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장착 마법 카드. [목차] == 원더 원드 == [[파일:ワンダー・ワンド.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장착=, 한글판명칭=원더 원드, 일어판명칭=ワンダー・ワンド, 영어판명칭=Wonder Wand, 효과외1=마법사족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효과1=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500 올린다., 효과2=②: 장착 몬스터와 이 카드를 자신 필드에서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은 덱에서 2장 드로우한다.)] 공격력 500이면 사실상 장착 마법 중에서는 최약체에 해당하기 때문에 아무리 마법사족 전용 덱이라도 공격력 강화를 위해 이 카드를 채용하지는 않을 것이다. 중점이 되는 것은 2번 효과로, 마법사족 전용 [[트레이드 인]]이나 [[조화의 패]] 정도로 생각하고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기존의 드로우 보조 카드들과는 다르게 이 카드는 필드의 '''마법사족 몬스터에게 일단 장착한 다음 그 몬스터와 함께 묘지로 보내지는 것으로 발동'''을 하는 때문에 이 카드의 발동에 상대가 [[봉황날개의 폭풍]] 같은 카드로 체인을 걸어 이 카드의 효과 대상이 된 몬스터를 필드에서 제거해 버리면 말짱 꽝. 그리고 같은 이유로 이 카드를 [[암즈 홀]]로 서치했다면 드로우 효과는 다음 턴까지 미뤄야 할지도 모른다. 공격 타점이 소환 조건에 비해서 낮을 때가 많은 마법사족(특히 [[블랙 매지션]] 계열)의 타점 보완, 그리고 마법 카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서 패가 잘 말리는 마법사덱에게 드로우 가속화까지 해준다. 그러다보니 일단 마법사 덱을 만든다면 한두 장 정도는 들어가면 전개에 가속화를 해줄 수 있겠다. 비트 덱이든 엑시즈 블랙 매지션 덱이든 매지션즈 로드, 블랙 매지션, [[매지션즈 서클]] 등의 이유로 대체로 마법사족 몬스터가 겁나게 많을 것이며 드로우 가속화는 어느 경우에서나 우위를 점하는 어드밴티지 수급법이기에 범용성 마법사족 카드이다. 여차하면 500 늘려서 때리는 비트용으로 써주자. 특히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서 활약을 많이 한다. 위에 나온 범용 마법사족 드로우 카드라는 성능 역시 결국 현 환경에선 거의 사장되었고 고대식 듀얼을 하는 듀얼링크스에서나 진가를 발휘한다. 드로우 가속, 덱 압축, 타점 보완은 듀얼링크스에선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 [[코드 오브 더 듀얼리스트]]에서 발매된 [[마도서(유희왕)|루도라의 마도서]]는 이 카드와 같은 용도로 사용 가능하면서 일반 마법이기 때문에 기존에 이 카드를 쓰던 덱에서 대체재로 활약 중. 결론은 '''급할 때 공격력 상승을 겸할 수 있는 드로우 보조 카드'''로서 만능으로 활약할 여지가 있지만, 장착 마법 공통의 약점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카드다. 비도서관 [[엑조디아]] 덱에서 '''청룡의 소환사'''와의 상성이 끝내주는데, 청룡의 소환사를 일반 소환, 이 카드를 장착하고 효과를 발휘, 그럼 청룡의 소환사의 효과로 봉인된 일반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고 이 카드의 효과로 2장을 드로우할 수 있다. 거의 유일하다시피 한 마법사족 몬스터 서치 카드가 마법사족 몬스터이기에 가능한 것. 실제로 듀얼링크스에서는 거의 이 방법으로 엑조디아 파츠를 모은다. 하지만 [[범골의 의지|범골]] 엑조디아 덱이나 [[왕립 마법도서관|도서관]] 엑조디아 덱에선 쓰지 말라고 만들어져 있다. 마법 카드인 본 카드가 범골 드로우를 막는 데다가 도서관을 릴리스한다니 어불성설. 대부분의 몬스터가 마법사족인 [[포츈 레이디]] 덱과 상성이 아주 잘 맞는다. 효과를 쓴 포츈 레이디 파이리, 포츈 레이디 윈디, 포츈 레이디 워테리는 필드에 남아있는 샌드백일 뿐인데 이 카드로 묘지로 보내는 효과 + 덱에서 2장 드로우는... 하지만 대부분의 몬스터가 마법사족인 [[섀도르]] 덱과의 상성은 잘 맞지 않는다. 대부분의 몬스터가 마법사족이지만 [[섀도르]] 몬스터가 이 카드의 효과를 발동하기 위한 코스트로 묘지에 보내지기 때문에 [[섀도르]] 몬스터의 공통 효과를 쓰지 못한다. 단 코스트로도 묘지로 보내져도 발동할 수 있는 [[엘섀도르 미도라시]]는 예외. 펜듈럼 몬스터에게 장착 시 코스트로 몬스터를 묘지로 보낼 수 없어서 그냥 장착 카드가 되어버린다. [[포츈 레이디]]가 활약을 못하는 현시점에서 가장 활약하는 덱은 저 두 덱이 아닌 '''[[묘지기(유희왕)|묘지기]], [[Em(엔터메이지)|Em]],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 덱'''[* 그리고 [[복화술사 클라라&루시카]]나 [[새크리파이스(유희왕)|새크리파이스 아니마]]의 소환이 쉬운 모든 덱까지]. [[묘지기(유희왕)|묘지기]]에서는 묘지기의 소환사에 장착하고 릴리스하면 하급 묘지기 하나 서치+2장 드로우라는 강력한 어드밴티지를 얻을 수 있고, [[Em(엔터메이지)|Em]]에서는 [[Em 트릭 크라운]]의 효과 덕에 랭크 4 엑시즈 소환 연계가 가능하고, [[블랙 매지션(유희왕/카드군)|블랙 매지션]] 덱에서는 영원의 혼 하나만 띄워주면 무한적으로 소생하는 좀비가 되어서 좋다. 원작 사용자는 [[츠쿠모 유마]]. 주로 [[가가가 매지션]]에게 장착하여 공격력을 올리고 적 몬스터를 파괴하는 전략을 주로 썼다. 유마의 카드답게 명칭도 Wonder와 Wand의 발음이 비슷하다는 점을 이용한 말장난이다. [[유희왕 ARC-V]]에서 [[데니스 맥필드]]가 마술 쇼를 하는데 사용했다. 