외.] ||<-2> [[파충류족]] ||<-2> 효과[br][[리버스(유희왕)|리버스]][br][[융합 소환|융합]] || [목차] [Clearfix] == 개요 ==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의 테마. == 설명 == [[유희왕 OCG 듀얼 터미널]] 01 -싱크로 각성!!- 에서 처음 등장했다. 국내에서는 [[숨겨진 세력]]으로 발매되었고, 숨겨진 세력에 미수록된 듀얼 터미널 02에서 등장한 카드들은 [[익스팬션 팩]] Vol.4에 수록되었다. 몬스터들은 각자 해당하는 [[알파벳]]이 들어간 이름과 해당 알파벳과 관련된 외형을 갖추고 있다. 상당히 [[그로테스크]]한 일러스트가 특징이며 [[탄압|일부는 수출판에서 일러스트가 수정]]되었다.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서도 수정된 일러스트로 등장한다. (과거에 발매되어 우연히 카드군에 포함된 웜 드레이크를 제외하고) 전원 빛 속성/파충류족으로, 대부분 리버스 몬스터다. 초반부 적이라는 설정에 걸맞게 듀얼 터미널 카드군 중 '''성능은 최하위권'''이다. 리버스 테마답게 기본적으로 느리며 효과도 그리 강력하지 않다. 마법/함정 카드 지원을 겨우 한번씩 받긴 했으나 별다른 서치 수단도 없다. 알파벳마다 대응하는 몬스터가 있고, 빠르게 격퇴되었다는 설정 탓인지 혹은 지원하기 애매하다고 평가받았는지, 10기 이후 듀얼 터미널 테마 중 추가 지원 카드를 받지 못했다. === 듀얼 터미널 설정 === 어느날 듀얼 터미널 행성에 나타난 의사소통도 정체도 알 수 없는 외계 종족. 환경에 적응해 증식, 진화하는 특성을 지닌 이들은 우주를 표류하며 별을 먹어치우는 침략생물이며, 듀얼 터미널 행성에는 거대운석 표면에 붙어있던 유기물이 그 시초였다. 순식간에 대규모 군세를 형성하며 대군에 의한 침략을 개시한 웜이 쳐들어오자 자기들끼리 경쟁하기에 바빴던 종족들은 휴전 협정 뒤 연합을 형성해 웜과 전투를 벌였으나, 웜은 대규모 물량공세로 이들을 격파하며 많은 종족들을 멸망시켰다. 이에 가장 강한 4종족인 [[빙결계]], [[플레임벨]], [[안개 골짜기]], [[X-세이버]]가 [[A·O·J]]를 개발해 웜에게 대항하기 시작했고, 조용히 살고 있던 [[제넥스]]와 [[나츄르]] 또한 웜에게 공격받자 본격적으로 웜과의 전투에 나서기 시작했다. 그러나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지닌 웜은 원주민들의 그런 저항조차도 외적 자극으로 받아들였기에, 쏟아지는 공격 속에서 간신히 살아남은 개체가 있다면 그 공격에 순응한 진화를 이룬 새로운 개체가 탄생할 뿐이었다. 개발하는 병기마다 얼마 못 가 무력화되는 꼴을 본 A·O·J는 결국 연합 전부가 합심하여 [[A·O·J 카타스톨]]을 개발해냈고 성공적으로 양산되면서 웜과의 전선에서 대활약하였다. 하지만 계속되는 싸움 속에서 높은 지능을 발현한 상급 웜이 출현, 웜은 통솔력을 얻어 수적 우세를 더욱 잘 살려 연합을 압도하기 시작한다. 뒤이어 대형 두뇌급 개체인 웜 킹마저 나타나며 A·O·J 연합은 종래의 기동병기로는 승산이 없다 판단하여 [[제넥스]]를 부품으로 차용한 비인도적 거대병기를 개발하는 데 이른다. 웜과의 전투가 길어지면서 [[마굉신]]들까지 등장해 듀얼 터미널 행성에 혼란이 가중되던 도중, 돌연 웜이 공세를 중단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실은 [[웜 제로]]를 만들기 위한 시간이 필요한 것이었고, 마침내 웜 제로가 등장해 듀얼 터미널 행성을 끝장내려고 한다. 물론 이를 가만히 두고보지 않았던 연합군의 최종병기 [[A·O·J 디사이시브 암즈]]와 전투한 끝에, 웜 제로와 디사이시브 암즈가 공멸하면서 웜과의 기나긴 전투는 마무리되었다. 후일 웜의 사념은 [[벨즈]] 사태 당시 벨즈 아자트호스라는 형태로 재등장했지만 [[세이크리드]] + [[젬나이트]] 연합군에 의해 격파된다. ---- A·O·J의 연구자들이 주창된 가설이라는 형태로 공개된 이들의 생태는 [[플래닛 이터]]. 경이로울 정도의 증식과 진화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외적 자극에 적응해 차세대에서는 그것을 극복한 개체를 탄생시킨다. 동족 포식을 하여 힘을 기르는 경우도 있으며 이렇게 강해진 개체에 따라 피라미드 형태로 통솔이 이루어진다. * '''최하급''': 행성 표착 초기부터 등장한 형태의 개체. 개개의 의사가 희박해 상위 개체의 지휘가 없다면 본능으로만 행동한다. OCG 기준 레벨 1~3의 개체들로 이루어져있다. -웜 어포컬립스, 웜 호프, 웜 어글리, 웜 팔코, 웜 링크스, 웜 오페라, 웜 제트리쿱스, 웜 디미클레스[* 레벨 4짜리 몹이지만 마스터 가이드에서도 A·O·J 솔로모드에서도 최하급 개체로 묘사된다.], 웜 발사스[* 마스터 가이드에서는 하급으로 묘사했지만 A·O·J 솔로모드에서는 최하급으로 묘사한다.], 웜 제트리쿱스 * '''하급''': 어느 정도 힘을 얻게 된 웜이며 침략에 있어서 주력 부대로서 일한다.[* 말이 어느 정도의 힘이지 극저온 초고온 내성이나 의태능력, 초경화 및 분열 재생 등의 특수 능력을 갖춘 개체들이다. 이런 개체가 하급 병력으로 부려지는 시점에서 웜의 위험성을 엿볼 수 있다.] 진화의 분기점을 맞이했기에 다종 다양한 형태를 볼 수 있다. OCG 기준 레벨 4의 개체들로 이루어져있다. -웜 카르타로스, 웜 디미클레스, 웜 그루스, 웜 밀리디스, 웜 르퀴에, 웜 솔리드, 웜 텐터클스, 웜 젝스, 웜 야간 * '''상급''': 하급과는 비교도 안 되는 지능과 신체능력을 얻은 대형종. 하급 웜이 몇 번이나 동족 포식을 하고 힘을 기른 끝에 진화한 것으로 연구자들에게는 추정되고 있다. OCG 기준 레벨 5~6 몬스터가 이에 해당된다. -웜 일리단, 웜 이로킨, 웜 노블, 웜 프린스, 웜 워로드 * '''최상급''': 웜 중에서도 단 몇%만이 도달하는 존재. 