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나무위키 화학 프로젝트)] [include(틀:프로젝트 문서, 프로젝트=나무위키 가독성 프로젝트)] [include(틀:주기율표)] [목차] == 개요 == 한 때 인터넷에서 떠돈 적 있었던 주기율표 암기법과 새로운 암기법 소개. 한 글자씩 눌러보면 어느 글자가 어느 원소를 가리키는지 알게 될 것이다. 물론 이런 것들이 어색하고 더 외우기 힘들게 느껴질수도 있다. 족, 주기가 헷갈린다면 족은-- 18족같네-- 욕을 연상해 4주기와 비교하면서 외울 수 있다. --몇몇 미친놈들은 하루에 몇 번씩 쭈욱 외워보고 그러면 머리가 맑아진다 [[카더라]]-- == 순서대로 외우기 == 가장 대중적인 방법으로 보통 20번까지 외우는 데 사용된다. 가장 흔한 암기법으로는 '''[[수소|흐]][[헬륨|헤]][[리튬|리]][[베릴륨|베]] [[붕소|비]][[탄소|키]][[질소|니]] [[산소|오]][[플루오린|프]][[네온|네]][* '예쁘네' 또는 '오빠는'도 있다.] [[나트륨|나]][[마그네슘|마]][[알루미늄|라]] [[규소|시]][[인(원소)|파]][[황(원소)|세]][[염소(원소)|키]][[아르곤(원소)|아]] [[칼륨|칼]][[칼슘|칼]]'''가 있다. 요즘엔 그냥 수헬리베붕탄질산플네 나마알규인황염아칼칼 로 외우는게 일반적이다. 수능에서는 대부분 위 20개 원소만 내는것이 일반적이라 이거에서 변형된것도 있다. '''[[수소|흐]][[헬륨|헤]][[리튬|리]][[베릴륨|베]] [[붕소|비]][[탄소|키]][[질소|니]] [[산소|오]][[플루오린|프]][[네온|네]] [[나트륨|나]][[마그네슘|만]][[알루미늄|알]] [[규소|지]][* 씌로 발음한다][[인(원소)|펩]][[황(원소)|시]][[염소(원소)|콜]][[아르곤(원소)|라]] [[칼륨|키]][[칼슘|카]]''' 앞부분은 ㅎㅎ리베비씨 높네(키크네)로 외울 수 있다. [[http://instiz.net/pt/192873|만화도 있다.]] 축덕이라면 [[리튬|리]][[베릴륨|베]]리가 [[붕소|바르]][[탄소|셀로]][[나트륨|나]](BCN) 가서 [[산소|오]][[플루오린|프]]사이드(OF) [[네온|네]]번(NE)이라고 외워도 된다. 일부 학원에서는 [[수소|수]][[헬륨|해]][[리튬|이]][[베릴륨|ㅂ어]] [[붕소|비]][[탄소|키]][[질소|니]] [[산소|옷]][[플루오린|벗]][[네온|네]] 라고 가르치는 경우도 있었다.[* [[방이동]]에서 유명했던 스파르타 종합학원에서 배운 방법이다.] 아니면 무대포로 [[수소|수]][[헬륨|헬]][[리튬|리]][[베릴륨|베]] [[붕소|붕]][[탄소|탄]][[질소|질]][[산소|산]] [[플루오린|플]][[네온|네]][[나트륨|나]][[마그네슘|마]] [[알루미늄|알]][[규소|규]][[인(원소)|인]][[황(원소)|황]] [[염소(원소)|염]][[아르곤|아]][[칼륨|칼]][[칼슘|칼]] [[스칸듐|스]][[티타늄|티]][[바나듐|바]][[크로뮴|크]] [[망가니즈|망]][[철(원소)|철]][[코발트(원소)|코]][[니켈|니]] [[구리(원소)|구]][[아연(원소)|아]][[갈륨|갈]][[저마늄|저]] [[비소|비]][[셀레늄|셀]][[브로민|브]][[크립톤|크]] [[루비듐|루]][[스트론튬|스]][[이트륨|이]][[지르코늄|지]] [[나이오븀|나]][[몰리브데넘|몰]][[테크네튬|테]][[루테늄