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A420 0%, #F0C420 20%, #F0C420 80%, #F0A420)" {{{#800000 '''{{{+1 袁胤}}}[br]원윤'''}}}}}} || || '''{{{#800000 최종직위}}}''' ||단양태수^^(丹揚丹揚)^^ || || '''{{{#800000 성}}}''' ||원^^(袁)^^ || || '''{{{#800000 명}}}''' ||윤^^(胤)^^ || || '''{{{#800000 생몰연도}}}''' ||? ~ ? || || '''{{{#800000 고향}}}''' ||예주^^(豫州)^^ 여남군^^(汝南郡)^^ 여양현^^(汝陽縣)^^ || [목차] == 개요 == [[후한]] 말의 인물이자 예주 여남군 여양현 출신으로 [[원술]]의 종제다. == [[삼국지(정사)|정사]] == 원래 원술 휘하에서 단양태수를 하던 [[주유(삼국지)|주유]]의 당부 [[주상(후한)|주상]]이 주유의 설득으로 배반하자 원술의 명령으로 단양태수를 하러 가지만 곧 [[손책]]의 부하 [[서곤]]의 공격을 받고 쫓겨나고 만다. 199년 원술이 죽자 원술의 사위 [[황의]]와 함께 원술의 관을 매고 원술의 처자식들을 데리고 환성의 [[유훈(삼국지)|유훈]]을 의지하러 간다. 그러나 그것으로 인해 갑자기 인구가 늘어난 유훈은 [[손책]]의 계책에 빠져 환성을 잃게 되고 그 곳에 있던 원윤, [[원요]]을 비롯한 원술의 일가는 모조리 [[손책]]에게 끌려가게 된다. == [[삼국지연의|연의]] == [[원술]]이 수춘을 [[조조]]에게 뺏기고 [[원소(삼국지)|원소]]에게 도망갈 때 따라다니다 원술이 꿀물타령을 하다 죽자 옥새와 원술의 잔당을 이끌고 계속해서 하북으로 향한다. 그러나 도중에 [[서구(삼국지)|서구]]에게 죽어 옥새도 빼앗긴다. 나중에 이 옥새는 조조의 손에 들어간다. == 미디어 믹스 ==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 || [[파일:삼국지3원윤.png]] || || 삼국지 3 || || [[파일:Yuan_Yin_(ROTK11).png]] || || 삼국지 11 || ||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012.jpg|width=400]] || || 삼국지 12, 13, 14 || [[삼국지 1]]부터 개근하여 꾸준히 등장하고 있는데 연의나 정사에서나 별 거 한 일도 없으면서 옥새를 가지고 있던 인물이라는 점으로 등장한다. [[원술(삼국지 시리즈)|원술]]군 진영에서는 원술, [[기령/기타 창작물#s-2.1|기령]], [[장훈(삼국지)|장훈]], [[뇌박]]과 함께 전 시리즈 개근 중이다. 원술군 진영은 이 5장수를 베이스로 해서 [[양홍]], [[염상(삼국지)|염상]], [[원요]], [[진란]], [[양강(삼국지)|양강]], [[한윤(삼국지)|한윤]], [[악취(삼국지)|악취]], [[이풍(삼국지)|이풍]], [[교유]] 등이 B~C급 무장 퀄리티로 끼었다 빠졌다를 반복하는 중. 대부분 별볼일 없는 잡문관으로 살지만 원술군이 멸망하지 않고 오래 버티는 상황에서는 원술과 원술의 아들 원요가 죽은 뒤에 원술의 유일한 친족으로서 세력을 물려받아 군주가 되기도 한다. 초기 시리즈에서는 [[유표(삼국지 시리즈)|유표]]의 아들들인 [[유기(삼국지)|유기]]나 [[유종(삼국지)/기타 창작물#s-2.1|유종]]이랑 엇비슷한 능력치였지만 [[삼국지 9]]를 기점으로 하여 능력치가 상당히 떨어지면서 이들보다도 못한 문관이 되버렸다. 그러나 원수 관계가 재현된 시리즈에서는 능력치가 낮다고 처형했다가는 [[원소(삼국지 시리즈)|원소]] 일족과 원수 관계가 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특히 장수제인 삼국지 10이 그렇다.] [[삼국지 5]]에서는 원술로 플레이를 시작할 때 참모로 나오는데 능력치도 구려서 참모로써의 역할을 도저히 하지 못하고 인재 등용이나 동맹과 갖은 외교를 할 때도 안될 때도 맞는 말을 해대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 또한 유종이랑 비슷한 능력치를 가지고 있어서 애매한 정치력으로 인사 담당이나 외교 담당도 못한다. 그래서 원술로 쉽게 풀어가려면 높은 지력을 가진 군사를 가져와야 한다. [[삼국지 9]]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27/18/42/43이고 가진 병법이 하나도 없다. [[삼국지 10]]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26/15/39/45/43으로 50조차 넘는 능력치가 하나도 없고 특기는 농업 단 1개 밖에 없지만 정치가 45라 있으나 없으나 그게 그거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매 순으로 17/14/39/41/46이며 병과 적성은 올 C에 무 특기다. 특이하게도 일러스트가 콧수염을 단 모습으로 나왔다. [[삼국지 12]]의 일러스트는 요코야마 미츠테루의 모습을 일부 반영하여 환관스러운 모습과 두 손으로 옥새를 든 채 튀고 있다. 능력치는 원술 쪽에서도 특히 구리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통무지정 순으로 32/14/39/41이며 병과 적성은 올 C에 중신특성도 없고 특기도 상업 1 단 하나 뿐이다. 전수특기도 당연히 상업이고 전법은 궁속강화.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24, 무력 14, 지력 39, 정치 41, 매력 43으로 전작과 달리 통솔력이 8 하락했다. 개성은 소심, 우유, 나약, 주의는 명리, 정책은 시설개발 Lv 1, 진형은 학익,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과 혐오무장 역시 모두 없다. === [[영걸전 시리즈]] === [[삼국지 영걸전]]에서는 광릉 전투에서 연노병으로 등장하나 레벨이 부족해서(연노병은 레벨 15부터 가능하지만 탁류계를 쓸 수 있는건 레벨 18부터다) 탁류계를 쓸 수 없으며 지력도 낮기 때문에 고작 소용돌이계로는 큰 위협이 못 된다. === [[요코야마 미츠테루 삼국지]] === [[환관]]같은 모습으로 등장한다. === [[일기당천(만화)|일기당천]] === 성우는 [[키시오 다이스케]] 애니 오리지널 캐릭터. [[일기당천(만화)/등장인물/남양학원|남양학원]] 소속. [[원술(일기당천)|원술(일기당천)]]의 죽음 이후, 남양의 새 리더가 된 [[손책(일기당천)|손책(일기당천)]]을 못마땅하게 여겨 부하들을 이용해 [[손권(일기당천)|손권(일기당천)]]을 인질로 삼고, [[손책(일기당천)|손책(일기당천)]]을 함정에 빠뜨려 실권을 장악하려 하지만 [[여몽(일기당천)|여몽(일기당천)]]과 [[악취(일기당천)|악취(일기당천)]]의 도움으로 실패한다. 상대를 세뇌하는 기술이 특기지만, 정작 투사로서의 싸움 실력은 별볼일 없다고 추측된다. [각주] [[분류:후한의 인물]][[분류:손오의 인물]][[분류:삼국시대(중국)/외척]][[분류:몰년 미상]][[분류:저우커우시 출신 인물]][[분류:여남 원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