단독으로도 높은 전투력을 발휘하며 상급 이하의 웜들을 지휘해 대군을 손발처럼 다룬다. OCG 기준 레벨 7~8 몬스터가 이에 해당된다. -웜 빅토리, 웜 킹, 웜 퀸 * '''[[웜 제로]]''': 침략을 완료하고 행성을 뒤덮을 정도로 증가한 웜들이 용해되어 하나로 융합, 별을 집어삼켜 탄생한 말로. 듀얼 터미널 행성처럼 저항이 거셀 경우 공간을 찢고 나타나 직접 침략을 개시하기도 한다. 웜 제로는 단일 개체가 아니며, 이렇게 본래 행성이었으나 웜 제로가 되어 새로운 침략 대상을 찾고 있는 개체가 다수 존재한다. 스토리상 제일 먼저 퇴장한 빌런이지만 실상은 이 녀석들의 행성침공이 듀얼 터미널 모든 사건의 시작이나 다름없다고 할만큼 엄청난 나비효과를 불러왔다. 창성신 sophia의 죽음과 윤회전생을 담당하던 신성수의 벌목, 그리고 몇 번이나 세계가 리셋되는 와중에도 결코 풀리지 않았던 창성신 tierra의 굳건한 봉인이 풀리고 그조차 쓰러지는 결과를 낳았으니, 웜이야말로 듀얼 터미널 행성을 바꾼 최대의 '외적 자극'이었던 셈이다. 크로니클 가이드북을 통해 세세한 설정이 공개되며 연합이 고전하면서 겨우 승리했을 정도의 흉악한 전투종족이었음이 드러났지만, 그전까지 OCG에서의 처참한 성능과 추가 지원의 부재로 웜에 대한 인식은 [[잡몹]] 그 이상도 아니었다. 유희왕 유저들 사이에서 웜은 이리 치이고 저리 치이다 결국 개박살난 종족으로 인식되었으며[* 거기다 국내 한정으로 [[빛나는 어둠]] 발매 당시 어떤 유저가 웜에 대한 설명문에서 '''세력'''을 '''세계'''로 오역해 웜이 듀얼 터미널 행성 침략에 실패하고 다른 세계(=부스터 팩)로 건너갔으나 거기서도 기계족(=[[머시너즈]])에 의해 침략에 실패했다고 제멋대로 해석함으로써[[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boardgame&no=162518|#]], 크로니클 가이드북 발매 전까지 웜은 듀얼 터미널 행성에서도 패배하고 다른 세계에서도 패배한 약체 종족으로 인식이 완전히 굳혀지고 말았다.][* 당시 문구의 원문은 "'''「魔結神」とは異なる勢力として侵略を狙う「ワーム」。機械族の抵抗に苦心!'''"이며, 번역하면 "'''「마굉신」과는 다른 세력으로서 침략을 노리는 「웜」. 기계족의 저항에 고심!'''"으로, 여기서 기계족은 A·O·J를 가리킨다. 그런데 여기서 '''세력'''을 '''세계'''로 오역함으로써 당시 해당 부스터팩에 발매된 기계족인 머시너즈에게 패배한 것이라는 잘못된 스토리 해석이 나온 것.], 추가 지원까지 없어 거의 공기에 가까운 비중을 자랑했다. 나중에 크로니클 가이드북에서 자세한 스토리와 동시에 웜 제로의 충격적인 설정까지 공개되며 스토리 상에서의 이미지 회복은 성공했다. == 일반 몬스터 == === 레벨 4 === ==== [[웜 드레이크]] ==== 최초의 웜 파충류족 몬스터이자 유일한 땅 속성 몬스터.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웜 어포컬립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36_1.jp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ormApocalypse-HA01-EN-SR-LE.png|width=100%]]|| ||<:>내수판||<:>수출판|| || 한글판 명칭 ||<-4>'''웜 어포컬립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アポカリプ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A__pocalypse'''|| ||<-5> [[리버스(유희왕)|리버스]]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300 || 200 || ||<-5>리버스 : 필드 위의 마법 또는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A로 시작하는 가장 첫 번째의 웜인데 이름이 [[아포칼립스]]라는 점이 꽤나 의미심장하다. 실제로 듀얼 터미널의 스토리는 웜 등장부터 시작된다. 극초기 [[첩자(유희왕)|첩자]] 몬스터 푸른 첩자, 붉은 첩자를 합친 듯한 효과다. 잘 눈에 안 띄지만, 사타구니 부분이 미묘하게 탄압당했다. ==== 웜 호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001_1.jpg]] || 한글판 명칭 ||<-4>'''웜 호프'''||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ホープ'''|| || 영어판 명칭 ||<-4>'''Worm __H__ope'''|| ||<-5> 리버스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800 || 1500 || ||<-5>리버스 : 상대 몬스터의 공격에 의해서 리버스했을 경우, 자신의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또한, 이 카드가 필드 위에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자신은 패를 1장 묘지로 보낸다.|| 일단은 패갈이가 가능한 몬스터지만 굳이 이렇게 잉여스럽게 만들 필요가 있었나 싶은 카드. ==== 웜 어글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511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어글리'''||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アグリィ'''|| || 영어판 명칭 ||<-4>'''Worm __U__gly'''||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00 || 100 || ||<-5>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의 어드밴스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묘지의 이 카드를 상대 필드 위에 앞면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파충류족 웜의 어드밴스 소환에 사용하면 상대 필드에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자신의 묘지에서 상대 필드위에 공격 표시로 특수소환된 이 카드를 공격하라는 의도이다. 