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혹부리오리속]][[분류: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위급]] [include(틀:멸종 위기 동물)] ||<-2> '''{{{#fff {{{+1 원앙사촌}}}(댕기진경이, 조선원앙, 한국원앙)[br]Crested Shelduc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Tadorna cristata.jpg|width=100%]]}}} || || [[학명|{{{#000 '''학명'''}}}]] || ''' ''Tadorna cristata'' '''[br]Kuroda, 1917 || ||<-2> {{{#000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문(Chordata)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조강(Aves) || || '''하강''' ||신악하강(Neognathae) || || '''상목''' ||가금상목(Galloanserae)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기러기목(Anseriformes)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오리과(Anatidae) || || '''아과''' ||혹부리오리아과(Tadorninae)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혹부리오리속(''Tadorna'')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원앙사촌(''T. cristata'')''' || ||<-2> {{{#000 '''멸종위기등급'''}}} || ||<-2> [[파일:멸종위기등급_위급.svg|width=240px]] || [목차] [clearfix] == 개요 == 기러기목 오리과에 속하는 조류. == 상세 == 몸길이 63~71cm 정도로 대다수의 오리류들 처럼 암수의 색깔 차이가 있다. 1877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처음 관찰된 이후 대한민국의 부산·군산에서도 관찰되었으나 워낙 관찰 기록이 적어서 이 새에 대한 정보가 별로 없고 몇 개의 박제 표본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과학자들은 [[시베리아]]에서 번식하다 겨울을 대한민국·중국·일본 등에서 지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처음 발견되었을 때 [[황오리]]와 [[청머리오리]]의 [[잡종]]으로 여겨졌으나 원앙사촌의 암수가 모두 관찰되면서 한 종류로 인정받았다. 이름이 원앙사촌이지만 [[원앙]]과는 같은 오리과에 속할 뿐 아과 단위에서 다른 종류로 [[원앙]]은 오리아과지만 원앙사촌은 [[혹부리오리]]아과다. == 멸종? == IUCN 적색 목록에서 절멸이 아닌 절멸위급종(CR) 등급으로 지정됐지만 공식적으로는 1964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3마리, 1971년 [[북한]] [[함경남도]] 보천강에서 6마리가 관찰된 이후 관찰된 적이 없다. 오늘날까지도 여러곳에서 목격담이 많다는 것이 절멸 등급이 아닌 이유. 과학자들은 사실상 멸종이거나 중국이나 러시아, 북한 등지에서 극소수가 살고 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다. 박제된 표본으로는 3마리(암컷 2마리, 수컷 1마리)가 있다. 1877년에 만든 첫 번째 표본과 1916년의 세 번째 표본은 암컷이다. 첫 번째 표본은 덴마크 코펜하겐 박물관에 소장하고 있고 두 번째와 세 번째 표본은 일본의 야마시나 조류연구소에 전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