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에 나오는 개성, rd1=원 포 올)] [[유희왕]]의 일반 마법 카드. [목차] == 설명 == || [[파일:ワン・フォー・ワン(23TP).jpg|width=100%]] || [[파일:OneforOne-SDSA-EN-C-1E.png|width=97%]] || || 내수판 || 수출판 ||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원 포 원, 일어판 명칭=ワン・フォー・ワン, 영어판 명칭=One for One, 효과1=①: 패에서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패 / 덱에서 레벨 1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include(틀:유희왕/리미트 레귤레이션, OCG=제한 카드, TCG=제한 카드, 마스터듀얼=제한 카드, 듀얼링크스=제한됨 1)] 코스트를 포함해 카드 2장을 소모해 1장을 부르는, 일견 손해로 보일 수 있는 카드지만 우수한 레벨 1 몬스터를 특수 소환하는 것으로 어드밴티지 회복은 물론 전개의 시작을 끊어주는 고성능의 카드다. 별명으로 [[141]]로 불리기도 한다. 영어로 하나하나씩 읽었을 때, 이 카드의 이름과 같은 발음인 원 포 원(One Four One)이기 때문. 이를 반영해선지 DUELIST EDITION Volume 3에선 이 원 포 원의 카드 번호가 DE03-JP'''141'''이다. [[유희왕 5D's]]에서는 [[후도 유세이]]가 사용. 28화에서 [[딕 피트]]와의 듀얼 중 [[볼트 고슴도치]]를 묘지로 보내고 [[로드 러너(유희왕)|로드 러너]]를 특수 소환했다. 45화에선 [[루드거]]와의 듀얼 중 [[볼트 고슴도치]]를 묘지로 보내고 [[튜닝 서포터]]를 특수 소환했다. 81화에선 [[가드 로보]]와의 듀얼 선공 첫 턴에 [[스피드 워리어]]를 묘지로 보내고 [[레벨 스틸러]]를 특수 소환했다. 처음 나왔을 땐 특수 소환이 패에서만 가능했으나, 81화에선 OCG 효과로 변경됐다. 패에서만 특수 소환 가능했으면 [[이중소환]]을 쓰는 게 더 낫기에 상향된 듯하다. [[유희왕 ARC-V]] 62화에선 [[토쿠마츠 쵸지로]]의 부하들이 뿌려댄 카드들 중 1장으로 잠깐 등장했다. 일러스트는 [[암흑계#암흑계의 척후 스카아|암흑계의 척후 스카아]]를 코스트로 레벨 1의 [[새크리파이스 로터스]]가 특수 소환되는 모습. === 활용법 === 특수소환이 가능한 모든 레벨 1 몬스터를 패/덱에서 소환한다는 이점 때문에 엄청난 범용성을 자랑한다. 덱에 레벨 1짜리가 투입되면 일단 원 포 원이 투입되는건 당연한 수순. 이 카드로 부를 만한 대표적인 레벨 1 몬스터는 다음과 같다. *식물족의 쓸만한 튜너인 [[카피 플랜트]]나 [[스포어(유희왕)|스포어]] *[[싱크로 소환]]에 어드밴티지를 늘려주는 [[튜닝 서포터]] *특수 소환시 묘지의 [[X-세이버]] 몬스터 1장을 패에 넣는 [[X-세이버|XX-세이버 레이지그라]] *끝없이 부활하는 릴리스 요원 [[황천 개구리]] *[[디포머]] 덱에선 필수인 디포머 모바폰 *서치 수단이 빈약하지만 필드에 소환해서 써야 하는 [[포츈 레이디|포츈 레이디 라이티]] *[[저주받은 하인]] 덱의 피니셔 저주받은 하인 킹. 저주받은 하인 킹을 소환하면서 다른 저주받은 하인을 묘지로 보낼 수 있어 더욱 시너지가 있다. *[[인페르니티]] 덱의 [[인페르니티 미라지]], [[인페르니티|인페르니티 리벤저]] *[[DD(유희왕/카드군)|DD]] 덱의 DD 마도현자 케플러와 DD 라미아. 둘 다 DD 덱에서 전개에 상당한 비중을 가진 카드들이고, 효과로 패에 잡힌 라미아나 네크로 슬라임 등을 묘지로 보낼 수도 있다. *[[제왕(유희왕)|제왕]] 덱에선 [[제왕(유희왕)|천 제왕종기 이데아]]를 특수 소환해 바로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를 특수 소환할 수 있고, 에이도스의 효과로 추가 어드밴스 소환권을 얻어 어드밴스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 *[[푸른 눈]] 덱에서 [[전설의 백석]], [[태고의 백석]], [[파란 눈(유희왕)|파란 눈]] 몬스터를 특수 소환해 레벨 9 싱크로 소환으로 이어갈 수 있다. 