|루]] [[로듐|로]][[팔라듐|팔]][[은(원소)|은]][[카드뮴|카]] [[인듐|인]][[주석(원소)|주]][[안티모니|안]][[텔루륨|텔]] [[아이오딘|아]][[제논(원소)|제]][[세슘|세]][[바륨|바]] [[란타넘|란]][[세륨|세]][[프라세오디뮴|프]][[네오디뮴|네]] [[프로메튬|프]][[사마륨|사]][[유로퓸|유]][[가돌리늄|가]] [[터븀|터]][[디스프로슘|디]][[홀뮴|홀]][[어븀|어]] [[툴륨|툴]][[이터븀|이]][[루테튬|루]][[하프늄|하]] [[탄탈럼|탄]][[텅스텐|텅]][[레늄|레]][[오스뮴|오]] [[이리듐|이]][[백금|백]][[금(원소)|금]][[수은|수]] [[탈륨|탈]][[납|납]][[비스무트|비]][[폴로늄|폴]] [[아스타틴|아]][[라돈|라]][[프랑슘|프]][[라듐|라]] [[악티늄|악]][[토륨|토]][[프로트악티늄|프]][[우라늄|우]] [[넵투늄|넵]][[플루토늄|플]][[아메리슘|아]][[퀴륨|퀴]] [[버클륨|버]][[캘리포늄|캘]][[아인슈타이늄|아]][[페르뮴|페]] [[멘델레븀|멘]][[노벨륨|노]][[로렌슘|로]][[러더포듐|러]] [[더브늄|더]][[시보귬|시]][[보륨|보]][[하슘|하]] [[마이트너륨|마]][[다름슈타튬|다]][[뢴트게늄|뢴]][[코페르니슘|코]] [[니호늄|니]][[플레로븀|플]][[모스코븀|모]][[리버모륨|리]] [[테네신|테]][[오가네손|오]] 까지는 외워두면 ~~심각할정도로 어렵다~~쉽다. 이렇게 외우면 그 첫 글자는 기억해도 뒤에 글자들이 기억 안 나는 사람이 태반이다. --? 문과의 길을 택하고도 대학교도 나왔지만 아직까지 이거 덕분에 잘만 기억하고 있다-- 이 정도 수준의 원소들을 첫글자만 외우느니 차라리 하나하나 외우는 게 이해가 빠를 듯. 물론 사람에 따라서 차이는 있겠지만. 혹은 20번까지 4개씩 끊어서 외우고 스티바크 망철코니구아 이후에 4개씩 외우는 것이 더 쉬운 경우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론 수소와 헬륨은 1,2번으로 너무 유명해 생략하고 '''[[리튬|리]][[베릴륨|베]][[붕소|비]][[탄소|씨]] [[질소|노]][[산소|오]][[플루오린|플]][[네온|네]]''' '''[[나트륨|나]][[마그네슘|마]][[알루미늄|알]][[규소|씨]] [[인(원소)|인]][[황(원소)|황]][[염소(원소)|염]][[아르곤|알]]''' '''[[칼륨|칼]][[칼슘|칼]]''' 로 외울수도 있다. 또한 쌤들이 많이 알려주는 방법중에서 5개씩 끊어서 [[수소|수]][[헬륨|헬]][[리튬|리]][[베릴륨|베]][[붕소|붕]] [[탄소|탄]][[질소|질]][[산소|산]][[플루오린|플]][[네온|네]] [[나트륨|나]][[마그네슘|마]][[알루미늄|알]][[규소|규]][[인(원소)|인]] [[황(원소)|황]][[염소(원소)|염]][[아르곤|아]][[칼륨|칼]][[칼슘|카[* 학생들이 칼로 하니깐 칼륨하고 헷갈려서 그랬다 [[카더라]]. 하지만 이제 포타슘으로 바뀌었으니 헷갈릴 일은 없다. ~~황염아포칼~~]]] ~~Si P S Cl Ar 부분은 그냥 읽으면 시-파-새-키-아 이렇게 돼서 욕같아서 잘 외워진다. 여기서 -키 라고 해서 Ci했다간 큰일난다.