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패션 관련 정보]] [include(틀:패션)] [목차] == 개요 == 영어로는 WorkWear. 본뜻은 말뜻대로 '일할 때 입는 옷'이다. 다만 지금은 [[아메리칸]] [[캐주얼]] 범주안에 가장 큰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1975년 파리 [[프레타포르테]] 컬렉션에서 발표되며 하나의 패션으로 자리매김했으나, 사실상 1910년대부터 [[미국]] 지역에서 [[광부]]나 흔한 노동자들이 편히 입는 스타일의 의류를 기초로 했다. 청자켓, [[청바지]], [[카고바지]], [[조끼]]([[베스트]]), [[부츠]] 등 많은 의류가 워크웨어 룩에 녹아있다 볼 수 있다. 해외에서는 몇십년전부터 꾸준히 보이는 스타일이였으나 국내에서는 2000년대에 스트릿 문화와 함께 조금씩 들어오기 시작했고, 2010년대 들어서야 [[아메카지 룩]]과 함께 주목을 받게 되었다. 워크웨어 룩 하면 미국이 가장 먼저 떠오르긴 하지만, 프랑스 역시 이쪽 패션 관련해서 나름 유명하다. 대표적인 제품이 바로 프렌치 워크 자켓. 19세기 골든 러쉬를 맞이하게 된 프랑스 노동자들이 미국으로 건너갈때 프렌치 워크 자켓을 입고 갔는데 그게 붐을 일으켰다고 한다. == 특징 == 노동자들이 막 입기 때문에 옷이 쉽게 찢어지지 않도록 강도가 매우 강한 원단을 사용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많은 물건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자켓이나 바지에 주머니가 많이 달려있다. 움직이기 편하도록 단추와 통이 좁지 않게 나오는 것도 특징 중 하나이다. === 아메카지와의 관계 === 사실 [[아메카지 룩]]과 워크웨어 룩은 서로 다른 개념이다. 실제 아메카지는 아메리칸 캐주얼이란 말을 [[일본]]식으로 줄여 캐주얼하게 재해석한 것이기 때문에 자세히 보면 여러 스타일이 가미된 것을 알 수 있다.[* 워크웨어 뿐만 아니라 클래식 룩이나 때에 따라선 [[스트리트 패션|스트릿]] 느낌도 난다.] 느낌적으로도 워크웨어가 아메카지보다 헤비하고 거친 느낌. 디테일적인 면에서 보면, 워크웨어는 작업복에서 유래한 옷이다 보니 실용적인 측면이 매우 강하다. 포켓이 많이 달려있거나, 소재 자체가 흠이 나도 별로 티가 나지 않거나 잘 안 헤지는 소재로 구성된 옷들이 대부분이다. 아메카지 역시 비슷하기는 하지만, 워크웨어와 비교시 실용적인 측면보다는 캐쥬얼한 측면이 더 강조된 편. 또 아메카지와 달리 머리 스타일에 크게 구애받지도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둘은 따지고 보면 상당히 다른 개념이나, 이 둘의 범위를 일반인들이 단정짓거나 명확히 구분하는건 꽤 힘든 일이다 보니, 현실에선 둘을 비슷한 개념으로 묶어 함께 취급하는 경우도 많다. == 브랜드 == * [[그라미치]] * [[닥터마틴]][* 구두로 더 유명하지만 워크웨어 느낌의 부츠도 많다.] * [[디키즈]] * [[레드윙]][* 미국의 부츠 브랜드이다.] * [[리바이스]] * [[벤 데이비스]] * [[볼디스트]][* 코오롱 FnC부문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 신규 워크웨어 브랜드로 작업자들을 위한 워크웨어를 표방하고 있다.] * [[비디알]] * [[비슬로우]] * [[스탠레이]] * [[쏘로굿]] * [[에스피오나지]] * [[울버린]][* 1000마일 시리즈의 부츠가 굉장히 유명하다.] * [[유니버셜 오버롤]] * [[유니폼 브릿지]] * [[치페와]] * [[칼하트]] * [[팀버랜드]] * [[프리즘웍스]] * [[Le Laboureur]][* 프랑스 워크웨어 브랜드 중에서는 가장 유명하고 오래된 브랜드다.] * [[RRL]] * [[YMCL KY]] * [[MHL]][* 마가렛 호웰의 하위라인.] [[분류:패션]]