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런던 지하철의 노선)] ||<-4>[[파일:워털루 앤 시티선 아이콘.svg|width=100%]]{{{#!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19a9 '''런던 언더그라운드 {{{+1 워털루 앤 시티선}}}'''[br]{{{-1 London Underground}}} Waterloo & City Line}}} || }}} || ||<-2> [[파일:external/londonbusesbyadam.zenfolio.com/p304844000-3.jpg|width=100%]] ---- [[런던 지하철 1992년식 전동차|{{{#0019a9 런던 언더그라운드 1992년식 전동차}}}]] || ||<-2> {{{#0019a9,#191919 '''노선 정보'''}}} || || '''분류''' || 도시철도 || || '''기점''' || [[뱅크 역|뱅크]] || || '''종점''' || [[런던 워털루 역|워털루]] || || '''역 수''' || 2개 || || '''구성 노선''' || [[워털루 앤 시티선]] || || '''개업일''' || [[1994년]] [[4월 1일]] || || '''소유자''' || [[런던]] || || '''운영자''' || [[런던교통공사]] || || '''사용차량''' || [[런던 지하철 1992년식 전동차]] || || '''차량기지''' || 워털루 차량기지 || ||<-2> {{{#0019a9,#191919 '''노선 제원'''}}} || || '''노선연장''' || 2.37㎞ || || '''궤간''' || 1,435㎜ || || '''선로구성''' || [[복선]] || || '''사용전류''' || 직류 630V [[제4궤조]] || || '''신호방식''' || [[열차자동운전장치|ATO]]/[[ATP]] || || '''최고속도''' || 100km/h[br](62mph) || || '''표정속도''' || 35.5km/h || || '''지하구간''' || 전구간 || || '''통행방향''' || 좌측통행 || || '''개통 연혁''' ||[[1898년]] [[7월 11일]] [[뱅크 역|뱅크]] ↔ [[런던 워털루 역|워털루]] || [목차] [clearfix] == 개요 == Waterloo and City Line 템즈강 남단의 [[런던 워털루 역|워털루 철도역]]과 북단의 시티 지역을 잇는 [[런던 지하철]] 노선. 지금은 [[런던 지하철]]의 일부이지만, [[1994년]]까지만 해도 [[영국국유철도]]의 일부였고 차량 도색도 지하철의 빨간 도색이 아닌 네트워크 사우스이스트의 푸른색 도색이었다. 런던 지하철에서 가장 짧은 노선이며, 가장 승차율이 낮은 노선이다. 하지만 노선이 짧다고 해서 그 중요성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워털루 앤 시티 선이 런던 일반철도 중심역이라고 할 수 있는 워털루 역과 런던 경제의 중심인 시티오브런던 지역에 위치한 뱅크 역을 한방에 이어주기 때문이다. 서울로 치자면 서울역과 광화문역을 한번에 연결하는 노선이라고 보면 되겠다. 실제로 마일 당 평균 이용객 횟수와 관련해서는 [[빅토리아선]]에 이어 뒤에서 2번째로 혼잡한 노선이다. 워털루에서 [[모뉴먼트 역|모뉴먼트]]까지 주빌리-서클/디스트릭트 경유로 이동하면 세월아 네월아 가야 하는데 비해, 워털루 앤 시티 선을 타면 4분만에 이동할 수 있다. 단 워털루 역에서 다른노선으로 (또는 다른노선에서) 환승할때는 한번 하차태그를 하고 승차태그를 해야한다. == 운행 시간 == 이 노선의 특징은 운행 시간이 다른 튜브 노선들과는 다르다는 점이다. 평일에는 오전 6시 15분부터 다음날 오전 0시 30분까지, 토요일에는 오전 8시부터 다음날 오전 0시 30분까지, 그리고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아예 운행을 안한다. 즉, 통근통학용 노선으로 사용중인 노선이다. == 차량 == 차량은 [[센트럴선]]과 동일한 [[런던 지하철 1992년식 전동차]]를 이용한다. 워털루 앤 시티 입선용은 4량 1편성에 보안장치가 [[열차자동운전장치|ATO]]/[[열차자동방호장치|ATP]]가 아닌 타자식 ATS(Train Stop)[* [[토론토 지하철]], [[베를린 S반]], [[베를린 U반]], [[뉴욕 지하철]], [[시티레일]]에서도 사용하며, 한 때 도쿄메트로의 [[긴자선]]과 [[마루노우치선]]에서도 사용한 적이 있다. 대차에 붙은 브레이크 코크를 지상자에서 건드리는 방식으로, 지상자는 기본적으로 코크를 닫는 위치에 있어서 차량이 정지신호를 무시하고 통과하면 지상자가 브레이크 코크를 건드리면서 강제로 정차시킨다. 진행신호인 경우 지상자는 코크를 여는 위치로 돌아온다.]이라는 매우 원시적인 보안장치를 이용하는 정도의 개수가 되어 있다. 차량기지는 [[https://en.wikipedia.org/wiki/Waterloo_Underground_Depot|워털루 차량기지]]([[https://maps.google.com/maps?ll=51.501944,-0.111667&spn=0.01,0.01&t=h&q=51.501944,-0.111667|위치]])로 [[우이차량사업소]]마냥 지하에 위치해 있다. 