웜 킹, 퀸과의 콤보도 나름 괜찮다. 효과도 효과지만 정말 [[닉값|이름 그대로]] 생겨먹은 일러스트가 인상적인 카드. 웜에는 흉측한 카드가 많지만 이 카드는 그중에서도 단연 톱이다. === 레벨 2 === ==== 웜 팔코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003_1.jpg]] || 한글판 명칭 ||<-4>'''웜 팔코'''||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ファルコ'''|| || 영어판 명칭 ||<-4>'''Worm __F__alco'''|| ||<-5> 리버스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500 || 800 || ||<-5>리버스 : 자신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이 카드 이외의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소환되어있던 몬스터들은 팔코로 엎은 뒤 바로 뒤집을 수 있어서 승기를 굳히는데 좋았다. 다만 W성운운석이 등장하면서 바로 너프. ==== 웜 링크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671_1.jpg]] || 한글판 명칭 ||<-4>'''웜 링크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リンク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L__inx'''|| ||<-5> 리버스/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300 || 1000 || ||<-5>리버스 :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서로의 엔드 페이즈마다 자신은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한다.|| 리버스된 상태면 서로의 엔드 페이즈마다 카드를 드로우한다. 상대 턴에도 드로우 할 수 있지만 반드시 반전소환, 혹은 세트 상태에서 공격받고 살아남아야만 효과 발동이 가능한데 전자던 후자던 이 능력치로는 어림도 없다. 원한다면 전용덱을 짜서 [[엑조디아]] 덱이나 [[고문]] 덱 등을 짤 수는 있지만 그걸 감안해도 능력치가 떨어지고 이 카드를 지키기위해 다른 방어카드를 투입하면 정작 이 카드를 모으기가 힘들어지니 효율은 상당히 떨어진다. ==== 웜 오페라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512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오페라'''||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オペラ'''|| || 영어판 명칭 ||<-4>'''Worm __O__pera'''|| ||<-5> 리버스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400 || 800 || ||<-5>리버스 :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이외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모든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포인트 내린다.|| 그냥저냥 1회용 카드. 혐오스러우면서도 오페라 하우스를 닯은 듯 한 일러스트가 인상적이다. === 레벨 3 === ==== 웜 발사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448_1.jpg]] || 한글판 명칭 ||<-4>'''웜 발사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バルサ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B__arses'''||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400 || 1500 || ||<-5>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필드 위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앞면 공격 표시로 한다.|| 세트된 자신의 웜을 능동적으로 뒤집는 역할이지만 태양의 서가 멀쩡하다는 것이 한. 속공은 아니지만 그래도 마법은 마법인지라 일소권을 안 쓰기 때문에 일반적인 상황에선 이 카드보다 우월하다. 다만 얕은 무덤과 웜 제로까지 고려한다면 꼭 밀리는 것만은 아니다. 참고로 리버스 몬스터를 공격 표시로 했다가, [[http://www.pixiv.net/member_illust.php?mode=medium&illust_id=9155368|리버스 효과에 자기가 당하는]] 장면이 종종 보이기도. 