실제로 [[Em(엔터메이지)|Em]]에서도 [[Em 트릭 크라운]]을 이용하여 1000 LP를 지불하는 욕망의 항아리로 사용하거나 Em 데미지 저글러로 패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고, Em 햇트릭커라는 걸출한 몬스터가 있어 이 카드의 약점인 필드 손실을 상당히 억제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링크스]]에선 카드 트레이더와 교환할 수 있는 SR 카드로 등장. 어째선지 전혀 관계가 없을 [[이시즈 이슈타르]]가 이 카드를 사용하면 전용 대사를 외친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제너레이션 포스]] || GENF-KR045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유마 편-]] || DP12-KR018 || [[노멀]] || 한국 || || || [[스타터 덱 2013]] || ST13-KR023 || [[노멀]] || 한국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JP045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듀얼리스트 팩 -遊馬編-]] || DP12-JP018 || [[노멀]] || 일본 || || || [[스타터 덱 2013|STARTER DECK 2013]] || ST13-JP023 || [[노멀]] || 일본 || || || [[제너레이션 포스|Generation Force]] || GENF-EN045 || [[울트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바운드 원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7534_1.jpg]] || 한글판 명칭 ||'''바운드 원드'''|| || 일어판 명칭 ||'''バウンド・ワンド'''|| || 영어판 명칭 ||'''Bound Wand'''|| |||| 장착 마법 || ||||마법사족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①: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장착 몬스터의 레벨 × 100 올린다. ②: 장착 몬스터가 상대에 의해서 파괴되어,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를 묘지에서 자신 필드에 특수 소환한다.|| [[가가가|가가가 실드]]가 이미 있어서 미묘. 공격력 향상과 1회 내성을 같이 활용하자. 다시 특수 소환된다는 특징을 살려 [[소환사 샘벨]]같이 1번만 사용가능한 효과를 재사용할 수 있다는 점으로 다른 파괴 내성 카드들과 차별화할 수 있다. 원작에서는 [[가가가 매지션]]에 사용해 효과로 레벨을 8로 하여 공격력을 800 올렸다. 원작에서는 전투 파괴에만 대응하고, 소생 타이밍은 배틀 페이즈 종료 시였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갤럭틱 오버로드]] || GAOV-KR051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 GAOV-JP051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デッキカスタムパック 01 || DC01-JP019 || [[노멀]][br]노멀 패러렐 레어 || 일본 || || || [[갤럭틱 오버로드|Galactic Overlord]] || GAOV-EN051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Star Pack 2014 || SP14-EN035 || [[노멀]][br][[패러렐 레어]] || 미국 || || || Battle Pack 3: Monster League || BP03-EN175 || [[노멀]][br][[패러렐 레어]] || 미국 || || == 원샷 원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06171_1.jpg]] || 한글판 명칭 ||'''원샷 원드'''|| || 일어판 명칭 ||'''ワンショット・ワンド'''|| || 영어판 명칭 ||'''One-Shot Wand'''|| |||| 장착 마법 || ||||마법사족 몬스터에만 장착 가능. 장착 몬스터의 공격력은 800 포인트 올린다. 또한,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 이 카드를 파괴하고 덱에서 카드를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어비스 라이징]]에서 등장. 우연의 일치인지 위의 바운드 원드와 카드 번호가 똑같다. 1번 효과인 공격력 상승치는 일단 합격점이지만 2번 효과는 그리 좋다고 볼 수 없다. 덱에서 1장 드로우는 분명 매력적이지만 장착 몬스터 입장에서는 기껏 올린 공격력을 다시 내리는 셈이니 다음 상대 턴에서 파괴되기 쉬어진다는 약점이 생긴다. 일단 사용한다면 이 카드의 효과로 카드 1장 드로우한 후에 메인 페이즈 2에 이 카드를 장착하고 있었던 몬스터를 엑시즈 / 싱크로 소환에 사용할 수밖에 없다. 그나마, 드로우 효과가 장착 몬스터가 전투를 실행한 데미지 계산 후에 발동하기에 원더 원드와는 달리 상대 턴에도 드로우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어비스 라이징]] || GAOV-KR051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GAOV-JP051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어비스 라이징|Abyss Rising]] || GAOV-EN051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분류:유희왕/OCG/장착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