인입선([[https://maps.google.com/maps?ll=51.501944,-0.110833&spn=0.01,0.01&t=h&q=51.501944,-0.110833|지도]])은 워털루 역 근처 도로의 뚜껑을 따면 나온다고 한다. [[1993년]]에 최초로 반입된 이후, [[2006년]]에 워털루 앤 시티 선을 보수공사 하면서 처음으로 딱 한 번 지상으로 꺼내어 재도색 및 개조작업을 실시했다고 한다. == 운행 영상 == ||[youtube(BFgqvG1kmCs)]|| || {{{#white '''뱅크 → 워털루 운행 영상'''}}} || ||[youtube(910ewK4lwuc)]|| || {{{#white '''워털루 → 뱅크 운행 영상'''}}} || == 역 목록 == [[파일:Waterloo-line-2022.png|width=80%]] || '''{{{#0019a8 구역}}}''' || '''{{{#0019a8 km}}}''' || '''{{{#0019a8 역명}}}''' || '''{{{#0019a8 환승노선}}}''' || ||<|2> 1 || 0 ||[[뱅크 역]][br]Bank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디스트릭트 선|{{{#007e29 디스트릭트{{{-2 (업민스터 구간, 모뉴먼트 역)}}}}}}]][br][[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서클선|{{{#ffce00 서클{{{-2 (모뉴먼트 역)}}}}}}]][br][[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디스트릭트 선|{{{#007e29 디스트릭트{{{-2 (업민스터 구간, 캐논가 역)}}}}}}]][br][[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서클선|{{{#ffce00 서클{{{-2 (캐논가 역)}}}}}}]][br][[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노던선|{{{#000,#e5e5e5 노던{{{-2 (뱅크 구간)}}}}}}]][br][[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센트럴선|{{{#f00 센트럴}}}]][br] [[파일:런던 오버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런던 오버그라운드|{{{#ee7d11 리 밸리{{{-2 (리버풀가 역)}}}}}}]][br][[파일:도클랜즈 경전철 로고.svg|width=18]] [[도클랜즈 경전철|{{{#30d5c8 뱅크 ~ 루이셤/울위치 아스날 구간}}}]][br][[파일:엘리자베스선 로고.svg|width=18]] [[크로스레일|{{{#6950a1 엘리자베스{{{-2 (리버풀가 역)}}}}}}]][br][[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width=20]] [[내셔널 레일|{{{#1c184f 사우스이스턴{{{-2 (캐논가 역)}}}}}}]][br][[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width=20]] [[내셔널 레일|{{{#b71c8c c2c{{{-2 (팬처치가 역)}}}}}}]][br][[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width=20]] [[내셔널 레일|{{{#d91332 그레이터 앵글리아{{{-2 (리버풀가 역)}}}}}}]][br][[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width=20]] [[스탠스테드 익스프레스|{{{#445562 스탠스테드 익스프레스{{{-2 (리버풀가 역)}}}}}}]][br][[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width=20]] [[내셔널 레일|{{{#b71c8c c2c{{{-2 (평일저녁&주말한정운행, 리버풀가 역)}}}}}}]] || || 2.37 ||[[런던 워털루 역|워털루 역]][br]Waterloo ||[[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노던선|{{{#000,#e5e5e5 노던{{{-2 (채링 크로스 구간)}}}}}}]][br][[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베이컬루선|{{{#894e24 베이컬루}}}]][br][[파일:런던 언더그라운드 로고.svg|width=18]] [[주빌리선|{{{#868f98 주빌리}}}]][br][[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width=20]] [[내셔널 레일|{{{#0c1c2b 사우스 웨스턴 레일웨이}}}]][br][[파일:영국국유철도 심볼.svg|width=20]] [[내셔널 레일|{{{#1c184f 사우스이스턴{{{-2 (워털루 이스트 역)}}}}}}]] || [[분류:런던 지하철]][[분류:1994년 개업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