저기 나온건 광령사 라이너. ==== 웜 제트리쿱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630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제트리쿱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ジェートリクプ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J__etelikps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3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200 || 0 || ||<-5>리버스 : 이 턴에 이 카드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이 카드를 자신 필드 위에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리버스한 턴에 파괴되면 한번 더 소생하게 된다. 상대의 필드위에 [[매크로 코스모스]] 등의 카드가 앞면표시로 존재하는 상태에서 이 카드를 파괴하면 소생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일단 필드위에 제외계 카드만 없다면 효과를 활용해서 웜 퀸이나 킹을 소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레벨 4 === ==== 웜 카르타로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610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카르타로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カルタロ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C__artaros'''|| ||<-5> [[리버스(유희왕)|리버스]]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200 || 500 || ||<-5>리버스 : 자신의 덱에서 레벨 4 이하의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다.|| 웜 전용 서치카드. 하급 웜이라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가져올 수 있으며, 웜 젝스를 가져온다면 다음 턴에 무덤에 상급 웜을 묻어버릴수도 있다. 자기자신을 서치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지만 리버스인지라 효용성은 낮다. ==== 웜 디미클레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35_1.jpg]] || 한글판 명칭 ||<-4>'''웜 디미클레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ディミクレ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D__imikles'''|| ||<-5> [[리버스(유희왕)|리버스]]/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700 || 1400 || ||<-5>리버스 :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이 카드의 공격력 / 수비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별을 먹어 치우는 침략 생물중 하나의 모습이 그려진 아이콘.'''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여, 증식 / 진화를 거듭하는 이 생물은, 아직도 진화 도중에 있다......''' >---- >[[유희왕 마스터 듀얼]] 아이콘의 [[플레이버 텍스트]] 리버스하면 능력치가 2000/1700이 된다. 하지만 수비력이 너무 낮은데 효과를 성공해도 크게 효용성을 보기 힘들다. ==== 웜 그루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510_1.jpg]] || 한글판 명칭 ||<-4>'''웜 그루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グル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G__uls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500 || 300 || ||<-5>필드 위에 뒷면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가 리버스할 때마다, 이 카드에 웜 카운터를 1개 놓는다. 이 카드에 놓여있는 웜 카운터 1개당, 이 카드의 공격력은 300 포인트 올린다.|| 일단 한 장만 뒤집어도 그 시절 하급 어택커 평균은 나오고 얕은 무덤과 성운운석을 곁들이면 유의미한 수치를 얻을 수 있다. 상대의 세트 몬스터를 공격할때도 효과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장점. 설정상 언논 크러셔와 루드라의 냉기 공격과 화염 공격에 대응하여 고온/저온에 버틸 수 있도록 진화한 웜이다. ==== 웜 밀리디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514_1.jpg]] || 한글판 명칭 ||<-4>'''웜 밀리디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ミリディ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M__illidith'''||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400 || 1600 || ||<-5>리버스 : 이 카드를 장착 카드로 취급하고 상대 몬스터 1장에 장착할 수 있다. 스텐바이 페이즈마다, 장착 몬스터의 컨트롤러에게 400 포인트 데미지를 준다.|| 상대에게 장착되더라도 줄 수 있는 데미지도 적고 안정성도 낮다. 