~~ 3주기를 외우는 또다른 방법은 '나만 알지 포토샵 클리어' 참고로 일본판은 [[히이라기 카가미|水兵リーベ僕の船七曲がりシップスクラークか]]([[수소|스이]][[헬륨|헤]][[리튬|리]][[베릴륨|베]][[붕소|보]][[탄소|쿠]]노([[질소|N]][[산소|O]])[[플루오린|후]][[네온|네]] [[나트륨|나나]]마가리([[마그네슘|Mg]][[알루미늄|Al]])[[규소|시]][[인(원소)|프]][[황(원소)|스]][[염소(원소)|클]][[아르곤|라]][[칼륨|크]][[칼슘|카]])[* '스이'는 '수소'의 '수'를 따온 거고, 나머지는 원소기호에 맞춘 거다.]. 덧붙여 일본판은 [[엘리먼트 헌터]]라는 애니메이션 엔딩으로 제작되기도 했으며, [[사이마스]]의 등장 유닛 [[S.E.M]]의 노래, [[Study Equal Magic!]]에서도 한구절로 등장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 노래 '퐁당퐁당 돌을 던지자'에 원소 명칭을 넣는 것이 있다. 수소헬륨 리튬 베릴륨 붕소탄소 질소 사안소 플루오린 네-에온 나트륨 다음에 마그네슘 알류미늄 규-소 이--인 황 염-소 다음에 아르곤 칼륨 (포타슘) 칼슘 각 가사에 넣으면 외우기 쉽다고 한다. 여담으로, 이런 암기법 없이 그냥 처음부터 달달 외운 사람은 오히려 이런 암기법이 어렵다... == 족별로 외우기 == 같은 족은 성질이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해 족별로 묶어서 외우는 방법도 있다. 이 방법은 원자번호를 희생했지만 고등학교 때 족별로 묶어서 성질을 묶는 문제가 나오기 때문에 유리할 수 있다. * 20번까지 1족'''[[수소|수]][[리튬|리]][[나트륨|나]][[칼륨|가]]''' 2족'''[[베릴륨|베]][[마그네슘|막]][[칼슘|까]]''' 13족'''[[붕소|붕]][[알루미늄|알]]'''--[[불알]]--[* 뒤에서도 나오지만 [[붕소|붕]][[알루미늄|알]][[갈륨|갈]][[인듐|인]][[탈륨|탈]]이라는 확장버전도 있다.-- 뭐가 갈린다고?-- 이제는 [[붕소|붕]][[알루미늄|알]][[갈륨|갈]][[인듐|인]][[탈륨|탈]][[니호늄|니]]다.([[거세|불알갈린다]] [[너|니]]또는 [[내가 고자라니|불알갈린다니]]) ] 14족'''[[탄소|C탄]][[규소|씨]]''' 15족'''[[질소|질]][[인(원소)|인]]''' 16족'''([[S]]ix)[[산소|O]][[황(원소)|S]]''' 17족'''[[플루오린|F]][[염소(원소)|Cl]]''' 18족'''[[헬륨|헤]][[네온|네]][[아르곤|야]]'''한다. --[[이게 무슨 소리야|이게 무슨 소리지]]-- 화학선생님이 정말로 나이가 지긋한 경우 [[라듐|Ra]](7주기)까지[* 전형원소만] 외우라 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는 '''1[[수소|수]][[리튬|리]][[나트륨|나]][[칼륨|칼]][[루비듐|루]][[세슘|세]][[프랑슘|프]] 2[[베릴륨|베]][[마그네슘|마]][[칼슘|칼]][[스트론튬|스]][[바륨|바]][[라듐|라]]3[[붕소|붕]][[알루미늄|알]][[갈륨|갈]][[인듐|인]][[탈륨|탈]]~~붕알갈린다~~ 4[[탄소|탄]][[규소|규]][[저마늄|저]][[주석(원소)|주]][[납]] 5[[질소|질]][[인(원소)|인]][[비소|비]][[안티모니|안]][[비스무트|비]] 6[[산소|산]][[황(원소)|황]][[셀레늄|셀]][[텔루륨|텔]][[폴로늄|폴]] 7[[플루오린|플]][[염소(원소)|염]][[브로민|브]][[아이오딘|요]][[아스타틴|아]] 0[[헬륨|헬]][[네온|네(레)]][[아르곤|아]][[크립톤|크]][[제논|제]][[라돈|라]].''' 