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낙동강의 교량/대구경북)] {{{+1 月映橋 / Woryeong Bridge }}} ||<-5><#33CDFF><:> '''[[낙동강|{{{#white 낙동강}}}]]{{{#white 의}}} [[교량/목록|{{{#white 교량}}}]]''' || ||<:> 상류 방면 ||<|2><:>{{{+1 ← }}}||<:> 이름 ||<|2><:>{{{+1 → }}} ||<:> 하류 방면 || ||<:> [[영락교]] ||<:> '''월영교''' ||<:> [[법흥교]] || [목차]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월영교.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월영교 야경3.jpg|width=10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봄의 월영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8afa6, #fae1b6)" {{{#000000 '''월영교 야경'''}}}[* [[https://yun-blog.tistory.com/862|사진 출처]]]}}} || [[경상북도]] [[안동시]] 상아동과 성곡동을 연결하는 목조[[교량]]이다. 월영교란 명칭은 시민의 의견을 모아 댐건설로 수몰된 월영대가 이곳으로 온 인연과 음달골이라는 지명을 참고로 결정되었다. == 건설과정 == [[2001년]] 10월 착공하여 [[2003년]] 4월 준공되었다. 그러나 [[2007년]] 정밀안전진단 결과 부실공사로 인해 목조교각에 부식이 발생하여 폐쇄되었고 보수공사에 착수하였다. 이후 [[2009년]] 1월 1일 재개장하였다. 보수공사를 하게된 원인은 다리를 받치는 기둥을 나무로 만들어서 그게 썩어버렸기 때문이다. ~~2000년대에 목조로 된 지지대를 만든 발상이 참...~~ == 관광 == 주변에 [[안동댐]], [[안동문화관광단지]] 등의 관광지가 산재하여 연계관광지로 인기가 높다. 현재 월영교 주차장으로 사용되는곳에는 안동댐 헬기장이 자리잡고 있었으나 관광지화되면서 폐쇄되고 주차장으로 전용되었다. 낙동강 자전거길 기점이라서 많은 라이더들이 찾아온다. [[이진봉]]이 월영교 근처 민속박물관 앞에 월영교의 이름을 딴 카페를 만들어 안동의 새로운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 대중교통 == [[안동시 시내버스]]를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다. 교보생명에서 [[안동 버스 112|112번]]을 이용하여 월영교 정류장에서 하차하면 되나 모두 뜸하게 오는 노선이니 시간대가 안 맞으면 택시를 타고 가야 한다. [[분류:낙동강의 교량]] == 볼거리 == 월영교 야경을 산책하며 걷기가 좋은 데이트코스로 유명하다. 월영교 중간에 위치한 정자까지 야경을 만끽하고 걷다보면 포토존도 만날수 있다. 월영교 분수 운영(4~10월까지는 주말동안 가동되며 12시, 14시, 18시, 20시 10분간 가동된다. 7~9월에는 평일 4회 가동 ) 문 보트 이용 안내 : 오전 10~ 밤 10시까지 이용가능하며 3인 30분에 28,000원으로 운영중이다. 이용하는 사람이 많기에 미리 예약을 해두는걸 추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