상대가 엑시즈나 싱크로 등으로 쉽게 제거할 수 있기 때문. ==== 웜 르퀴에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004_1.jp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WormRakuyeh-HA02-EN-SR-1E.jpg|width=100%]]|| ||<:>내수판||<:>수출판|| || 한글판 명칭 ||<-4>'''웜 르퀴에'''||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ルクイエ'''|| || 영어판 명칭 ||<-4>'''Worm __R__akuyeh'''||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2100 || 1200 || ||<-5>이 카드는 이 카드가 리버스한 턴이어야 공격 선언을 할 수 있다. 이 카드는 공격했을 경우,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뒷면 수비 표시가 된다.|| 공격력은 레벨 4치고는 매우 높지만 리버스한 턴에만 공격할 수 있고 공격한 배틀 페이즈 종료시 뒷면 수비 표시가 된다. 상대 턴에는 수비 표시로 있게 되는데 정작 수비력은 꽝인지라 쓰기 어렵다. 클라우솔라스의 강습 공격을 막기 위해 의태 능력을 가진 웜이다. ==== 웜 솔리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69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솔리드'''||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ソリッド'''|| || 영어판 명칭 ||<-4>'''Worm __S__oli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000 || 1600 || ||<-5>이 카드의 수비력은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의 수 × 100 포인트 올린다. 이 카드가 공격받아, 상대 플레이어가 전투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그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상대 필드 위에 존재하는 마법 또는 함정 카드 1장을 파괴한다.|| 미래융합과의 콤보가 깨진게 아쉽지만 그래도 [[스네이크 레인]]이라는 강력한 카드가 있어서 어느정도는 수비력을 빠르게 올릴수 있다. 무난하게 쓰기 좋은 웜. 사우전드 암즈의 검 공격을 막기 위해 방어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한 웜이다. ==== 웜 텐터클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901_1.jpg]] || 한글판 명칭 ||<-4>'''웜 텐터클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テンタクル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T__entacles'''||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700 || 700 || ||<-5>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게임에서 제외하고 발동한다. 이 턴에 이 카드는 1번의 배틀 페이즈 중에 2회 공격할 수 있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묘지의 웜을 제외하는 것으로 2회 공격이 가능한 몬스터. 공격력이 하급 어태커로 쓰기엔 약간 부족하지만 못싸울 정도는 아니며, 전투보조 카드를 동원하면 썩 나쁘지 않다. 특히 어니스트와의 조합은 발군. 다만 웜 특성상 일족의 결속은 쓰기 힘들고 다른 전투 보조카드까지 동원해서 사용하기엔 애매하기에 약간 계륵. ==== 웜 젝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915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젝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ゼク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X__ex'''||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800 || 1000 || ||<-5>이 카드가 일반 소환에 성공했을 때, 자신의 덱에서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낼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웜 야간"이 앞면 표시로 존재할 경우, 이 카드는 전투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웜 전용 종말의 기사이자 3장 풀투입할 필수카드. 하지만 일반 소환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웜 퀸 등으로 리크루트시에는 효과가 발동하지 않으니 연속해서 싱크로나 엑시즈 소환할 게 아니라면 킹이나 빅토리를 부르자. 효과로 야간을 부르고 태양의 서로 뒤집어 거슬리는 몬스터를 바운스 시킨 뒤 엑시즈로 마무리하거나 상급 웜을 묻고 소생시키는 것이 주요 전략. 공격력도 하급 어태커로 합격선이여서 초반 필드싸움도 무난하다. 