라고 외운다. 만약 [[오가네손]]까지 외우고 싶다면 '''1[[수소|수]][[리튬|리]][[나트륨|나]][[칼륨|칼]][[루비듐|루]][[세슘|세]][[프랑슘|프]]''' '''2[[베릴륨|베]][[마그네슘|마]][[칼슘|칼]][[스트론튬|스]][[바륨|바]][[라듐|라]]''' '''13[[붕소|붕]][[알루미늄|알]][[갈륨|갈]][[인듐|인]][[탈륨|탈]][[니호늄|니]]''' '''14[[탄소|탄]][[규소|규]][[저마늄|저]][[주석(원소)|주]][[납]][[플레로븀|플]]''' '''15[[질소|질]][[인(원소)|인]][[비소|비]][[안티모니|안]][[비스무트|비]][[모스코븀|모]]''' '''16[[산소|산]][[황(원소)|황]][[셀레늄|세]][[텔루륨|테]][[폴로늄|폴]][[리버모륨|리]]''' '''17[[플루오린|플]][[염소(원소)|염]][[브로민|브]][[아이오딘|요]][* 원래는 [[아이오딘|아]]지만 뒤에 [[아스타틴]]으로 인해 플염브아아테가 되어 이상하기에 아이오딘의 예전이름인 요오드를 사용하여 플염브요아테 로 외운다][[아스타틴|아]][[테네신|테]]''' '''18[[헬륨|헬]][[네온|네(레)]][[아르곤|아]][[크립톤|크]][[제논|제]][[라돈|라]][[오가네손|오]]''' 11족의 경우 [[구리(원소)|동]],[[은(원소)|은]],[[금(원소)|금]] 이라서 메달이나 상의 낮은 단계부터라서 쉽게 외울 수 있다. == 연상기법으로 외우기 == 순서대로 외우거나 족별로 외우는 방법은 세아려보거나 계산해 보지 않으면 원자번호를 바로 알기 힘들다. 이 방법은 그 문제를 없애기 위해 원소이름과 원자번호,원소이름과 원소기호를 연관지어서 외우는 방법이다. 아직 이 문단은 완성되지 않았지만 완성된다면 앞으로 이 문서를 방문한 사람들은 읽어만봐도 어느 정도 원소를 외울 수 있게 될 것이라 기대된다. 개드립이라도 좋으니 많은 위키러들의 기여가 필요하다. === 원자번호 외우기 === ※번호 순서대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 7 : 7번 [[질소|질소]]는 77K에서 끓는다. * 11: 11월 11일은 중국에서 [[소듐|나(Na)]] 홀로 보내는 솔로의 날이다. * 14: [[규소|시(Si]])발 십새(14)끼 * 15: 15[[인(원소)|P]]([[씹]][[OP#s-3|오피]]) * 17: 염소의 혓바닥은 매우 까칠(17) 해서 고문할 때 쓰였다. * 22: 티이이(22)[[티타늄|타늄]]--콩진호?-- * 66: 악마의 숫자인 6이 2개나 있으니 [[디스#s-3|디스]][[디스프로슘|(Dy)]]의 프로가 된다. * 77: 7은 행운의 숫자이니 [[이리듐|이리 좀]] 와라. * 79 : 친구(79)는 [[금(원소)|금]]이다. * 82 : [[납]]품 좀 빨리(82) 해주세요 * 108 : 108배를 하면 [[하슘|한숨]]이 나온다. [[추가 바람]] === 원소기호 외우기 === 대부분은 원소 영어 이름의 약자가 원소기호이지만 일부 원소는 라틴어나 기타 다른 언어의 약자라 원소명과 원소기호가 따로 노는 경우가 있다. 이 항목에선 그러한 원소들의 기호를 외우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렇지 않은 원소라도 소개해주면 좋다. '''{{{+2 ※번호 순서대로 작성하여 주십시오. 