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고려 왕후)] ---- [include(틀:역대 고려 왕태후)] ---- [include(틀:고려 재상지종)]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고려 현종의 제3왕후[br]{{{+1 원성왕후 | 元成王后}}}''' '''고려 덕종과 정종의 모후[br]{{{+1 원성왕태후 | 元成王太后}}}'''}}} || ||<|2> '''출생''' ||연대 미상 || ||[[김은부]]의 사저 || ||<|2> '''사망''' ||[[1028년]] [[8월 15일]] || ||[[고려]] [[개성시|개경]] 장경궁[br](現 [[경기도]] [[개성시]]) || || '''능묘''' ||[[명릉]](明陵) || ||<|2> '''재위기간''' ||'''{{{#670000 고려 연경원주}}}''' || ||[[1013년]] [[9월]]~ [[1018년]] [[7월 17일]] || ||<|2> '''재위기간''' ||'''{{{#670000 고려 연경궁주}}}''' || ||[[1018년]] [[7월 18일]]~ [[1022년]] [[10월 18일]] || ||<|2> '''재위기간''' ||'''{{{#670000 고려 제3왕후}}}''' || ||[[1022년]] [[10월 19일]] ~ [[1028년]] [[8월 15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안산 김씨]] || || '''부모''' ||부친 안산현 개국후 [[김은부]] (安山縣 開國侯 金殷傅, {{{-3 ~ 1017}}})[br]모친 안산군대부인 [[인천 이씨]] (安山郡大夫人 仁川 李氏) || || '''형제자매''' ||{{{#!folding 2남 3녀 중 장녀 [ 펼치기 · 접기 ] 병부상서(兵部尙書) 김충찬(金忠贊) 경덕국사(景德國師) 김난원(金爛圓) 원성왕후 [[원혜왕후]][* [[현종(고려)|현종]]의 제4비] [[원평왕후]][* [[현종(고려)|현종]]의 제7비]}}} || || '''배우자''' ||[[현종(고려)|현종]] || || '''자녀''' ||{{{#!folding 2남 2녀 [ 펼치기 · 접기 ] 장남 - [[덕종(고려)|덕종]] 차남 - [[정종(고려 10대)|정종]] 장녀 - 인평왕후(仁平王后)[* [[문종(고려)|문종]]의 제1비] 차녀 - 경숙공주(景肅公主)}}} || || '''종교''' ||[[불교]] || || '''거처''' ||연경원(延慶院) → [[연경궁]](延慶宮)[br]장경궁(長慶宮) || || '''작호''' ||연경원주(延慶院主)[br]→ 연경궁주(延慶宮主) || || '''시호''' ||'''원성왕후(元成王后)'''[br]→ 광선자성순성신절양덕[br](廣宣慈聖順聖信節良德)[br]영목공혜용의'''원성왕태후'''[br](英穆恭惠容懿'''元成王太后''') ||}}}}}}}}}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종(고려)|현종 원문대왕]]의 제3비. 현종 元문왕과 元 자 돌림이다. == 시호 == 대표시호는 원성태후(元成太后), 원성왕태후(元成王太后)인데 고려사 후비 열전에는 '''원城태후'''라고도 기록되어 있다.[* 고려사에서 글자 오기는 흔하다.] 현종 19년 7월에 사망하자 시호를 원성왕후(元成王后)라 한뒤 명릉에 장사 지냈다. 이후 맏아들 덕종이 보위에 오르면서 어머니를 원성왕태후(元成王太后)로 추존하였다. 또한 후에 용의(容懿), 공혜(恭惠)의 시호를 추가하였다. 이후 사위인 [[문종(고려)|문종]]이 영목(英穆), 양덕(良德), 신절(信節), 순성(順聖)의 시호를 추가했고, [[인종(고려)|인종]] 18년(1140년) 4월에 자성(慈聖)을, [[고종(고려)|고종]] 40년(* 1253년) 10월엔 광선(廣宣)이란 시호를 추가했다. == 생애 == 조부는 안산현 개국후(安山縣 開國侯) [[김긍필]],[* 신라 [[경순왕]]의 넷째 아들 대안군(大安君) 김은열(金殷說)의 후손] 조모는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이다. 외조부는 소성현 개국후(邵城縣 開國侯) 이허겸이다. [[인천 이씨]](경원 이씨)의 시조로, 원성왕후가 현종과 결혼한 후 인천 이씨의 세력을 크게 확장한다. [[문종(고려)|문종]] 때 이자연이 중용되면서 외척으로 성장했고 [[인종(고려)|인종]] 때 [[이자겸]]이 등장한다. 이자겸은 원성왕후의 외조부가 받았던 소성(邵城) 지방의 작위가 봉해졌다. 아버지는 안산군 개국후(安山郡 開國侯) [[김은부]], 어머니는 안산군대부인(安山郡大夫人) 이씨[* 시호는 안효국태부인(安孝國太夫人)으로 [[이자연(고려)|이자연]]의 고모이다.]이고 자매로 문종의 제4비 [[원혜태후|원혜왕후]]와 제7비 [[원평왕후]]가 있다. 현종이 거란을 피해 현 [[충청남도]] [[공주시]]까지 내려갔을 때 공주절도사(公州節度使) 김은부가 현종에게 큰 도움이 되어주어 김은부의 딸들을 원주(院主)로 맞이한다. 그 중 한 명인 원성왕후는 현종에게 직접 옷을 지어 바쳤다고 한다. 조부모와 부모들은 사후에 안산을 봉지(封)로 받았다. 이는 현종이 오등작을 내릴 때 일종의 세습처럼 작위를 봉해주었기 때문이다.[* 이는 [[성종(고려)|성종]]의 제2비 [[문화왕후]]의 가족도 마찬가지였다.] 슬하에 아들 [[덕종(고려)|덕종]]과 [[정종(고려 10대)|정종]], 딸 [[문종(고려)|문종]]의 제1비인 인평왕후(仁平王后)와 경숙공주(景肅公主)를 두었다. == 연경궁 == 원성왕후는 연경원을 하사 받았는데 덕종과 정종을 낳고 거처가 [[연경궁]]으로 올라간다. 이후 이 궁궐은 활발하게 사용되어 [[인종(고려)|인종]] 대엔 왕후의 궁궐만이 아닌 임금의 정궁으로 쓰이게 된다. [[분류:고려의 왕비]][[분류:안산 김씨]][[분류:1028년 사망]] [[분류:신라의 왕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