야간이 있으면 전투파괴가 안되는 건 보너스. ==== 웜 야간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916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야간'''||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ヤガン'''|| || 영어판 명칭 ||<-4>'''Worm __Y__aga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000 || 1800 || ||<-5>자신 필드 위의 몬스터가 "웜 젝스" 1장뿐일 경우, 이 카드를 묘지에서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이 카드는, 필드 위에서 벗어났을 경우 게임에서 제외된다. 이 카드가 리버스했을 때, 상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주인의 패로 되돌린다.|| 대놓고 위의 웜 젝스와 연계로 쓰라고 나온 카드. 효과는 [[묘지기(유희왕)|묘지기의 파수병]]과 비슷하나 파수병과 달리 앞면 표시 몬스터만 패로 올릴 수 있다. 하지만 젝스와의 연계로 빠르게 튀어나올 수 있으며, 효과는 리버스시 발동하지만 리버스 효과 몬스터로 취급하지 않기에 파수병과 달리 [[왕궁(함정 카드)|왕궁의 호령]]도 씹고 [[말살의 사도]]에 찍혀도 피해가 덜하다. 비록 대상지정이긴 하지만 바운스 효과도 꽤 강력하다. === 레벨 5 === ==== 웜 일리단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7637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일리단'''||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イリダン'''|| || 영어판 명칭 ||<-4>'''Worm __I__llida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5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2000 || 1800 || ||<-5>자신 필드 위에 카드가 세트될 때마다, 이 카드에 웜 카운터를 1개 놓는다. 이 카드에 놓여진 웜 카운터를 2개 제거하는 것으로, 상대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파괴한다.|| 효과는 나쁘지 않지만 상급인게 문제. 같은 값에 튀어나오는 킹이나 퀸을 생각하면 너무나 낮다. 이 카드가 나올 당시에는 정말 몇 안되는 연속 제거가 가능한 카드라 꽤나 손해를 본듯한 카드. 카드 성능보단 이름 때문에 개드립 요소로 유명한데, 하필 이름이 [[일리단 스톰레이지]]과 겹쳐서 워크래프트 드립이 나오기 때문. 영문명도 Illidan이라서 워크래프트 일리단과 스펠링까지 같다. 후술할 이로킨과 함께 카타스톨에 대항해 진화한 대형 웜이다. 실제로도 효과를 이용하면 카타스톨을 파괴할 수 있다. === 레벨 6 === ==== 웜 이로킨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509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이로킨'''||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イーロキン'''|| || 영어판 명칭 ||<-4>'''Worm __E__roki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2400 || 1200 || ||<-5>이 카드는 특수 소환할 수 없다.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뒷면 수비 표시로 한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다 좋은데 소환제약이 모든걸 말아먹은 케이스. 특소만 되었어도 매턴마다 웜을 재활용하거나 엑시즈, 링크 소재로 쓰며 덱의 에이스로 활약했을 것이다. 공격력도 제왕 급이여서 나름 합격선이긴 한데, 하필 최상급인 킹이랑 퀸이 1장으로 어드밴스 소환이 가능해 약간 애매한 위치에 있다. 듀얼 터미널 NEXT DT 퀘스트에서는 빙결계를 침략 중이었으며 어눌하게나마 말을 구사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웜 노블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002_1.jpg]] || 한글판 명칭 ||<-4>'''웜 노블'''||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ノーブル'''|| || 영어판 명칭 ||<-4>'''Worm __N__obl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1500 || 2400 || ||<-5>리버스 : 상대 몬스터의 공격에 의해서 리버스했을 경우, 이 카드를 파괴한 상대 몬스터의 공격력의 절반의 데미지를 상대 라이프에 준다.|| [[사령 조마]]와 비교되어 슬픈 몬스터. 조마에 비해 효과의 발동조건, 효과 데미지, 속공성 등 거의 모든 면에서 조마에게 밀린다. ==== 웜 프린스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1513_1.jp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WormPrince-HA02-EN-SR-1E.jpg|width=100%]]|| ||<:>내수판||<:>수출판|| || 한글판 명칭 ||<-4>'''웜 프린스'''||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プリンス'''|| || 영어판 명칭 ||<-4>'''Worm __P__rince'''||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2200 || 400 || ||<-5>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 자신의 덱에서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패에 넣을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에 이 카드 이외의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엔드 페이즈시에 이 카드를 파괴한다.