여러 원소를 한꺼번에 표시하는 경우는 맨 밑으로 옮겨주십시오.}}}''' * [[수소]]: (수소)숫소가 H하고 재채기를 한다 * [[헬륨]]: 그의(He) 헬륨은 매우 비싸다. * [[질소]]: [[질소과자|질소를 샀더니 과자 N개를 서비스로 주네.]] * [[인(원소)|인]]: [[인피니트|인P(피)니트]] * [[황(원소)|황]]: [[황사]]의 날씨 기호는 S(sand)이다. * [[철(원소)|철]]: [[철]]로 만든 악기를 [[Fe]]리리(삐리리) 분다 * [[구리(원소)|구리]]: Cu(쿠)리 * [[아연]]: [[Zn]](쟨) 아연 팔찌를 찬다. * [[비소]]: 비소를 먹으면 [[애프터 서비스|AS(After service)]]를 받아야 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 [[은(원소)|은]]: 은을 Ag Ag(아그아그) 먹는다. * [[아이오딘]]: [[아재개그|나는(I) 오딘이다]][* 실제로 게임에서 아이오딘 닉을 사용하면 오딘이라 부르는 사람이 있다.] * [[텅스텐]]: [[토르(스타크래프트 2)|텅스텐 로봇을 위에서 아래로 보면 W같다]] * [[금(원소)|금]]: Au(어우) 비싸. * [[수은]]: Hg(헉)... 수은이 그렇게 위험하다니... * [[납]]: 납 중독으로 죽은 사람에게서 나는 냄새는 Pb(피비)린내 * [[오가네손]]: 오가네손 칼국수 가게가 '''O(어)'''디에 있'''g(지)'''? * [[인(원소)|인]] ~ [[아르곤(원소)|아르곤]]: 순서대로 [[인(원소)|P]], [[황(원소)|S]], [[염소(원소)|Cl]], [[아르곤(원소)|Ar]]이니, "[[펩시|펩시콜라]]"로 외운다. * [[안티모니]]: 이름이랑 기호가 전혀 다르네? [[안티모니|ㅅㅂ..(Sb)]] [[추가 바람]] ==== 원소드립 가이드 ==== {{{#!folding 매우 길다. [펼치기/접기] * 1철자 * [[붕소|B]], [[탄소|C]], [[플루오린|F]], [[수소|H]], [[아이오딘|I]], [[포타슘|K]], [[질소|N]], [[산소|O]], [[인(원소)|P]], [[황(원소)|S]], [[우라늄|U]], [[바나듐|V]], [[텅스텐|W]], [[이트륨|Y]] * ~a * [[바륨|Ba]], [[칼슘|Ca]], [[갈륨|Ga]], [[란타넘|La]], [[소듐|Na]], [[프로트악티늄|Pa]], [[라듐|Ra]], [[탄탈럼|Ta]] * ~b * [[더브늄|Db]], [[나이오븀|Nb]], [[납|Pb]], [[루비듐|Rb]], [[안티모니|Sb]], [[터븀|Tb]], [[이터븀|Yb]] * ~c * [[악티늄|Ac]], [[모스코븀|Mc]], [[스칸듐|Sc]], [[테크네튬|Tc]] * ~d * [[카드뮴|Cd]], [[가돌리늄|Gd]], [[멘델레븀|Md]], [[네오디뮴|Nd]], [[팔라듐|Pd]] * ~e * [[베릴륨|Be]], [[세륨|Ce]], [[철(원소)|Fe]], [[저마늄|Ge]], [[헬륨|He]], [[네온|Ne]], [[레늄|Re]], [[셀레늄|Se]], [[텔루륨|Te]], [[제논(원소)|Xe]] * ~f * [[캘리포늄|Cf]], [[하프늄|Hf]], [[러더포듐|Rf]] * ~g * [[은(원소)|Ag]], [[수은|Hg]], [[마그네슘|Mg]], [[오가네손|Og]], [[뢴트게늄|Rg]], [[시보귬|Sg]] * ~h * [[보륨|Bh]], [[니호늄|Nh]], [[로듐|Rh]], [[토륨|Th]] * ~i * [[비스무트|Bi]], [[리튬|Li]], [[니켈|Ni]], [[규소|Si]], [[티타늄|Ti]] * ~k * [[버클륨|Bk]] * ~l * [[알루미늄|Al]], [[염소(원소)|Cl]], [[플레로븀|Fl]], [[탈륨|Tl]] * ~m * [[아메리슘|Am]], [[퀴륨|Cm]], [[페르뮴|Fm]], [[프로메튬|Pm]], [[사마륨|Sm]], [[툴륨|Tm]] * ~n * [[코페르니슘|Cn]], [[인듐|In]], [[망가니즈|Mn]], [[라돈|Rn]], [[주석(원소)|Sn]], [[아연(원소)|Zn]] * ~o * [[코발트(원소)|Co]], [[홀뮴|Ho]], [[몰리브데넘|Mo]], [[노벨륨|No]], [[폴로늄|Po]] * ~p * [[넵투늄|Np]] * ~r * [[아르곤(원소)|Ar]], [[브로민|Br]], [[크로뮴|Cr]], [[어븀|Er]], [[프랑슘|Fr]], [[이리듐|Ir]], [[크립톤|Kr]], [[로렌슘|Lr]], [[프라세오디뮴|Pr]], [[스트론튬|Sr]], [[지르코늄|Zr]] * ~s * [[비소|As]], [[세슘|Cs]], [[다름슈타튬|Ds]], [[아인슈타이늄|Es]], [[하슘|Hs]], [[오스뮴|Os]], [[포지트로늄|Ps]], [[테네신|Ts]] * ~t * [[아스타틴|At]], [[마이트너륨|Mt]], [[백금|Pt]] * ~u * [[금(원소)|Au]], [[구리(원소)|Cu]], [[유로퓸|Eu]], [[루테튬|Lu]], [[플루토늄|Pu]], [[루테늄|Ru]] * ~v * [[리버모륨|Lv]] * ~y * [[디스프로슘|Dy]] * 미사용 기호 * [[악티늄족|An]][* 악티늄족 전체의 성질을 연구할때 An이라는 기호를 사용.], [[루테튬|Cp]][* 루테튬의 초기 명칭이 카시오페이움이었다.], [[중수소|D]][* 중수소의 기호로, '''D'''euterium(듀테륨)에서 유래.], [[디디뮴|Di]][* 프라세오디뮴+네오디뮴 합금을 디디뮴이라는 하나의 원소로 보고 기호를 부여했었다.], [[란타넘족|Ln]][* 악티늄족의 An처럼 란타넘족도 Ln이라는 기호를 가지고 있긴 하나 사용되지는 않는다.], [[중성자|Nu]][* 위키백과에서 중성자의 바닥상태 표기에서 Nu라는 기호를 사용.], [[아이오딘|J]][* 초기 아이오딘의 기호로, 아이오딘의 초기 유럽식 명칭 Jod(요오드)에서 유래.], [[니호늄|Jp, Rk]][* 니호늄의 명칭 후보로 자포늄, 리케늄이 나왔었다.], [[삼중수소|T]][* 중수소처럼 삼중수소도 기호가 있다. '''T'''ritium(트리튬)에서 유래.], [[라돈|Tn]][* Rn-220은 [[토륨]]의 방사성 붕괴 계열에 속한다 하여 '''T'''horo'''n'''이라고 불린다.], [[양성자|Z]][* [[동위원소]] 표의 Z는 원자 번호로, 양성자 수를 뜻한다.] * [[체계적 원소 이름]] * 여차하면 [[유기화학]]에서 쓰는 기호를 길어 오는 것도 가능. * R(알킬기[* [[알케인]]에서 수소가 하나 빠져 작용기로 사용될 수 있는 탄화수소.]) * A(아데닌) * [[글루타민|Q(글루타민)]] * [[글루탐산|E(글루타민산)]] * [[메싸이오닌|M(메티오닌)]] * [[류신|L(류신)]] * [[헤모글로빈|Hb(헤모글로빈)]] }}} == 다른 매체를 활용하여 외우기 == [[http://www.joysf.com/4142795|로봇 주기표]]와 [[http://pds19.egloos.com/pds/201008/10/49/b0012149_4c614ae748b18.jpg|미소녀 주기율표]]도 존재한다(...). [[http://alonestar.egloos.com/4446908|해설은 여기에서.]] 