코스트로 전설의 백석을 묘지로 보낼 경우 [[푸른 눈의 백룡]]이 패에 들어오는 건 덤. *[[Kozmo]]의 키 카드인 Kozmo-펠블랑 *[[인페르노이드]]의 인페르노이드 데카트론. 묘지가 주 자원인 카드군 특성상 몬스터를 패에서 묘지로 보내는 효과부터 코스트로 치기 민망할 정도이며, 데카트론 자체도 소환 성공시 인페르노이드 몬스터 1장을 덱에서 묘지로 보내고 그 효과와 레벨을 얻는다. *[[LL]]의 LL-코발트 스패로. 덱에서 특수 소환하면 레벨 1 비행야수족을 서치할 수 있다. *[[서브테러]] 역시 고레벨의 서브테러마리스 카드를 묘지로 보내고 전개의 키카드인 서브테러의 요마를 특수 소환할 수 있어 탁월하다. 묘지로 보낸 서브테러마리스를 서브테러의 요마로 바로 특수 소환 가능한 것도 장점. *[[SPYRAL]]의 SPYRAL-지니어스. 특히 전성기 시절엔 이 카드와 몬스터 1장만 있었으면 날빌을 세울 수 있었을 정도다.[* 지니어스 소환 후 드론 서치. 드론 일반 소환. 2장으로 더 더블헬릭스 링크 소환.] *[[얼터가이스트]]의 얼터가이스트 멜리시크. 링크 1 소재로 쓰면 얼터가이스트 몬스터를 서치할 수 있다. *[[왈큐레(유희왕)|왈큐레]]의 왈큐레 세크스트. 특수 소환에 성공하면 덱에서 왈큐레 몬스터를 더 부를 수 있다. *[[삼환마]] 덱의 [[암흑의 소환신]]을 패에서 묘지로 보내 혼돈의 소환신을 필드에 소환한 후 묘지의 암흑의 소환신을 제외해 삼환마를 서치, 혼돈의 소환신으로 삼환마를 소환한 후 혼돈의 소환신을 제외해 바로 실락원을 발동시킬 수 있다. *[[시계신]] 덱에서 시계신을 묘지로 보내 묘지 자원을 쌓음과 동시에 시계무녀를 소환해 시계신을 더 서치할 수 있다. 물론 여기 나온 건 일부이며, 몇몇 카드들은 기어코 사고를 쳐서 [[개구리(유희왕)|개구리]]와 [[빙결계의 범왕 듀로렌]] [[원턴킬]], [[멘탈마스터]] 원턴킬 등, 각종 원턴킬의 중요 파츠로 활약했다. 이로 인해 2009년 9월에 제한 카드가 됐다. OCG에선 2019년 10월에 준제한 카드가 됐다가 2020년 10월에 다시 제한 카드가 됐다. 패에 이 카드와 [[데브리 드래곤]]과 [[댄디라이언]]이 있고, 덱에 레벨 1 튜너가 있을시 [[액셀 싱크로 소환]]이 가능한 콤보가 있었다. 1. 원 포 원으로 패의 댄디라이언을 묘지로 보내고 덱에서 레벨 1 튜너 특수 소환. 1. 댄디라이언의 효과로 나온 플러피 토큰(레벨 1) 2장 소환. 1. 레벨 1 튜너와 플러피 토큰으로 [[포뮬러 싱크론]] 소환. 1. 데브리 드래곤(4)으로 댄디라이언(3)을 퍼와서 남은 토큰(1)으로 [[스타더스트 드래곤]]을 비롯한 레벨 8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 소환. 1. 포뮬러 싱크론(2)와 드래곤족 싱크로 몬스터(8)로 액셀 싱크로. 원작에서 유세이가 이 카드로 특수 소환 가능한 몬스터는 다음과 같다. *[[원샷 부스터]] *[[터보 싱크론]] 등 레벨 1 [[싱크론]] 튜너 전원 *[[튜닝 서포터]] *[[이펙트 뵐러]] *[[이차원의 정령]] *[[로드 러너(유희왕)|로드 러너]] *[[트라이클러|언사이클러]] *[[구세룡 세이비어 드래곤]] *[[스타더스트 샤오롱]] *[[레벨 스틸러]] *[[워리어(유희왕)|빅 원 워리어]] *[[부스트 워리어]] *[[미스틱 파이퍼]] ==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 국가''' || '''기타 사항''' || || [[장렬한 전투|RAGING BATTLE]] || RGBT-JP045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デュエリストパック]] -[[후도 유세이|遊星]]編2- || DP09-JP018 || [[레어(유희왕)|레어]] || 일본 || || || DUELIST EDITION Volume 3 || DE03-JP141 || [[슈퍼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青眼龍轟臨]]- || SD25-JP030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싱크론 