|| 덱에 있는 웜이라면 뭐든지 건져올 수 있지만 상급치고 공격력이 애매하다. 뜬금없는 자괴 디메리트도 불편한 카드. 밑에 있는 웜 아포칼립스가 [[탄압]]됐다. 이유는 불명. 뿔의 위치를 보거나 하면 웜 킹과도 닮은 구석이 있다. 다른 웜과 합체해서 웜 킹이 되는 걸지도? ==== 웜 워로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568_1.jpg]] || 한글판 명칭 ||<-4>'''웜 워로드'''||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ウォーロード'''|| || 영어판 명칭 ||<-4>'''Worm __W__arlord'''||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2350 || 1800 || ||<-5>이 카드는 특수 소환할 수 없다. 이 카드가 전투로 파괴한 효과 몬스터의 효과는 무효화된다. 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한 경우, 한번 더 이어서 공격할 수 있다.|| 이름 그대로 전투에 특화된 웜. 웜 텐타클스와 마찬가지로 빛속성에 연속공격이니 어니스트와 궁합이 좋다. 다만 몬스터의 효과 무효는 전투파괴 성공시에만 적용되기에 [[마슈마론]]을 위시한 전투내성 카드들은 파괴할 수 없다는 것은 주의. 오타인지 효과에 한번 더 이어서가 아닌 한번 더 디어서 라고 적혀있다. 특이하게도 웜 몬스터면서 웜을 견제할 수 있다. === 레벨 7 === ==== 웜 빅토리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50_1.jpg]] || 한글판 명칭 ||<-4>'''웜 빅토리'''||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ヴィクトリー'''|| || 영어판 명칭 ||<-4>'''Worm __V__ictory'''|| ||<-5> 리버스 /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7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0 || 2500 || ||<-5>리버스 :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이외의,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또한, 이 카드가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이 카드의 공격력은, 자신의 묘지의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의 수 × 500 포인트 올린다.|| 리버스했을 시 발동되는 강력한 광범위 파괴 효과 덕분에 사랑받는 웜. 공업 효과는 리버스하지 않아도 적용되어서 미래융합 웜 제로와의 콤보는 무지막지하며, 스네이크 레인만으로도 최소 2000을 확보할 수 있다. 소환제약도 없기에 얕은 무덤에 태양의 서나 발사스를 곁들여 싹 밀어버리고 공격을 갈 수 있고, 공격력이 ?가 아닌 0이라 덱에서 리크루트되어 기습을 걸거나 리미트 리버스로 묘지에서 기어나와 피니셔가 되는 것도 가능. 설령 초반이라 묘지에 웜이 얼마 없어도 [[블랙홀(유희왕)|블랙홀]] 성능이 어디 가는건 아닌지라 일단 어떻게 엎어놓기만 하면 충분히 밥값을 한다. 참고로 공격력 0에 레벨 7, 소환 조건이 없는지라 [[데브리 드래곤]]으로 소생시키면 [[성태룡]]을 소환시킬 수 있는 뜬금포 담당도 가능해졌다. 빅토리라는 이름에 맞게 손가락으로 v자를 하고 있는게 특징. 참고로 [[벨즈]]화되어서도 [[벨즈#s-4.4.8|v자를 놓치지 않는 근성가이다.]] === 레벨 8 === ==== 웜 킹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4631_1.jpg|width=100%]]||<:>[[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WormKing-STOR-EN-SR-UE.png|width=100%]]|| ||<:>내수판||<:>수출판|| || 한글판 명칭 ||<-4>'''웜 킹'''||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キング'''|| || 영어판 명칭 ||<-4>'''Worm __K__ing'''||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2700 || 1100 || ||<-5>이 카드는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자신 필드 위의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상대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선택하고 파괴한다.|| 제물 2장을 필요로하는 최상급이지만 웜 1장으로 소환이 가능한 몬스터. 트레이드 인에도 대응하고, 웜 퀸을 통해 리크루트 또한 가능하다. 효과는 무난한 1:1 교환의 파괴 효과. 1턴 1번 제약이 없고 자기 자신을 릴리스 할 수도 있으며 이때는 스킬 드레인을 무시한다. 효과 자체는 분명 나쁘지 않은데 웜은 파충류족이기에 1:2 교환이 성립하고 세크리파이스 이스케이프도 가능한데다 함정이여서 쓰기도 훨씬 편한 [[독사의 공물]]이 있고, [[웜 제로]]의 두번째 효과까지 있기 때문에 입장이 애매하다. 그러나 레벨 8로 트레이드 인에 대응하고 전투력도 썩 나쁘지 않으며 스킬 드레인을 위시한 여타 메타 지속 마법/함정을 파괴할 수 있어서 입지는 있다. 