다만 미소녀 주기율표의 경우 112번 원소가 Cp로 되어있는데 [[코페르니슘]]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원래는 Cp로 제안되었다가 Cn으로 바뀌었다. ~~이걸 보아 이 표는 2010년 이전에 만들어진 듯~~ ~~외워야할 분량이 2배니 좋은 건지 나쁜 건지...~~ [[유튜브]]의 AsapSCIENCE가 주기표에 나오는 각 원소들의 쓰임새 혹은 어원을 그림과 노래로 나타내었다. 자막 설정으로 한국어로도 볼 수 있다. 경험상 한 40번 정도 들으면서 흥얼거리다보면 영어로도 외워진다. ~~[[입대와 전역]]~~ [[캉캉]]을 바탕으로 만든 노래라 공부하면서 틀어놓고 공부하면 어느새 머릿속에 박혀있을거다.[[https://youtu.be/rz4Dd1I_fX0|The NEW Periodic Table Song]] [[보컬로이드]] [[카이토]]를 사용한 주기율표 [[https://www.youtube.com/watch?v=83aNfsstJAY|노래]]가 있다! 제목은 원자의 노래.[*원제 原子の歌] 2015년 7월 기준 22만 재생 돌파. 관심이 있는 위키러는 들으러 가자. [[보컬로이드]] [[시유(VOCALOID)|시유]]를 사용한 한국어 주기율표 [[http://pinknaph.blog.me/20155346967|노래]]도 있으니 참고해보자. [[로렌슘|원소기호 103번]]까지 나와있다. [[엘리먼트 헌터]]의 엔딩은 수헤리베~마법의 원소. [[http://tvple.com/30498|한국판]]은 38번인 [[스트론튬]]까지밖에 안 나오지만, 일본판은 [[https://www.youtube.com/watch?v=EskHgQPyhaw|풀버전]][* 저작권 보호로 음성트랙이 소거되어 있다.]이 있어서 111번인 [[뢴트게늄]]까지 외울 수 있게 되어 있다. 단, 한국판이든 일본판이든 [[플루오린]](불소), [[소듐]](나트륨), [[포타슘]](칼륨) 등 일부 원소가 옛날 이름으로 나와있다. [[Atomas]] 안드로이드와 iOS에서 검색하면 나오는 게임. 주기율표 원소들을 테마로 만들었다. 약간 게임 방식이 핵융합 같기도... 플레이 난이도도 그리 높지 않고 나름 중독성도 있다. 원소마다 서로 다른 고유한 색이 있어서 플레이 하다보면 색과 매칭되어서 외워지기도 한다. 열심히 하다 보면 기호와 순서가 금방 외워지니까 도전해보자! (118번 이후로 넘어가면 오리지널의 히든 원소도 나온다) [[백아연]]이 부릅니다,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freeboard&no=4771902|쏘쏘]](...) [[http://tv.naver.com/v/912229|영상]] [include(틀:문서 가져옴/문단, title=주기율표, version=201, paragraph=4)] [[분류:화학 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