익스트림|シンクロン・エクストリーム]]- || SD28-JP031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펜듈럼 도미네이션|ペンデュラム・ドミネーション]]- || SD30-JP028 || [[노멀]]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파워코드 링크|パワーコード・リンク]]- || SD33-JP029 || [[노멀]] || 일본 ||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 || 20TH-JPC93 || [[시크릿 레어]][br][[슈퍼 레어|슈퍼]] [[패러렐 레어]] || 일본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혼돈의 삼환마|混沌の三幻魔]]- || SD38-JP027 || [[노멀]] || 일본 || || || [[장렬한 전투|Raging Battle]] || RGBT-EN045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Duelist Pack]]: [[후도 유세이|Yusei]] 2 || DP09-EN018 || [[레어(유희왕)|레어]] || 미국 || || || Star Pack 2013 || SP13-EN050 || [[노멀]][br][[패러렐 레어|스타포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Saga of Blue-Eyes White Dragon]]- || SDBE-EN027 || [[노멀]] || 미국 || || || Legendary Collection 5D's Mega Pack || LC5D-EN045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싱크론 익스트림|Synchron Extreme]] || SDSE-EN031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펜듈럼 도미네이션|Pendulum Domination]] || SDPD-EN028 || [[노멀]]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파워코드 링크|Powercode Link]] || SDPL-EN029 || [[노멀]] || 미국 || || || Advent Calendar 2019 || AC19-EN018 || [[울트라 레어]] || 미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Structure Deck]]: [[혼돈의 삼환마|Sacred Beasts]] || SDSA-EN027 || [[노멀]] || 미국 || || || [[장렬한 전투]] || RGBT-KR045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듀얼리스트 팩]] -[[후도 유세이|유성]] 편2- || DP09-KR018 || [[레어(유희왕)|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푸른 눈의 백룡의 강림]]- || SD25-KR030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싱크론 익스트림]]- || SD28-KR031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펜듈럼 도미네이션]]- || SD30-KR028 || [[노멀]]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파워코드 링크]]- || SD33-KR029 || [[노멀]] || 한국 || || || [[20th ANNIVERSARY LEGEND COLLECTION|레전드 컬렉션]] || LEC1-KR093 || [[시크릿 레어]][br][[슈퍼 레어|슈퍼]] [[패러렐 레어]] || 한국 || || || [[스트럭처 덱(유희왕)|스트럭처 덱]] -[[혼돈의 삼환마]]- || SD38-KR027 || [[노멀]] || 한국 || || == 관련 카드 == === [[원 바이 원]] === === [[워리어(유희왕)#빅 원 워리어|빅 원 워리어]] === [[분류:유희왕/OCG/일반 마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