일러스트에선 어포컬립스가 제물로 희생되고 있다. 영문판에선 아랫도리가 탄압당했다. 좀 의미심장하다. 혐오감 문제 때문인 건지 [[유희왕 마스터 듀얼]]에선 일본어판에서도 수출판 일러스트를 사용한다. ==== 웜 퀸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846_1.jpg]] || 한글판 명칭 ||<-4>'''웜 퀸'''|| || 일어판 명칭 ||<-4>'''ワーム・クィーン'''|| || 영어판 명칭 ||<-4>'''Worm __Q__ueen'''||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8 || [[유희왕/속성|빛]] || [[파충류족]] || 2700 || 1100 || ||<-5>이 카드는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고 앞면 공격 표시로 어드밴스 소환할 수 있다. 또한, 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의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릴리스하는 것으로, 릴리스한 몬스터의 레벨 이하의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한다.|| 웜 킹과 마찬가지로 웜 1장을 제물로 소환이 가능하며, [[트레이드 인]]의 대상이 된다. 효과는 한마디로 웜 버젼 [[론 파이어 블로섬]]. 론파이어와 마찬가지로 자기 자신도 릴리스가 가능하기에 스킬 드레인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주된 용도는 적당히 살아남은 아무 웜을 제물로 바쳐 소환한 뒤, 즉시 자신을 릴리스해 웜 빅토리를 불러오는 것. '이하' 이기에 스스로를 릴리스하면 킹이나 자기 자신도 불러올 수 있으며, 적당한 소생계 카드를 곁들이면 랭크 8 엑시즈까지도 가능하다. 일러스트에선 디미클레스가 제물로 희생되고 있다. == 융합 몬스터 == === 레벨 10 === ==== [[웜 제로]] ==== == 마법 카드 == === 웜 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08355_1.jpg]] || 한글판 명칭 ||'''웜 콜'''|| || 일어판 명칭 ||'''ワーム・コール'''|| || 영어판 명칭 ||'''Worm Call'''|| ||<-2> 지속 마법 || ||<-2>상대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고, 자신 필드 위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패에서 "웜"이라는 이름이 붙은 파충류족 몬스터 1장을 뒷면 수비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빛나는 어둠]]에서 등장한 웜 전용 [[신의 거성-발할라]]. 레벨 제한이 없기 때문에 웜 빅토리를 갑툭튀 시켜줄 수 있다. 다만 세트하는 카드를 보여 줘야 하는 점에 유의. 일러스트에서 떨어지고 있는 건 웜 르퀴에. 일러스트에서 나오는 건물들은 웜 제로에서 나온 건물들과 똑같다. == 관련 카드 == === W성운운석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73715683_1.jpg]] || 한글판 명칭 ||'''W성운운석'''|| || 일어판 명칭 ||'''[ruby(W, ruby=ダブル)][ruby(星雲隕石, ruby=せいうんいんせき)]'''|| || 영어판 명칭 ||'''W Nebula Meteorite'''|| ||<-2> 일반 함정 || ||<-2>필드 위에 뒷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를 전부 앞면 수비 표시로 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에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파충류족 / 빛 속성 몬스터를 전부 뒷면 수비 표시로 하고, 그 매수만큼만 자신은 덱에서 카드를 드로우한다. 그 후, 자신의 덱에서 레벨 7 이상의 파충류족 / 빛 속성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익스트림 빅토리]]에서 등장한 서포트 카드. 일단 이름이나 효과 자체에는 웜이란 말은 없지만,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몬스터가 웜 킹, 웜 퀸, 웜 빅토리, [[샤인 스피릿]], [[에일리언(유희왕)|우주야수 간길]]밖에 없고,[* 다만 웜 퀸을 리크루트하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레벨 6 이하의 웜도 리크루트할 수 있다.] 파충류족 / 빛 속성 자체가 웜과 일부 에일리언을 제외하면 [[라이트 서펜트]]뿐인 것으로 봐서 웜을 지원해주기 위해 나온 카드. 등장하자마자 마이너한 웜들의 희망이 됐을정도로 파격적인 성능을 자랑한다. 단순히 젝스-야간만 놔두고 사용해도 상대 몬스터 1장 바운스와 2장 드로우고 빅토리나 카르타로스까지 뒤집어 놨다면 더욱 유용한데다 재사용까지 가능하다. 여기에 최상급 웜을 공짜로 건져오는 것도 굉장히 우수한 효과이다. 실제로 이 카드의 발매 이후 웜덱은 영영 인연이 없을 것 같던 우승덱에도 이름을 올려봤으니 구세주와도 같은 카드. == 참고 카드 == *파충류족 관련 카드: [[스네이크 레인]], [[독사의 공물]], [[킹그렘린]], [[에일리언(유희왕)#s-6.1.1|에일리언 솔저 M/프레임]], [[블랙맘바(유희왕)|블랙맘바]], [[라미아(유희왕)|라미아]] *[[미래융합-퓨처 퓨전]] [각주] [[분류:유희왕/OCG/카드군]][[분류:유희왕/OCG/파충류족]][[분류:외계 종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